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01-인간과 윤리
인간과 윤리
1. 윤리의 위기 시대
• 윤리적 위기의 실상
1)
2)
3)
4)
5)
6)
7)
8)
가족의 위기
가정의 파탄
청소년 문제
교사 윤리
공직자 윤리
기업 윤리
사치 풍조와 성도덕 문란
무질서
물리(物理)란?
• 물질의 세계에 존재하는 일정한 법칙이다.
• 물질의 세계에 속한 모든 사물들은 이 물
리의 법칙에 따라 서만 존재하게 된다.
윤리(倫理)란?
• 인간 삶에 존재하는 삶의 원리이며 반드시
지켜져야 할 어떤 법칙과도 같은 것이다.
그 법칙을 벗어난 삶은 인간의 삶을 파괴
하는 것이다.
• 사회라는 삶의 공간 속에서 인간은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살게 되는데 이러한 관계들
을 올바로 규정하는 규범을 윤리라고 한다.
•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학문이다.
"윤리"의 용어적 의미
• 최초 사용자: 아리스토텔레스
•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
– 행복과 덕에 관한 행위이론
• 인간 정신을 구성하는 세가지 요소
정념(pathos) + 이성(logos) + 윤리(ethos)
• 선과 악을 분별하는 인간의 영혼은 관습적
으로 양성된 가치 즉, 윤리(ethos)에 근거하
여 개인의 품성, 사회적 관습을 형성하며 살
아 간다.
• 윤리라는 말 "에토스"에서 "행실"(도덕)이
란 말이 파생되게 됨.
• 로마의 학자(키케로, 세네카)들에 의하여
라틴어인 모랄리스(moralis)로 번역되었고
오늘날 도덕을 뜻하는 모랄(moral)이라는
용어가 파생되었다.
윤리와 도덕
• 옳고 선한 것에 관한
규범에 대한 일반적
인 이론
• 이론적인 것
• 일반적인 것
• 윤리학: 옳고 선한 것
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
• 옳은 것을 실천하는
주체적인 태도
• 실천적인 것
• 특수한 것
• 옳다고 믿는 것을 실
행하거나 실제로 그렇
게 사는 것
윤리학의 질문
• 어떻게 사는 것이 도덕적이고 옳은 삶인가?
• 옳고 그르다는 것은 무엇인가?
• 그 판단의 근거는 무엇(왜)인가?
• "윤리학(도덕철학)이란 삶을 어떻게 살아
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생기는 다양한 종류
의 문제를 숙고하는 것이다."
- 잭 맥글린 -
목적론적 접근법
• 목적론적 접근법(The Teleological Approach)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
• 도덕적 의무의 기초를 그 행위를 통해 얻
을 수 있는 선한 결과에 둔다.
•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가지
고 있는 내재적이고 본질적인 어떤 것(소
위 말하는 도덕성)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그 행위가 낳은 결과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테러와의 전쟁
• 9.11 테러 이후, 알 카에다 조직과 오사마
빈 라덴을 처단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을 지
원하고 있던 탈레반 정권을 향해 아프카니
스탄 전쟁을 일으켰다.
• 이 전쟁에서 많은 양민들과 어린 아이들이
무고한 목숨을 잃었다.
• 국제사회는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해 전쟁
의 비도덕성을 묵인했다.
국제사회의 이해
• 목적론적 접근법에 의하면 많은 생명을 앗
아가는 전쟁이라는 방법을 선택하긴 했지
만 궁극적으로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
한 행동이기 때문에 윤리적인 행동으로 받
아 들여질 수 있다.
• 공리주의(Utilitarianism): 존 스튜어트 밀
• 윤리적 행위란
"최대한의 선 혹은 최소한의 악을 낳는 것
이다.“
문제: 소수의 무고한 희생자가 발생한다 할
지라도 다수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정당하
다고 보는 것이 정말 타당한 것일까?
의무론적 접근법
• 의무론적 접근법(The Deontological
Approach)
• "내재적인 도덕성에 의해 결정된다."
• 인간의 행위가 도덕적인지 아닌지를 판단
할 때 그 판단은 전적으로 그 행위 자체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어떤 행
위를 할 때 그 행위에 내재 되어있는 도덕
적인 의무에 충실해야 한다.
정언명령(定言命令)
•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윤리학
• 윤리적 행동이란 내재 되어 있는 선의지(善意志)
의 의무를 정직하게 따르는 것이다.
윤리적 명제
• "거짓말 하지 말라." "살인(생명) 하지 말라."
• 두 명령이 상충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윤리학의 문제
• 선의의 거짓말에 대한 입장
절대적 구속력을 가진 도덕법은 없다.
• 첫째: 선악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 거짓말 자체에는 선악의 규칙이 없다.
– 나쁜 결과가 나왔다면 그 행위는 나쁜 것이고
– 좋은 결과가 나왔다면 그 행위는 좋은 것이다.
• 문제: 객관적인 도덕법칙이 존재하지 않은
것이다.
– 다만 주관적이고 결과론적인 근거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 객관성이 결여된 윤리적 이기주의(ethical
egoism)에 빠질 수 있다.
절대적 구속력을 가진 도덕법은 없다.
• 둘째: 거짓말은 단지 나쁜 것이라는 일반
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다.
– 사회적인 현상 속에서 거짓말은 일반적으로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 사회적인 인식 속에 거짓말은 나쁜 덕목에 해
당한다.
• 문제: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도덕법의 존재
가 무시된다.
– 내재적 가치는 사회통념 이상의 것이다.
– 인간의 보편적인 덕목의 존재를 설명하지 못
한다.
보편적인 도덕법칙은 존재한다.
• 첫째: 거짓말은 무조건 나쁘다.
– 인간은 거짓말은 악한 덕목이므로 해서는 안 된
다.
– 내재적인 의무감에 따라야 한다.
– 이것은 하나의 규칙이므로 모두가 따라야 할 진
실한 도덕법칙이므로 그 어떤 요소에 의해서도
파괴될 수 없다.
• 문제: 이 이론 만으로 인간의 모든 행위에 대한 윤
리적 판단은 불가능하다.
– 예) 자살과 의로운 죽음
– 자살은 죄라는 절대적인 도덕법칙이 부인된 것
이다.
보편적인 도덕법칙은 존재한다.
• 둘째: 상황주의(조셉 플래처 Joseph
Fletcher)이다.
– 이 세상에는 오직 한가지의 절대적인 법칙만
이 존재한다.
– "사랑의 행위" 이 절대적인 행위에 의해서만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다.
• 문제: 사랑의 행위가 무엇임을 결정해 줄
지침이 없다.
– 악법도 법이기 때문에 따라야 할 것(소크라테
스)
보편적인 도덕법칙은 존재한다.
• 셋째: 갈등적 절대주의 이론이다.
– 기본적으로 윤리적 삶을 결정하는 요소는 여
러 가지이다.
– 살인하지 말라(제6계명)와 거짓 증거하지 말
라(제9계명) 사이의 충돌이 발생한다.
– 일단 거짓말해서 생명을 구한다음 다른 하나
의 절대적인 법칙을 어긴 것에 대한 용서를 구
해야 한다.
• 문제: 궁국적으로 상충되는 두 법칙 중 어
떤 것을 따라야 하는지를 선택하는 행위자
체를 규정할 수 있는 윤리적 기준이 없다.
보편적인 도덕법칙은 존재한다.
• 넷째: 차등적 절대주의 이론이다.
– 윤리적인 규칙들이 동등한 것이 아니라 우선 순
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분리된다.
– 서로 상충되는 경우 높은 차원의 법칙을 따르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은 행위이다.
– ‘살인하지 말라’를 지켰다면 선의의 거짓말은 도
덕적이다.
• 문제: 결과적으로 모든 도덕법칙들의 절대성을 무
너뜨린다.
– 아우구스티누스의 빛과 어둠-어두움은 단지 빛
의 결여일 뿐이다.
– 어두움의 존재가 없어진다.
"자유로운 의지" vs "도덕적 의무"
•
•
•
•
•
•
•
지하철에서의 구걸을 요청할 때
시험을 볼 때
정당한 대가가 아닌 돈을 주고 받을 때
정체가 심한 도로에서 운전할 때
갈등관계에 있는 상대와 마주칠 때
물건을 사거나 팔 때
자녀들을 교육시킬 때
왜 윤리적인 삶을 살아야 하는가?
• 인간이 이성적인 교육을 통해 도덕적인 삶을
증진시킨다면 인류는 무한한 진보의 꿈을 이
루어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 자신의 존재성 역시 윤리적인 삶을 통해서 유지
된다.
– 윤리적인 삶은 사회를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다.
– 국가나 세계질서의 근본 정신이다.
– 인간이기 때문에 이성에 의해 윤리적인 삶을 살
아야 한다.
기독교 윤리학은 무엇인가?
기독교 윤리의 세 범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완전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구성원들은
개인 간의 조화로운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완전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구성원들은 개인
간의 조화로운 질서를 유지해야 하며, 그 질서
관계를 규정하는 것이 도덕의 첫 번째 범주이다.
•현대 사회에서 드러나고 있는 많은 윤리적인 문
제들 – 살인, 전쟁, 폭력, 거짓말, 비방, 뇌물,
사기 등 – 은 바로 이런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와 관련되어 있다.
첫 번째 범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완전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구성원들
은 개인 간의 조화로운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
기독교 윤리의 세 범주
각 사람의 내부 문제
각 개인의 내부적인 도덕성을 함유하여
윤리적인 결단을 내려야 한다.
•사회적인 관계를 규정하는 각종 윤리적인 기준
과 법칙들이 있다 할지라도, 각각의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내부적인 도덕성을 함유하지 않는다
면 소용이 없다.
•사회 윤리적인 문제들은 사회적 관계를 규정하
는 윤리적인 법칙을 넘어서 개인의 윤리적 결단
을 필요로 한다.
두 번째 범주
각 사람의 내부 문제
각 개인의 내부적인 도덕성을 함유하여
윤리적인 결단을 내려야 한다.
"법률로서 사람들을 선하게 만들 수 없으
며, 좋은 사람들이 없이는 좋은 사회가 있
을 수 없다."(루이스)
기독교 윤리의 세 범주
사람과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 존재의 목적과 그 궁극적인 실체가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도덕의 범주.
•개인의 내부 문제와 사회적 관계 뿐 아니라
세 번째로 필요한 범주가 바로 도덕적인 범
주이다. 즉 인간 생활에서는 인간존재의 목적
과 그 궁극적인 실체가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범주가 필요하다.
•기독교는 이 범주를 인간과 인간을 만드신
하나님과의 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세 번째 범주
사람과 하나님과의 관계
인간 존재의 목적과 그 궁극적인 실체가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도덕의 범주.
"인간은 인간을 만드신 하나님과의 관계
에서 창조된 목적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한다."
기독교 윤리학의 이해
기독교 윤리학이란?
기독교인에게 무엇이 옳고 그른 지를 다루는 학문.
기독교 윤리학의 특징
1) 코람데오(Coram Deo) 의 정신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존재"로서 행동하고자 노력함.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라는 확신이 드는 일을 함.
2) 하나님의 뜻이 계시되는 통로
특별계시 – 성경(Bible)
일반계시 – 자연법(the moral law, 도덕법)
기독교 윤리학의 전제 1
기독교 세계관 (Christian Worldview)
기독교 윤리학은 기독교 신앙에 의거한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윤리학은 가치와 의무를 다루는 것인데,
이러한 가치관은 세계관을 기초로 해서 형
성된다.
기독교 세계관은 신과 인간, 자연에 대한
성경적 이해를 통해 구축된다.
기독교 윤리학의 전제 II
도덕법(The Moral Law)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법칙으로
서의 도덕법의 절대성을 강조하며, 십계
명은 그 도덕법의 근간이 된다.
십 계 명
• 첫 네 계명들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
에 대한 규정들이며,
• 남은 여섯 계명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
에 대한 규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덕법(The Moral Law)
모든 인류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법칙으로
서의 도덕법의 절대성을 강조하며, 십계명
은 그 도덕법의 근간이 된다.
이 계명들은 인간의 행위를 결정하는 규범
으로서, 그 핵심은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사랑이라는 두 측면으로 정의
되고, 그것은 결국 사랑이라는 윤리적 핵심
으로 종합된다.
기독교 윤리학의 전제 III
자유의지(free will)
자유로운 존재로서 인간은 본질적인 의지
에 따르는 자유, 즉 내면의 의지와 일치된
자유를 통해 존재한다.
• 자유롭게 창공을 날아다니는 새 한 마리를 상상
해 보라.
• 그 새가 자유로운 건 비행의 법칙에 철저하게 예
속되어 있을 때 가능하다. 만일에 비행의 법칙을
벗어난다면 새는 곧바로 추락하고 말 것이다. 자
연은 자연의 법칙 속에서 자유와 질서를 유지한
다.
•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자신의 내면의 의
지와 일치할 때 가장 자유롭게 행동한다.
인간의 자유
• 인간의 자유는 의지의 자유이다.
• 인간은 항상 궁극적인 선을 내재적으로 의
식하고 있다.
• 만일 어떤 행위가 그 궁극적인 선과 다르
게 나타날 때 인간은 의지대로 살지 못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후회하게 된다.
기독교 윤리학의 전제 IV
책임과 의무(Obligation)
자유의지는 인간의 마음속에 내재된 도덕
적 의무에 기초한 것이므로 기독교윤리는
책임과 의무를 전제로 한다.
• 일반적으로 보편적인 도덕적 의무를 따를 것
인지 아닌지에 대한 결정은 자유이지만, 그 결
정에 대한 책임 역시 인간 자신의 문제이다.
• 따라서 인간은 행위를 선택할 자유가 있음에
도 불구하고, 임의로 그 행위를 선택하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에 따라 결정해야 할 책
임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