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versity of Seoul

Download Report

Transcript University of Seoul

철학통론
Introduction to Philosophy
by Dr. D. Suh
(University of Seoul)
세계와 존재(14)
• 관념론(idealism)
- 실재는 물질(혹은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것
- 과학과 대립하지 않는다
물질적인 것은 그 자체로 존재 의의를 지닐 수 없고, 정신이 그
것을 인식하는 한에서, 즉 과학을 통해 인식되는 한에서 그 존재 의의
를 가진다.
# 현상(appearance)과 실재(reality)의 구별
관념론의 주장: 우리가 접촉하는 것은 사물의 실제 존재가 아니라
(Berkeley)
그 겉모습. 사람들이 접촉하는 사물의 겉모습은 관
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지각되므로 단일한 실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세계와 존재(15)
• 과학 자체에 대한 성찰로부터 제기된 관념론
- 과학이 발견하려는 것은 오직 물리적인 힘과 능력
- 모든 물리적 속성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속성들이 인간의 주관적 경험
에 미치는 영향들을 파악해야 한다.
실재는 인간의 외부가 아니라 인간의 지각과 주관적 경험 속에 존재
ex) 어떤 사물의 원심력은 인간의 지각(정신적인 것)을 통해 이해된다.
# 관념론에 대한 반론: 실제로 존재하는 것(실재)과 인간이 그것을 알게 되는 방식(현
상)을 같은 것으로 간주
세계와 존재(16)
• G. Berkeley의 주관적 관념론(subjective idealism)
- J. Locke가 구분한 사물의 제 1성질과 제 2성질의 구분
을 폐기하고 제 2성질만 인정
cf) Locke의 구분
제 1성질: 사물의 객관적 성질(크기, 모양, 수 등)
제 2성질: 사물의 주관적 성질(맛, 색, 냄새 등)
“존재하는 것은 지각된 것이다.”
(Esse est percipi)
- 주관적 관념론: 실재하는 것은 정신(영혼)과 관념
“For as to what is said of the absolute existence of unthinking things without
any relation to their being perceived, that seems perfectly unintelligible . ……nor is it
possible they should have any existence, out of the minds or thinking things which
perceive them.”(Berkeley, Prinicples of Human Knowledge)
세계와 존재(17)
• Kant의 초월적 관념론(transcendental idealism)
-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실재를 인식함에 있어 인간의 정신을 중심에 둘 것!!!
(어떻게 하면 우리의 인식을 대상에 합치시킬 것인가를 묻지 말고,
거꾸로, 즉 어떻게 하면 대상을 우리의 인식에 합치시킬 것인가를
묻는 것이 중요)
- 인식의 프로세스
인식의 내용(감각 자료) + 인식의 형식(시간, 공간, 범주 등 인간
주관의 선험적[a priori] 형식, )
-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세계의 겉모습, 즉 현상
- 현상 배후에 실재(물자체)가 있다고 믿는 것은 옳지만 그것을 알 수는 없음
“What objects may be in themselves……remains completely unknown to us.
We know nothing but our mode of perceiving them – a mode which is peculiar
to us.”(Kant, Critique of Pure Reason)
• 초월적(transcendental): 가능한 모든 경험의 바깥에 있는 관점
세계와 존재(18)
• 현상학(phenomenology)
- theory of appearance[ phainomenon]
• Edmund Husserl의 현상학
- 물음: 현상을 통한 본질 직관이 어떻게 가능한가?
- 출발점: 의식의 지향성(intentionality) 분석
의식 작용(noesis)와 의식 안에 있는 것(noema)의 관계를 연구하면
의식이 외부 대상과 관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가 무엇
인가를 알 수 있음
- 방법: 에포케(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
에포케(epoche): 의식 외부에 그 어떤 실재도 가정하지 않은 채 인식
의 토대를 세우고자 외부 실재를 ‘괄호 치기’
• Heidegger의 비판: 후설 현상학은 의식을 인간의 존재방식으로부터 고립시킨다. 오
히려 의식의 지향성은 우리가 세계에 관계하는 방식을 통해 규
명되어야 함.
실존적 현상학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Sar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