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1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837Kbyte)

Download Report

Transcript Part1 제2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837Kbyte)

사회복지실천론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1) 도시화와 이주민 구제
• 사회복지실천의 근간을 언제쯤으로 볼까? 일반적으로
19세기경으로 본다. 이때는 이론형성 이전의 시기로서
실천가는 욕구를 발견하고, 이에 대응하는 수준이었다고 볼
수 있다.
• 당시 시민전쟁(1861~1865) 이후의 급박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흐름에 따라 늘어난 이주민은 도시 중심의 사회문제를
일으켰는데, 빈곤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어려움은 사회로
하여금 요구되는 서비스를 창출하도록 압박을 가했다.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2) 자선조직협회
• 자선조직협회는 1869년 영국의 런던에서 처음 설립되어
빈민에 대한 중복지원을 방지하고 여러 자선활동을
조정하며, 환경조사와 더불어 적절한 원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
• 미국에서는 1877년 뉴욕 주 버팔로(Buffalo)에 그 활동이
확산하여 빈민에 대한 한시적인 구호가 아닌 우애방문자를
통하여 근로와 절약의 가치를 교육하는 데 주력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3) 인보관 운동: 치료(treatment)와 정의(justice) 패러다임의 대두
• 1854년 영국의 캠브리지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의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슬럼가의 생활체험을 통해 빈민을 교육하고, 그들
자신이 스스로를 변화시켜 가난에서 벗어나도록 돕고자 했던
일종의 사회운동에서 비롯됨
• 바네트(S. Brnet) 목사에 의해 1884년 런던의 동부 빈민지역에
세계 최초의 지역사회복지관인 토인비 홀(Toynbee Hall)이 설치됨
• 미국의 인보관 운동은 1886년 스텐톤 코잇(Stanton Coit)에 의해
뉴욕시에 도입되었고, 이후 의과대학생이었던 아담스(J.
Addams)와 스타(E. G. Starr)에 의해 1889년 시카고에 세워진 헐
하우스(Hull House) 등을 통하여 도시빈민지역의 대표적인
사회운동으로 급속히 확산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표 2-1>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 비교
구분
자선조직협회
대표 인물 • 리치먼드(M. Richmond)
• 사회주의 사상
• 인도주의적이고 사회주의적
기능 담당
• 기독교 사회주의
• 자유주의, 급진주의 성향
주체
빈곤관
• 중산층 여성 중심(우애방문자)
• 개인주의(개인책임)
• 중류층 지식인, 대학생 중심
• 사회환경(사회개혁)
서비스
• 경제부조: 서비스 조정에 초점
• 사회복지사 중심
• 서비스 자체에 초점
• 클라이언트 중심
방법론
• 개별사회사업
•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사업
지향점
• 개개인의 복지
• 대중의 복지
이념
차이점
인보관 운동
• 아담스(J. Addams)
공통점
궁극적인 목적: 복지와 안녕의 추구
⇨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유지, 통합, 발전시킬 필요성 대두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4) 사회복지실천가 교육과정의 시초
• 19세기 말 자선조직은 지방도시와 협력체계를 맺고 다양한
구제활동을 수행
• 각 지역의 자선조직협회에 소속된 경영진은 기금운용에 대한
책임을 준수하고, 우애방문자를 훈련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훈련받은 우애방문자는 최초로 임금체계를
갖춘 사회복지사로 발전
• 우애방문자의 역할을 정립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련의 표준 훈련과정이 개발되었는데, 이것이
사회복지실천가를 위한 전문적 교육과정의 시초라 알려짐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5)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 논란
• 특히 1915년 The National Conference on Charities and Correction에서
플렉스너(A. Flexner)에 의해 제기된 사회복지실천가에 대한 전문성
논란은 당시 실천가에게 자신들의 활동을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됨
• 플렉스너(1915)는 미국의 초창기 고등교육의 영향력 있는 비평가였으며,
의과대학에 관한 그의 보고서는 미국과 해외의 의학전문가 양성교육에
큰 변화를 이끌었음
• 20세기 초반 상당수 실무자가 여성이었던 사회복지실천은 학문
분야로서의 기준을 확립하고, 실천의 목적을 재정의
•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군분투. 플렉스너는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의 발전양상을 의학, 법학, 공학과 같은 기존의 확립된
전문직과 비교하며, 사회복지실천이란 전문가 협회, 이타심, 지식
창출이라는 점에서 특화되어 있으나, 이 외에는 전문직으로서 부족한
점이 많다고 비판
1.
1) 1920년대 이전 시기
(6) 사회복지실천의 과학적 고찰
• 1917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최초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리치먼드의 『사회진단(Social Diagnosis)』이 출간되면서,
사회복지실천에 사정(assessment)을 위한 최초의 개념 틀이
마련되었다. 리치먼드는 사정을 의학모델에 따라
진단(diagnosis)이라 표현하였는데, 그의 책이 출간되기 이전에
사회복지실천은 사회과학(특히 사회학)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음
• 출간 이후 성격과 인간 내면에 대한 관심영역인 심리학의 영향이
사회복지실천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기 시작. 이는 논리실증주의적
사고가 팽배하였던 당시 자연과학과 같은 방식으로 사회현상에서도
원인과 결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었고, 개인이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정확한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서 더욱
광범위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시대적 요구와 들어맞는
상황이었음
1.
2) 1921~1945년
(1) 개별사회복지실천의 성장
• 개인 내면의 심리적 갈등의 원인을 성장 과정과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자아인식을 통해
개인이 속한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이후
심리학자들의 다양한 이론은 개별사회복지실천에
중점을 둔 임상사회복지사(Clinical social
worker)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
1.
2) 1921~1945년
(1) 개별사회복지실천의 성장
• 1919년에 창설된 미국사회복지교육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s
of Social Work)는 1927년에 이르러 회원으로 속한 사회복지실천가가
공유해야 할 교육과정의 필수요건을 개발하였고, 이는 이후
사회복지 석사교육과정의 인증기준으로 발전
• 1928년에 개최된 The Milford Conference는 당시 개인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사회복지기관의 회합으로서,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개별사회복지사의 공통성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하여 논의하는 자리였다.
• 사회복지실천가들이 활용하는 치료란 정신의학에서 의미하는
물리적 치료보다는 클라이언트와 실천가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의
영향력을 의미함
1.
2) 1921~1945년
(3)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발달
• 해밀턴(G. Hamilton)은 진단주의학파의 주요한
이론가로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진단(diagnosis)이란
용어를 명확히 하였다.
• 1940년 그녀의 저서에서 진단이란 “문제 그 자체와
문제를 가진 당사자를 이해하기 위하여 세운
작업가설”이라 설명하였는데, 이는 주어진 환경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해석이 강조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1.
2) 1921~1945년
(4)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의 필요성 대두
• 이 시기의 또 다른 주요한 활동은 집단지도와
지역사회조직이 사회복지실천의 방법으로서 인정된
것이다.
• 1929년에 시작된 대공황은 이후 미국의 모든
사회경제적 구조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금융시장의
몰락으로 말미암은 실업자는 약 1,300만 명을
웃돌았으며, 개인의 결함이 아닌 사회 구조적 결함으로
발생한 빈곤계층의 급증은 민간기관과 지방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1.
3) 1946~1960년
(1) 펄만(H. Perlman)의 문제해결과정
• 펄만이 1957년에 출간한 『Social Casework: A Problem
Solving Process』는 그녀의 임상적 경험을 토대로
진단주의와 기능주의의 양측 전문가와 함께 연구한 통합적
연구물로서, 사회서비스 실천에 대한 시카고 학파의 효시가
됨
•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통합을 이룬 성과로서 평가된다.
위의 책은 지난 논쟁의 재탕이 아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것이었으며, 기존의 사회과학과 정신의학의 이론을
접목시키고, 자신의 임상적 경험을 사회복지실천의 틀 속에
녹여 창출해 낸 고유한 업적으로 오늘날까지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서가 되고 있다.
1.
<표 2-2>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비교
구분
배경
주요이론
진단주의
기능주의
• 1920년대, 프로이드의 영향
• 1930년대, 오토 랭크의 영향
• 정신분석이론(의학모델)
• 성장이론(생활모델)
인간에 대한
• 결정론적, 기계론적 관점
관점
• 창의적, 의지적, 낙관적 관점
개입초점
• 자아의 강화
• 환경에 대한 적응력 강화
• 스스로 자아를 전개하다록 원조
• 시간과 장소와 원조과정의
구조화
주요용어
• 질병
• 치료
• 성장
• 원조
발전이론
• 홀리스의 심리사회모델
• 펄만의 문제해결모델
• 로저스의 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1.
3) 1946~1960년
(2) 사회복지실천 전문단체의 통합
• 1950년대는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한 영역과 방법론 적용이 확대되는
시기임과 동시에 전문단체 간의 단일화를 추구한 시기
• 당시 사회복지실천은 전문협회의 결성과 전문가 양성교육에 총력을
기울였으며, 1955년 다섯 개의 전문적 사회복지실천 단체가
미국사회사업가협회(AAW)와 통합되어 단일화된 전문단체인
미국사회사업가협회(NASW)로 재정립
• 미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CSWE)는 기존 교육협회들을 통합하였으며
대학원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성
• 1952년 CSWE는 개별사회복지실천과 함께 집단사회복지실천,
지역사회조직을 방법론으로 인정함으로써 향후 통합적 방법론의 초석을
다졌으며, NASW는 1960년에 윤리강령을 제정함으로써 전문직의
조직화에 노력
1.
4) 1961~1975년
(1) 빈곤과의 전쟁
• 1960년대로 들어서면서 다수의 사회복지실천가는 개인에 초점을 두는
임상(개별, 가족, 집단)방식으로는 절대적 빈곤 같은 상황을 해결할 수
없음을 인식
• 그리하여 지역사회환경에 더 큰 관심을 갖게 됨. 초기에는 빈곤이란 지역적
속성을 갖고 산발적으로 감지되는 현상이라 여겼으나, 1960년대 중반에
이르러 많은 연구는 빈곤이란 어느 특정지역에 국한된 문제이기보다는 쉽게
경제적ㆍ인종적 차별과 연결될 수 있는 이슈임을 강조
• 처음에는 탈(脫)빈곤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사회복지실천가의 역할은 무시된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빈곤대상자 스스로 역량강화가 되는 것이 프로그램의
목적이었기 때문
•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조직,
행정, 클라이언트와 함께 일하는” 실천지식이 필요함을 절감하게 되었고,
그로 말미암아 대부분 대학의 사회복지 교육과정 내에 특화된 전공으로 정책,
계획, 행정 분야가 추가
1.
4) 1961~1975년
(2)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 대두
• 1960년대와 1970년대 중반까지 사회복지실천은 다양한
이론과 관점의 발달로 전통적인 실천방법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 양측 모두 심화된 이론체계를
재정비하였으며, 사회복지실천의 주요한 다섯 가지
개념(사정, 환경 속의 인간, 과정, 관계, 개입)은
사회과학의 발달과 함께 통합되고, 사회체계이론과
의사소통이론의 적용을 통해 진화하기 시작
1.
5) 1976~1990년
(1) 레이거노믹스
• 1980년 공화당의 레이건 대통령이 집권한 시기는 한
마디로 미국 내 복지국가에 대한 공격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 보수주의 경제정책 이른바,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는
조세와 정부의 공공정책지출이 경제구조의 뿌리 깊은
문제의 원인이라고 인식하며, 조세감면, 철저한
통화관리와 더불어 연방정부의 지출삭감과
사회복지지출의 억제정책을 추진
1.
5) 1976~1990년
(2) 사회복지실천의 질적 성장과 자격관리
• 1977년에는 사회복지 박사학위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모임(GADE)이 창설되어 각 대학의 회원제를 통해 정기적 모임을
진행하고 오늘날까지 박사학위 교과과정과 교육행정에 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 1979년에는 각 주정부의 사회복지사 자격관리 과정을 통일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회복지사자격관리위원회협회(ASWB)를 창설,
• 오늘날 지원자의 자격 충족 요건에 따라 전문학사(Associate),
학사(Bachelor), 석사(Master), 고급일반주의실천(advanced
generalist), 임상(clinical)의 다섯 가지 종류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실천가 자격관리 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1.
5) 1976~1990년
(3) 옹호와 정치적 로비활동
• 사회복지실천가는 정치적 행동의 중요성을 절감하였고,
정치적 과정에 사회서비스 소비자의 참여를 지지하기
위한 입법 로비활동을 주요 관심사로 삼았다.
• 피번(Piven), 크로워드(Cloward)와 같은
사회복지교육자들은 사회서비스 소비자의 권익옹호를
위하여 선거인 등록과 정치적 인식개선 캠페인을
시작함으로써 이러한 사회운동의 선두에 앞장섰다.
1.
6) 1991년 이후
(1) 복지개혁
• 1990년대 미국의 복지개혁은 1935년 Social Security Act
이래 당연히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 공공부조를 종식시키고,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을 도입하였다.
• 1996년 미국 의회는 ‘Personal Responsibility and Work
Opportunity Reconciliation Act’를 승인함으로서 오랜 역사
동안 모자가정을 지원했던 ‘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AFDC)’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ies(TANF)’을 시행하였다.
1.
6) 1991년 이후
(2) 사회복지실천의 효율성 강조
• 공공부조의 정책적 맥락이 급변함에 따라 사회복지실천
또한 저비용-고효율의 압박을 받게 되었다.
• 단기개입과 자조모임, 비공식적 자원망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해결중심실천접근이 활용되었다.
• 생태체계적 이론과 강점관점은 문제해결접근과 결합되어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사정하는 데 강력한 도구로
발전되었다.
1.
6) 1991년 이후
(3) 시대적 추세와 다양한 관점의 공존
• 1990년대 이후 21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영역은 지속해서 진화·발전하고 있다.
• 아동, 장애인, 노인, 빈곤층과 같은 전통적인 서비스
이용자뿐 아니라 국제 협력과 사회적 기업 등 실천가의
활동영역이 새롭게 개척되고 있다.
• 특히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호혜성을
강조한 원조관계의 접근은 사회복지실천가로 하여금 서비스
이용자가 스스로 역량 강화할 수 있도록 원조하고,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체계와 역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동반자적 관계를 맺도록 제시한다.
2.
1) 1946~1960년
(1) 외원단체의 활동
• 미국의 사회복지실천방법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950년대 6ㆍ25전쟁의
발발과 함께 7개의 외국원조기관이 1952년 3월 부산에서 결성되어 1970년
초까지 활동한 약 15년간의 세월을 통해서이다.
(2) 사회복지 대학교육과정 설치
•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전문교육에 있어 매우 독특한 부분은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가치, 이론적 토대에 대한 논의가 정책적으로나
현장에서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대학교육과정에 사회복지학문이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 1957년 한국사회사업학회가 창립되어 강남대 사회사업학과 설치에
이바지한 김덕준 교수와 서울대 사회사업학과 설치에 이바지한 하상락
교수를 중심으로 학문적 활동이 시작되었다.
2.
2) 1961~1992년
(1) 사회복지 전문단체 결성
•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복지실천 전문직 단체는 1965년 한국
Caseworker협회로서, 당시 외원기관과 병원 등에 소속된
개별사회복지실천가들이 주로 활동한 모임이었다.
• 이후 1977년에는 사단법인 한국사회사업가협회,
1985년에는 사단법인 한국사회복지사협회로 개칭하였으며,
1982년부터 제정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1차 개정을 거쳐
1988년 공포하기에 이르렀다.
2.
2) 1961~1992년
(2) 사회복지 제도화와 전문인력 관리
• 1961년 이후 사회사업과 사회보험 관련 법률(예: 생활보호법,
갱생보호법, 아동복리법)이 우후죽순 입법화되었다.
• 1970년대 국가의 정책적 우선순위가 경제적 성장과 낙후된
지역사회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당시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은
많은 부분 YMCA, YWCA 등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연계되었다.
• 1972년 사회사업교육자세미나에서 1960년 이후 활동이
중지되었던 사회복지학회 존립의 필요성이 재론되었으며,
1985년 한국사회복지학회로 확대, 재설립하여
『한국사회복지학』 학술지를 발간하는 등 학술활동을
재개하였다.
2.
3) 1993년 이후
(1) 다차원적 실천방법의 확산
• 1990년대 이후 사회복지실천의 교육과정은 더욱 다양하고
세분화된 실천기법을 포함하게 되었다.
• 일반주의 실천(generalist practice)과 특화주의 실천(specialist
practice)의 차별화를 위한 논쟁, 생태체계관점과 복지실천의
핵심가치에 대한 논의, 사회복지실천의 과학적 검증에 대한
시대적 요구 증대, 통합적 실천방법으로서 사례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 확대,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실천 간의 유기적 관계 등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천방법을 강구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2.
3) 1993년 이후
(2) 보편적 복지와 서비스제공주체의 다원화
• 권위주의 타파와 민주화를 지향한 문민정부는 1995년
지방자치제도를 시행하였고,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을
통해 사회복지사자격 국가시험을 신설하였으며, 1999년
사회복지전담요원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개칭하여 확대,
배치
•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국가시험은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가의
질적 관리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2008년부터 사회복지사
의무보수교육이 법제화되어 실천가의 전문성 향상과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