사회복지발달사

Download Report

Transcript 사회복지발달사

제3강
사회복지발달사
Contents
2
1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2
서구의 사회복지역사
1.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1)
근대이전사회의 사회복지관행
•
•
• 성격
‒ 무의무탁에 대한 사궁구
휼(환과고독:홀아비, 과부,
고아, 무자녀 노인)의 보호
• 구제사업
‒ 진대법(고구려 고국천왕 16
년 을파소) : 고려시대의 의창
과 조선시대의 환곡, 사창에
영향을 미침
3
•
‒ 왕의 책임 : 구제의 신속
‒ 중앙은 구빈법 제정, 구
빈행적의 일차적 책임
은 지방관
성격
‒ 불도들에 의한 구빈
‒ 구빈과 관련된 공적기
관 설치
‒ 국가의 조세수입
성격
•
구제사업
‒ 향약 : 덕업상권(德業相勸),
구제사업
‒ 5대 진휼사업
‒ 상설구빈기관 : 흑창, 제
‒
‒
위보, 의창, 상평창
구료제도 : 동서대비원,
혜민국 등
임시구빈기관 : 동서제위
도감, 구제도감 등
‒
‒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
교(禮俗相交), 환난상휼(患難
相恤)
비황제도 (상평창, 의창, 사
창), 구황제도 (사궁, 노인
보호사업, 진휼 및 진대, 방곡
사업, 고조제도 등),
구료제도 (혜민서, 동서대
비원, 제생원)
Related Documentation
2)
(1.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일제시대의 식민지구호사업
 성 격
•
황민사상의 이데올로기
•
식민지 지배의 통치적 정책
 구호사업
•
조선사회사업연구회(1921. 4) :
사회복지사업의 연락·조사 연구기관 →
조선사회사업협회(1929. 4)로 개칭·
확대
•
조선구호령(1927년)
‒
‒
‒
‒
4
65세 이상 노쇠자
13세 이하의 아동
임산부
불구, 폐질, 상병, 기타 정신 또는 신
체의 장애에 의해 일할 수 없는 자
Related Documentation
3)
해방 이후, 현대적 의미의 사회복지 발달
• 외국 민간원조단체의 한국연
합회 결성
• 전문사회사업 교육의 도입
‒ 이화여자대학교(1947)
‒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교]
(1953)
‒ 서울대학교 대학원(1957),
학부(1958)
‒ 한국그리스도신학교(1958)
해방이후
미군정
•
•
•
5
일제시대의 계승
억압과 통제 및
온정주의
서구의 선교단체
와 해외 원조단
체들이 자유롭
게 활동할 수 있
는 여건
(1. 한국의 사회복지의 역사적 전개)
정부수립 ~
1950년대
• 경제개발 : 산업화ᆞ도시화
현상
‒
‒
‒
‒
‒
사회복지사업법 (1970)
교원연금법(1973)
국민복지연금법(1973)
개정의료보험법(1976)
의료보호법(1977)
1960년대
• 사회복지의 제도적 기반
구축
‒공무원연금법(1960)
‒생활보호법(1961)
‒아동복리법(1961)
‒고아입양특례법(1961)
‒윤락행위등방지법(1961)
‒군사원호보호법(1961)
‒재해구호법(1961)
‒사회보장에 관한 법률
(1963)
‒산업재해보상보험법(1963)
1970년대
• 국민연금 실시(1995)
• 국민건강증진법(1994)
•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등에 관
한 법률(1994)
• 사회보장기본법(1995)
• 정신보건법(1995)
• 사회복지공동모금법(1997)
• 국민건강보험법 제정(1999)
• 전 국민 연금실시(1999)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1999)
1980년대
• 국정지표 : 복지사회 건설
‒ 아동복리법→아동복지법으로 개
정 (1981, 1984)
‒ 노인복지법(1981)
‒ 장애인복지법(1981)
‒ 사회복지사업법 개정[1급, 2급, 3
급](1983)
‒ 사회복지전문요원 제도(1987)
‒ 국민연금의 실시(1988)
‒ 최저임금제의 도입(1988)
‒ 의료보험의 실시(1989)
‒ 모자복지법의 제정(1989)
1990년대
이후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1)
►
►
공동생활단계
자연이나 다른 집단으로부터의 불안이나 위협에 대처
생활보호대책
왕에 의한 공공복지
• 문명= 국가권력의 체계화
‒ 홍수통제를 위한 대규모 관
개(灌漑)사업
‒ 외적의 침입에 대비한 공동
방위
• 공공복지 : 파피루스『죽은
자의 책(The Books of Dead)』
‒ 환자와 가난한 자의 보호
‒ 노숙자구제
6
자선과 박애
• 자선(charity) : 궁핍하거나
의존적인 자에 대해 개인적으
로 소규모로 도움을 주는 행위
‒ 서양 : 교회와 수도원 중심
‒ 동양 : 자비를 통한 불교의
보시(대자대비)
• 박애사업 혹은 사회공헌
(philanthropy) : 궁핍한 자
를 돕는 것이든 공동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든
어떤 이유에 공감하여 비교적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기부행위
‒ 그리스·로마 : 숙박소와 의
료센터, 유족연금, 고아원
상부상조
• 상부상조(mutual aid) : 도
움을 주는 자와 도움을 받는 자
간에 서로 입장이 바뀔 수 있는
호혜성의 원리
‒우리나라 : 두레, 품앗이
‒서양 : 로마시대의 협회(꼴레지
아 collegia) → 해운업자협회, 제
빵업자협회, 정육업자협회, 중세의
길드→ 상인길드(merchant guilds),
직인길드(craft guilds)
• 길드의 기능 : ① 빈곤한 회원에 대
한 장례비와 유족지원, ② 빈곤한 회
원의 딸을 위한 결혼지참금 지급, ③
일종의 건강보험으로 회원 모두를 포
괄하여 환자에게 보호 제공, ④ 교회
당 건축 등 지역사회 공익을 위한 활
동수행
Related Documentation
2)
►
►
►
구빈법 단계
구빈법의 생성 배경 : 흑사병(1348), 노동임금의 상승→교회와 가족 보호의 한계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The Elizabethan Poor Law of 1601)의 탄생
미국의 공공부조와 기타 사회복지관련 입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구빈법의 중요 규정
① 빈민구제를 정부책임으로 인
식
② 행정적 기관의 설립
③ 빈민에 대한 부조의 재원은
조세를 통해 운영
④ 노동력의 유무에 따라 빈민을
구분하여 대처
⑤ 요부양아동을 보호함과 동시
에 도제제도를 도입
⑥ 강제노역장(workhouse)과 구
빈원(almshouse)의 활용
⑦ 친족부양의 책임을 강조
구호 대상자
현대적 의의
① 노동력이 있는(able-bodied) 빈
민
① 세계 최초로 구빈(救貧)을 법
으로 규정
② 현대 사회보장제도 중 공공부
조의 시초
③ 빈민구제에 대한 정부의 책임
을 인정함으로써 구빈원리를
확립
④ 빈민구제 담당행정기관을 설
립하여 구빈세(poor tax) 부과
⑤ 요보호 아동을 공적으로 보호
⑥ 노동능력 유무에 따라 강제노
역장과 구빈원(오늘날의 시설
보호)을 활용
⑦ 친족부양 책임을 강조
⑧ 부랑자의 발생방지
‒ 저임금 취업을 강요
‒ 일반시민들의 원조를 금함
‒ 노동을 거절했을 때는 강제 노
역/감옥
② 노동력이 없는(impotent) 빈민
‒ 노인, 맹인, 청각장애인, 어린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 심신장
애인
‒ 원외구호(outdoor relief) : 현
물급여(in kind)→ 재가 혹은
재택보호
‒ 원내구호(indoor relief) → 시
설보호 (institutional care)
③ 요보호아동(dependent children)
‒ 도제(24세)와 하녀(21세)
7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Related Documentation
2)
구빈법 단계의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계속
 개정구빈법(신구빈법)의 6대 기본원칙
임금보조철폐의 원칙
작업장 활용의 원칙
원외구호 제한의 원칙
구빈법(1601)은 산업혁명 등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수차례의 변천
과정을 거쳐 1834년에 개정구빈법
(Poor Law Reform of 1834), 즉 신구
빈법이 제정됨
구호행정 통합의 원칙
열등처우의 원칙
중앙통제의 원칙
8
Related Documentation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3) 자선조직협회 단계
생성배경 : 산업혁명→자본가계층과 노동자계층들 간의 소득의 편중 등의 중요한 사회문제
발생→ 사회적 책임론 vs. 자유방임주의 사조에 의한 개인적 책임론의 대두
⑴ 사회개량운동
차티스트 운동 (The
Chartists, 1844):
노동자 소유의 최초
소비조합 매점
정치적 목적이었으나
경제적 조건개선으로
바뀜
⑵ 자선조직화 운동
자선조직화 운동
(COS : The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민간자선기관들의 재
정운용과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
해 조직됨.
우애방문원 : 상류층
중심의 모임
개별사회사업과 가족
상담 접근방법의 선
구자 역할 : 현재의
전문사회사업가의 선
구자 역할
9
⑶ 인보관운동
중류층 중심의 사회
계몽운동
역사 : 바네트(Samuel
Barnett, 1884) 가 영국
동부 슬럼에 토인비 홀
(Toynbee Hall) 설립 →
코이트(Stanton Coit,
1886)가 뉴욕의 슬럼 지
역에 Neighborhood
Guild(5년 후에
University Settlement라
불림) 설립 → 제인 아담
스(Jane Adams, 1888)가
헐 하우스 (Hull House)
설립
집단사회사업, 사회행
동, 지역사회조직사업
의 발전에 공헌
⑷ 사회조사 활동
부스(Charles Booth,
1880)의 런던 빈민
굴 조사, 라운트리
(Seebohm
Rowntree)의 요크
(York)시 조사, 캘로
그(Paul Kellog)의
지역사회실태 조사인
피츠버그 서베이
(1907~1908) 등의
조사활동 사회조사
결과 : 빈곤이 개인적
속성에 의해서 결정
된 것이 아니고 사회
적· 구조적 결함에 의
해서 발생하는 것을
입증
Related Documentation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4) 사회보험 단계
“사회보험제도의 등장배경”
►
►
►
►
산업화 이후의 자본주의 발전과 병행한 각종 사회문제의 심화
문제의 해결에 대한 가족 및 시장기능의 한계 및 그것에 대한 인식
노동운동의 정치세력화에 대한 정치적 압력
근대국가의 성장과 개입적 기능의 확대
독일의 비스마르크 사회보험
미국의 사회보장법 제정
영국의 베버리지 보고서와
사회보장제도의 확립
• 채찍과 당근 정책의 일환으
로서 ‘사회주의자 진압법’
• 1929년 경제공황 이후 빈곤에
대한 사회복지정책의 변화
• 루스벨트(Franklin D. Roosevelt,
1933) : 부흥, 구제 및 개혁을 골
자로 하는 뉴딜(New Deal) 정책
을 선포
• 베버리지(William Beveridge)
보고서 : 1943년 11월 ‘사회보
험 및 관련 서비스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발
간→소득보장
• 베버리지 보고서의 주요원칙
• 비스마르크 사회보험
‒ 질병보험(1883)
‒ 노동재해보험(1884)
‒ 노령폐질보험(1889)
‒ 부흥정책 : 은행, 산업, 농업
‒ 구제정책 : 실업구제
‒ 개혁정책 : 실업과 빈곤의 책임이
개인의 책임이라는 자유방임사상
의 개혁과 통제경제, 사회보장, 노
동문제 개혁 등에 관한 정책
• 1935년 사회보장법(Social
Security Act of 1935) 제정
10
‒
‒
‒
‒
‒
통합적 행정
적용범위의 포괄화
기여의 균일화
급여의 균일화
수급자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급여의 적절화
‒ 대상의 분류화
Related Documentation
(2. 서구의 사회복지 역사)
5) 복지국가의 발전과 위기, 재편 단계
“복지국가의 출현배경”
복지국가의 발전
• 영국
‒ 가족수당법(1945), 국민보험법
(1946), 산업재해법(1946), 국민보
건 서비스법(1946), 국민부조법
(1948), 아동법 (1948), 사회보장법
(1948) 전면 실시
• 미국
‒ 1946년 사회보장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의 수립
‒ 사회보장법(1950, 1952, 1954,
1956, 1958, 1963) 수정
‒ 1965년 수정 : 노령수급적격자, 유
족보험 및 실업보상의 대상수의 증
가, 공공부조 프로그램이나 보건복
지서비스의 운영을 강화
11
►
►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모순이 누적되면서 발생하였던 대공황
세계대전의 영향
복지국가의 위기와 신
자유주의의 영향
• 198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신자유
주의 이념을 신봉하는 신우파 정당
이 집권→ 복지국가의 해체 : 복지비
용의 삭감 및 지출구성의 변화, 공공서
비스를 포함한 공공부문의 민영화 및
기업에 대한 규제의 완화, 지방정부의
역할축소, 노조를 포함한 사회세력의
약화 등
• 대처리즘(Thacherism)과 레이거노
믹스(Reaganomics) : 노동연계복
지(workfare) 선호
• 노동하는 빈곤자의 탄생
• 복지제도의 내용과 양적 측면에서
축소경향→ 복지지출의 완만한 증
가
복지국가 변화의 방향
• 재상품화(re-commodification) : ‘근로
복지(workfare)’ 강조
‒ 탈상품화(decom-modification) : 근
로동기의 감소로 사회복지 수급자 및
급여수준의 증가 현상
‒ 예 : 1996년의 복지개혁(welfare
reform)에 따라 AFDC(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TANF(Temporary Assistance to
Needy Families)
• 비용억제(cost containment)
‒ 사회복지지출비용의 억제
‒ 국가부채규모와 조세부담율 증가
• 재정비화(re-calibration)
‒ 합리화(rationalization) : 프로그램의
효율성 증가를 위한 방법으로 수정(스
웨덴의 질병수당)
‒ 최신화(updating) : 새로이 변화된 사
회 환경에서 필요(need)의 괴리가 발
생하는 것을 수정(예: 여성의 가사노
동을 인정해 주는 것)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