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학의-개념

Download Report

Transcript 공중보건학의-개념

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1. 공중보건학의 정의
 인간의 가장 기본적 욕구: 수명연장과 오래사는 것
1) 윈슬로우의 공증보건학의 정의
 정의:‘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
며, 신체적∙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과학’
-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
- 환경위생, 전염병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 발견,
의료 및 간호 서비스의 조직화, 사회보장제도
- 질병의 예방뿐만 아니라 수명연장과 신체적∙정신적 효율의 증진
2)공중보건의 대상
- 최소단위는 지역사회
3)WHO 25차 회의
- 질병예방, 생명연장, 신체적∙정신적 효율성 증진
2. 공중보건학의 목적
 목적: 질병예방, 수명연장, 신체적∙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 목적 달성을 위한 접근방법 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
 대상: 지역사회 주민(주민들의 공동의식과 상호관련성)
- 공중보건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건교육을 통한 접근방법이 중요
3. 공중보건 지역사회 접근방법
 공중보건 사업 시행의 중요 3개 사항
① 보건행정
② 보건관계법규
③ 보건교육
- 보건교육: 후진국에서는 강제 집행(가장 큰 보건효과)
- 보건통계: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수행할 때 가장 먼저 조사
 공중보건 사업 시작
4. 의학과 공중보건학의 차이
 의학: 개인의 질병치료가 목적
 공중보건학: 지역사회 집단 ∙ 주
민의 질병예방
5. 공중보건학의 관련학문
1) 위생학과 공중보건학
(1) 위생학
- 초기 위생학: 주로 개인의 건강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함
- 근대사회: 개인과 공중보건의 같은 목적과 이학적 환경위생에 치중
- 결국 개인과 환경의 관계 규명하여 질병 예방, 건강 유지
(2) 공중위생학
- 사회 발전에 따른 사람들의 공중위생에 관심
- 좁은 의미: 환경위생학
- 넓은 의미: 현대 공중위생학 또는 공중보건학
2) 예방의학
 예방의학은 개인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과 악화방지
 학문위주의 의학
3) 사회의학
- 생물로서의 인간이 아니고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중시하여 연구하는
학문
- 사회적 환경이나 생활조건을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둠
4) 지역사회의학
- 지역사회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가장 중요한 개념(1970년 후반)
- 의료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국민에게 포괄적 보건 서비스 제공
6. 공중보건학의 발전과정
1) 고대기(기원전-서기 500년)
(1) 인도시대
- 인도문명: 도시 계획 및 건설, 유적지에 목욕탕과 배수관 발견, 화장실과
배수시설
(2) 그리스 시대
① 헤로도투스의 기록
- 유럽 최초의 역사가
- 기원전 1000년의 이집트인은 공동하수구나 정화조 또는 치료약제 소유
(공중위생 개념이 뛰어남)
② 일류 최초의 보건법전
- 기원전 1500년 경 모세에 의해 기록
- 레위기는 보건에 관한 계율(유대인의 위생법전)
③ 위생시설
- 고대 그리스: 하수공무원
- 로마: 상수도 시설, 정기 인구조사, 공중목욕탕 및 위생공학의 발달, 수
도, 도로, 목욕탕 관리공무원
④ 히포크라테스
- 인간의 건강은 혈액, 점액, 황담, 흑담의 4가지 체액의 균형에 의해 유
지
- 장기설 주장: 생활양식, 기후, 지형, 공기상태, 음식 등 포괄적 환경요
인에 의해 인간의 질병발생
2) 중세기(500-1500년);암흑기
- 초기 기독교 사상:극도의 사치주의에 반발과 육체를 경시하고 육체적 금
욕을 행동규범
- 콜레라, 한센병, 페스트 유행(유럽, 인도, 이집트)
- 1383년 마르세유 최초의 검역법 통과(전염법 예방)
3) 여명기(1500-1850년);요람기
- 산업혁명으로 공중보건 사상이 싹튼 시기
- 이촌향도현상으로 심각한 보건문제 대두
(1) 사망에 관한 보고
- 영국 런던위생위원회에서 1843년 발표한 사망표와 리버풀시의 자료의 평
균연령 발표
- 영국에서 1848년 처음 공중보건법 제정
(2) 라미지니
- 산업보고의 기초 확립
(3) 프랭크
- 최초의 공중보건학 저서(국민의 건강은 국가의 책임)
(4) 국세조사실시
- 1749년 스웨덴에서 최초 실시
(5) 제너
- 1798년 우두종두법 개발(천연두 예방)
- 예방접종의 대중화
(6) 영국의 세계최초 공중보건법 제정(1848년)
4) 확립기(1850-1900년)
(1) 방문간호사업실시
- 1862년 영국 리버풀시에서 라돈간호사가 최초실시
(2) 실험위생학의 기초 확립
- 페텐코퍼: 자연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 규명
(3) 역학조사 보고서
- 영국의 스노우가 1855년 발표한 콜레라 역학조사 보고서
(4) 코호의 업적
- 세균의 배양기술과 세균자체 연구;결핵균 발견(1882년), 콜레라균 발견
(1883년)
(5) 파스테르의 업적
- 닭 콜레라 백신, 돼지 단독 백신, 광견병 백신 개발
5) 발전기(20세기 이후)
-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
- 질병 치료∙예방중심 시대에서 사회화 및 경제학 개념의 시대로 변화
(1) 영국보건부 설립
(2) 세계보건기구 발족
- 보건소의 보급으로 지역사회 보건사업과 국제적 차원에서 국가간 협상
을 통한 보건문제 해결
(3) UN인간환경회의
-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1973년 국제환경기구 설립
(4) 알마아타 회의
- 인류의 건강실현 목표를 설정
(5) 지구환경 정상회담
-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리우환경선언 선포
7. 공중보건학의 범위
 질병관리 분야: 역학, 전염병관리, 기생충 질병관리
 환경보건 분야: 환경위생, 식품위생, 산업보건
 인구보건분야: 인류생태, 가족계획, 모자보건
 보건관리분야: 보건교육, 보건행정, 보건통계, 보건영향, 성인보건, 정신
보건, 학교보건, 보건 정보 등
8. 보건의료 개념 및 활동
1)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의 차이
 전통의료: 신체적 질병에 역점, 개개인의 생명유지
 현대의학: 대상은 가족이나 단체, 국가로 확대, 예방, 재활 및 건강증진에
역점
2) 포괄적인 보건의료의 개념
- 지역사회의 모든 인구집단을 대상
-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치료, 무능력화 예방, 재활 및 건강증진활동
(1) 1차 보건의료
① 실천방향
- 지역주민모두 받아들이는 지역사회보건의 실천적 원리
- 전 세계적인 보건의료전략의 핵심
- 특징: 예방접종, 식수관리, 모자보건사업, 보건교육사업, 지방병원 관리
사업, 일상적 치료사업, 주민 영양개선
② 알마아타 선언 내용
- 1차 보건의료의 과학적 방법으로 지역사회가 수용
- 주민의 적극적 참여
- 국가나 지역사회가 재정적 지원
(2) 2차 보건의료: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
- 응급처치가 필요한 질병이나 급성 질환의 관리사업과 환자관리 사업등
의 전문병원 활동 요구
(3) 3차 보건의료
- 회복기 환자의 자가치료사업이나 재활 사업
- 노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성 질환 관리가 중요한 역활
9. 우리나라의 공중보건 과제
 매년 4월 7일 보건의 날
 국민보건의 전반적인 향상
 과제: 보건의료행정의 다원화, 의학적 보호의 편중 문제해소나 무의촌 해
소, 인구의 도시화나 산업장애, 특수질환 예방 문제, 환경보건대책, 성인
병관리, 응급의료체계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