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김용철,

철학통론
Introduction to Philosophy
by Dr. D. Suh
(University of Seoul)
앎과 진리(8)
• 상대주의(relativism)
사람들이 갖는 서로 다른 의
견은 각자 자기 나름의 관점에서 보
면 모두 옳을 수 있다.
☞ Protagoras - “인간은 만물의
척도”
• ① 어떤 진술이나 믿음의 참 거짓 여부
는 그런 진술 또는 믿음을 갖게 된 사회
문화적 환경(세계관 포함)과 관련
• ex) 빨간색 부표가 왼쪽에 있다.
• ② 어떤 진술이나 믿음의 참 거짓 여부
는 각자의 사람들이 그 진술이나 말로
어떤 것을 의미하는가에 달려 있다.
• ex) ‘신’은 ‘존재’한다
“보는 사람의 처지에 따라 살인이
의거가 되고 대량학살이 위대한 정
복이 된다. 나의 문제제기를 배신이
라고 여기는 사람이라면, 그는 배신
당한 사람의 입장에 선 것이니 내가
어찌할 도리가 없다.”
--- 김용철, <삼성을 생각한다>
앎과 진리(9)
• 상대주의의 가장 심오한 형태
인간 종의 관점과 외계인(인간과 다른 종 포함)의 관점 차이
- 사회문화적 상대주의의 확장판
- 인간 종(種)의 관점이 지닌 불가피한 한계를 수용
- 인간 종과 다른 방식으로 지각, 생각하는 생명체의 인식 방식과 이
로부터 획득하는 진리를 무시할 수 없다.
• 반상대주의(anti-realism)
인간의 관점이 옳든 외계의 관점이 옳든 어쨌든 진리는 하나
앎과 진리(10)
• 논리(logic)와 추론(reasoning)
추론: 판단과 판단의 논리적 관계.(전제가 되는 판단에서 결론이 되는 판단을
끌어내는 논리적 과정)
<잘못된 추론의 예>
ex) 연료가 없으면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는다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으면 연료가 없다
• 논리(학)의 가능성
• ① 우리는 전제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 추론이냐 아니냐를 알 수 있는 기준을 갖
고 있다.
• ② 우리는 간혹 그런 기준을 어기고 실수를 범하지만, 전제에서 결론에 이르는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다 보면 잘못을 발견할 수 있다.
앎과 진리(11)
논리 규칙에 합당한 추론
=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거짓
일 수 없는 추론
= 결론이 거짓이면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는 거짓인 추론)
ex) (p1) 모든 푸들은 개다
(p2) 모든 개는 이빨이 있다
(c) 모든 푸들은 이빨이 있다
논리 규칙을 위반한 부당한 논증
=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거짓
일 수 있는 추론
= 결론이 거짓인데도 전제가
모두 참일 수 있는 추론
ex) (p1) 모든 푸들은 개다
(p2) 어떤 개는 꼬리가 있다
(c) 어떤 푸들은 꼬리가 있다
• 논증(추론)이 논리적으로 타당한
가는 그 논증의 전제가 현실 세계
에서 실제로 참인가와 무관하다.
중요한 것은 전제가 참이라면 그
것이 결론을 정당화하는가 여부
앎과 진리(12)
• 논증의 유형들
- Aristoteles의 삼단논법(syllogism)
전제와 결론의 포함관계가 중요
All A is(are) B
Some C is(are) A
Some C is(are) B
- 현대논리학
연결사가 중요
If A then B
If C then B
A or C
____________
B
기호논리(인공언어)의 고안
P or Q or R (P∨Q∨R)
-P and -Q (-P∧-Q)
_________________
R
(R)
P⊃Q
-P⊃Q
P∨-P
______
Q
앎과 진리(13)
• 귀납(induction)과 연역(deduction)
귀납 추론
① 반복되는 개별 사례들로부터 일반화
ex) ‘하루에 밀물이 두 차례 일어난다’
② 논리적이지는 않더라도 합리적임
③ 전제가 참이더라도 결론은 거짓일 수 있다. 즉 결론이 참이더라도 개연적, 확률적 참
cf) 연역: 전제가 참이면 결론은 (필연적) 참
Hume : 귀납은 논증의 결론을 믿어야 할 ‘결정적인’ 이유를 제시하지 않기 때
문에 귀납적 일반화로 얻은 믿음은 ‘지식’이 아니다.
(“내일 태양이 다시 떠오를 것인가?”)
④ 귀납도 (연역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갖고 있는 믿음에 이유를 제공하는 또 하나의 방
법. 그러나 어떤 믿음도 절대적으로 확실하다고 할 수 없음
⑤ 귀납의 경우 추가적인 전제가 붙으면 결론이 거짓될 가능성
cf) 연역: 추가적인 전제가 붙더라도 결론은 여전히 참
Russell : 칠면조의 예
앎과 진리(14)
과학적 지식의 특성
이론과 관찰(경험)의 결합
① 터무니없는 사변이 아니라 주의깊은 관찰과 통제된 실험에 의거
② 매우 추상적인 개념을 사용하여 우리에게 친숙한 사건들을 설명
이론과 경험의 결합 방식
① 가설과 실험의 연결
표준 지식이 곤경에 처할 때 대담한 추측을 통한 가설이 제기되고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실험과 관찰이 진행. 이러한 실험과 관찰을 통한 검
증을 견뎌낸 가설들이 새로운 표준 지식이 됨(K. Popper 의 반증주의)
② 이론의 계량적 형식화
이론의 계산적 엄밀성으로 관찰과의 거리가 좁아 거짓된 이론을 확
인하고 반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짐
앎과 진리(15)
• 반증주의(fallibilism)
- K. Popper
• 과학 이론의 성립과 폐기는 반
증(falsification) 여부에 의존
• 과학의 발전은 논리적 구조를
갖고 있다.
• 과학과 사이비과학을 나누는
기준은 이론의 반증가능성
(falsifiality)
추측(conjecture)
반박
(reputation) 테스트 견뎌냄
잠정적인 과학적 가설
• 과학혁명(scientific
revolution)
- Th. Kuhn
• 과학 이론의 성립 또는 폐기는
검증(verification) 또는 반증이
라는 합리적 기준이나 절차에
따르지 않는다
• 과학의 발전은 선형적이지 않다
(논리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학
적이고 심리적인 힘의 문제)
정상과학
위기
통한 패러다임 교체
정상과학 출현
혁명을
새로운
앎과 진리(16)
• 상식(common sense)
- 세계에 대한 정보 수집 능력과 의사 결정 능력의 혼합물
- 시대와 장소에 따라 상대적이나 그 편차가 그리 크지 않음.
- 통속 심리(folk psychology)를 통해 형성된 거대한 배경 지식을 전제로 함.
• 상식과 과학적 지식
- 상식: 당연시되는 믿음
- 과학적 지식: 정교하게 정당화된 믿음 = 이론적 지식
- 상식에 의문이 생기고 반성이 가해질 때 과학적 지식으로 이행
앎과 진리(17)
• 실용주의(pragmatism)
Kant 구성주의 인식론: 우리의 마음이 경험을 구성
실용주의자들: 우리 마음이 무엇을 진리로 간주할 것인지 결정함으로써, 진리를
만들어 낸다
실용주의자
C. S. Peirce : 진리는 결국 인간 자신이 ‘진리’로 믿게 되는 것
W. James: 진리는 인간에게 ‘유용한 것’
실용주의 정신: “Learn by doing“
J. Dewey
- 철학의 목표는 실질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것. 믿음은 실천적 삶의
도구.
- 지식은 어떤 가설이 정합적이고 현실에 적용 가능할 때 성립. 경험의 일부이며, 끊
임없는 검증 과정에 맡겨짐.
사유는 문제해결적 사유. 가설의 제안과 검증의 과정
앎과 진리(18)
•
•
지혜(wisdom)
삶과 지식, 그리고 지혜
- 사회적, 실천적 상황을 잘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
- 지식과 지혜의 결합
① 인식적 덕성(epistemic virtue): 지식의 획득에 도움이 되는 지혜
호기심을 갖되 경솔함이 없어야 하고 용기를 발휘하되 무모하지 않아야 하며, 정열이 있되 소
모적이어서는 안됨
주제의 선택과 탐구 방법에 개입. 특히 인식적 덕성에 도덕성이 결합되는 것이 중요.
ex) 핵무기 개발, 자백을 받아내는 최선의 방법 연구
② 지혜는 삶과 우주의 본성에 대한 심원한 지식
ex) 진화론의 세계관적 의미를 이해
③ 지혜는 사람들을 훌륭한 삶으로 인도하는 지식
ex) 행동 동기 이해 방식, 욕망 처리 방법에 대한 지식
- 지식과 지혜의 결합이 왜 필요한가? 이성적인 삶의 영위
고대 그리스철학의 주제이자 동서양을 막론한 ‘지식인’의 이상
선과 아름다움(1)
• 도덕(morality)이란 무엇인가?
- 도덕의 기본 개념들
선과 악, 옮음과 그름, 의무와 복종
- 도덕 이론
도덕의 기본 개념들을 해석
- 도덕의 출발점
“What ought I to do?”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욕구와 소망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것을 자각
선과 아름다움(2)
• 도덕은 관습인가?
- 발생적 차원
ethics의 어원인 ethos와 morals의 어원인 mores는 ‘관습’ 또는 ‘관행’
ex) 대부분 종교들이 지닌 윤리 체계
- 타당성 차원
시간, 공간을 초월한 보편적 규범
ex) Platon의 <국가>
- Socrates: 도덕은 인위적이거나 외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 본성과 조화
를 이루어야.
cf) Thrasymachus: 정의는 강자의 이익(누구나 처벌이 없다면 비도덕적 삶을 살
것이라는 점을 전제)
선과 아름다움(3)
• 도덕은 감정(sense) or 이성(reason)에 기반?
• 도덕감(moral sense)
- Hume, Schaftesbury, Hutchson 등 17-8세기 영국 경험론자
- 도덕과 자기이익의 조화
- “도덕은 호, 불호의 문제” (Schaftesbury)
“내 손가락의 상처보다 세계 전체의 파괴를 좋아한다고 해서 이성에 위배
되는 것은 아니다.” (Hume)
- 18-9세기 공리주의 형성에 기여
선과 아름다움(4)
• 공리주의(utilitarianism)
고통을 억제하고 최대한의 행복 산출하는 행위가 옳다.
- 사람은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충동을 갖고 있다는 사실적 믿음과 공공의 복지를 추구
해야 한다는 도덕적 주장을 결합
- Bentham: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 비판
① 행위의 모든 가능한 결과는 계산불가능
② 행위 당시의 결과나 의도된 결과가 아니라 실제적인 결과를 기준으로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은 잘못
③ 부정의한 결과(다수에 의한 소수의 희생)가 정당화될 수 있음
선과 아름다움(5)
•
윤리 원칙들(혹은 도덕 법칙들)
= 법칙론(의무론, deontology)
행위의 옳고 그름은 행위
결과와 무관 cf) 결과론(또는 목적론, teleology)
• - Kant의 의무론: 윤리 원칙들은 특정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제약을 받지 않는다. 관련 당사자의 이
익이나 불행 또는 행위자의 자연적 품성 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정언명법
“If the doctrine of morals were merely the doctrine of happiness it would be absurd to seek
a priori principles for it.” (Immanuel Kant, The Metaphysic of Morals)
•
법칙론에 대한 비판
- 행위 결과를 고려하지 않는 원칙주의
- 예외적 조건이 많은 일상 생활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선과 아름다움(6)
• J. Rawls의 원칙론 수용(Kant의 현대적 수용)
• 정의의 원칙 도출하기 위한 조건
- 계약론의 수용
- 계약 상황 = 계약 당사자들이 처한 입장은 “원초적 입장(oiriginal position)”
: 무지의 베일을 쓴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 결과에 영향을 끼칠 자신의 조건들에
대해 무지
- 단, 계약 당사자들은 스스로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존재임을 자각
- 최소극대화(maxmin) 원리에 따라 계약
정의의 두 원칙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