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의 개념

Download Report

Transcript 보건의료의 개념

내생각
그만하고
공부해~~~
집중!!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제1부
공중보건
총론
제3부
역학 및
질병관리
제2부
환경보건
제4부
보건 관리
Ⅰ. 공중보건 총론 - 공중보건학의개념, 건강, 보건지표
Ⅱ. 환경보건
- 환경위생
- 환경보건
- 식품위생
- 산업보건
Ⅲ. 역학 및 질병 관리 Ⅳ. 보건관리
역학
감염병 관리
감염병관리각론(급.만성)
기생충 질환 관리
- 보건행정
- 인구와 보건
- 사회보장제도 - 보건영양
- 보건통계
학문적 성격
공중보건학의 개념
Ⅰ. 공중보건학
의 개념
건강과 질병
포괄보건의료의 개념
보건지표
제 1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Ⅰ. 공중보건학의 학문적 성격
1. 학문적 성격
- 공중( 公衆 : Public)의 의미 : 비특정다수의 인구집단(경제, 사회,
문화, 환경, 건강 등등)
- 보건(保健) : 건강과 동의어(건강을 돌봄 = Helath)
- 공중보건학 : 특정개인이 아닌 지역주민 또는 국민 전체의 건강을 추구
하는 학문
- 사업단위 : 지역사회 또는 지역사회 전체주민
2. 공중보건학의 정의
(P. 19~20)
1) 정의 : 예일대학의 C.E.A Winslow교수.
“Public health is the art and science ofopreventing disease, prologing
life and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efficiency through organized
community effort for
(a) the sanitation of the environment ,
(b) the control of communicable infections,
(c)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in personal hygiene,
(d) the organization of medical and nursing services for early
diagnosis and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and
(e)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machinery to insure everyone a
standard of living adequate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so
organizing these benefits as to enable every citizen to realize his
birthright of health and longevity.”
 “공중보건학이란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① 질병을 예방하
고 ② 생명을 연장시키며, ③ 신체적 ·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즉, (a) 환경위생 향상,
(b) 감염병 예방관리,
P.20
(c)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d)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진단을 위한 의료와 간호봉사의 조직화,
(e)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유지에 적합한 생활수준을 보장받도록 사회
제도를 발전시킴으로써 건강과 장수라는 생득권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 궁극적 목표
(1) 공중보건학의 대상 : 지역사회 전체주민
(2) 공중보건학의 정의(목적) :
질병예방, 수명연장, 신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증진
(3) 목표달성을 위한 접근방법 :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해서.
2) 공중보건학의 내용
(1) 환경보건분야 : 환경위생, 식품위생, 환경보전과 공해문제, 산업환경
(2) 질병관리분야 : 역학, 감염병 관리, 기생충 질병관리, 성인병 관리
(3) 보건관리분야 : 보건행정, 보건영양, 인구보건, 가족보건, 모자보건,
학교보건, 보건교육, 정신보건, 보건통계, 응급의료
 사업단위 : 지역사회 전체주민(특정 개개인이 아님)
Ⅱ.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의 비교
P.20
1. 공중보건학의 관련 학문
유사학문 :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위생학(Hygiene, Sanitation),
사회의학 (Social medicine), 지역사회의학 또는 지역사회보건학
(Community health), 건설의학 (Constructive medicine) 등
① 위생학(Hygiene)
Apollo의 아들 Aesculapius : 의학의 신
Apollo의 딸 Hygieia : 건강의 여신  “Hygiene”이 유래 (위생)
Italy의 의학자 Galenus - 처음으로 “Hygiene” 사용
중국의 장자 – “위생”이란 말을 사용
② 예방의학 : 공중보건학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목적은 같지만
대상이나 접근방법이 다르다.
P. 21
*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의 비교
예방의학
공중보건학
연구대상
개인 및 가족
지역사회 주민
책임의 소재
개인에게 책임
공공조직의 책임
연구방법
기술적이며 구체적
예방의학적 지식을
집단에 적용
목적
질병예방, 수명연장
육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질병예방, 수명연장
육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 임상의학과 공중보건학의 비교
임상의학
공중보건학
연구대상 및 단위
개개인
지역사회 주민
진단방법
시진, 문진, 촉진,
검사 등
(보건통계자료)
보통사망률, 영아사망률,
질병이환율 등
치료방법
(해결방법)
처방 및 투약
보건교육, 전염병관리,
환경위생, 영양상태 등의
관리와 봉사
예방활동
개인을 대상으로 한
질병예방과 악화방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증진(적극적 예방)
목적
질병예방, 수명연장
육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질병예방, 수명연장
육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Ⅳ. 공중보건건학의 발전과정
P.22~23
집단의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18세기 산업혁명(사상이 싹틈).
- 발전과정 : 고대기 → 중세기 → 여명기(요람기) → 확립기 → 발전기
1. 고대기 (기원전 ~ 서기 500년)
- Hammurabi 대왕의 법전 : 의료제도와 의사의 지위 등에 관한 기록
- 희랍시대의 Hippocraticum 전집 : 장기설(miasmatheory)과 인체의
4액체설(혈액, 점액, 황담집 및 흑담집) → Galenus에 의하여 계승 발전됨.
2. 중세기(500 ~ 1500년) = 암흑기, 감염병 발전기
- 전염병의 유행이 범발성(pandemic transmission)적 : 페스트, 나병
- 방역의사, 빈민구제의사, 경찰의 및 감정의 등의 활동이 활발
- 1383년 Marseilles(프랑스)에서 페스트의 대유행을 막기위해 40일간의
교통차단을 실시  최초의 검역(quarantine)제도(감염병의 예방차원 에서
중요한업적이 됨).
3. 여명기 (1500 ~ 1850년) = 근세기, 요람기, 태동기, 15C · 16C~
P.24~25
문예부흥(1453~1600), 프랑스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1760~1830)
으로 공중보건의 사상이 싹튼 시기.
1) 공중보건학적 업적
- Leeuewn Hock : 현미경 발견
- Ramazzini(이탈리아) : 직업병에 관한 저서를 출간(산업보건의 시조)
- J.P Frank(독일) : “국민의 건강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건강의 국가책임론을 주장, 의사경찰체계(12권의 저서) : 최초의 보건학 저서
- 스웨덴 : 최초의 국세조사를 실시(1749)
- 미국 : 근대적 의미의 국세조사(1790)
- E. Jenner : 우두종두법 개발
- John Graunt(영국) : 보건통계학의 시조, 출생과 사망의 수량적 분석시도
P. 25
3. 여명기 (1500 ~ 1850년)
2) 공중보건학적 제도개발 업적
(1) 영국
- Edwin Chadwick : ① Fever report( 열병환자를 조사)
② “Report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laboring population Greate
Britain” ( 영국 근로자의 위생상태에 관한 조사 보고서) : 1842년
 1848년 공중보건법 제정(세계 최초), 이법에 근거하여 공중보건국과 지방
보건국이 설치되고 1919년에 보건부가 설치됨(세계 최초) = 보건행정의 기틀이 마련됨
(2) 미국
Lemuel Shattuck (1842) : “Report of the sanitary commission of Massachusetts”
를 제출 => 미국 공중보건 역사의 이정표가 됨
P.25~26
4. 확립기 (1850 ~ 1900년) = 세균학설기, 미생물 변인론기, 예방의학 태동기,
근대기, 19C, 1800년대
세균학 및 면역분야의 많은 업적들이 있었고 예방의학적 사상이 싹트기 시작.
- John Snow(영국) : 콜레라에 관한 역학조사 보고서
Miasma설을 뒤집고 전염병 감염설을 입증하는 동기가 됨.
- Bismark (독일) : 근로자질병보호법(1883년, 세계 최초의 사회보장제도)
- Max von Pettenkofer(독일) : 뮌헨대학에 위생학 교실 창립(1866년)
실험위생학의 기초를 확립하게 됨.
- William Rathborne(영국, 1862년) : 방문간호사업(보건소제도의 효시)
- L. Pasteur(프랑스) : 탄저균과 광견병의 백신(항혈청)을 개발
- R. Koch(독일) : 파상풍균, 결핵균, 콜레라균을 발견
- Ehlrick ( 독일) : Salvarsan을 발명(매독치료제)
P. 26
5. 발전기 (1900년 이후) = 현대기, 탈 미생물학기,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기
영국에서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목표를 내걸고 사회보장제도가 발전됨.
** 연도별로 정리
- 1919년 : 최초의 보건부 설립(영국)
- 1935년 : 최초의 사회보장법 제정(미국)
- 1948년 : WHO(세계보건기구) 발족
- 1973년 : UN산하 유엔환경기구(UNEP)설립
- 1977년 : WHO 총회에서 : “ 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 의제 채택
- 1978년 : WHO Alma-ata 선언 => 일차보건의료(PHC)의 확립
- 1986년 : WHO 오타와 헌장, 제 1차 건강증진회의
- 1992년 : UNEP의 리우선언 => “하나뿐인 지구”를 구호로 지구환경 파괴
방지에 관한 논의 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제 2장. 건강과 질병
- 건강의 개념
- 질병의 발생과 예방
Ⅰ. 건강의 개념
P. 29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1948) 보건헌장:
“Health is a complete state of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고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
이 아니고, 육체적 ·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
※ 사회적 안녕(social well-being ) : 복잡한 사회환경속에서 각자의 기
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갈 수 있는 만족스러운 상태의 생활을 의미
=>Talcott Parson
* Talcott Parson : 건강이란 각 개인이 사회적인 역할과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미국)
* Claude Bernard : 건강이란 외부환경이 변화해도 내부환경의 항상성이
유지 되는 상태(프랑스)
**
건강개념의 변천
19세기: 신체개념적 건강 → 19세기 중엽 : 심신(정신, 신체)개념 →
20세기 중반 이후 → 심신의 개념은 물론 생활개념의 건강에 무게중심을 둠
(WHO)
※ 최근에는 영적건강의 개념도입 주장 = 도입 안됨
Ex) 건강의 현대적 개념은?
P.32
Ⅱ. 질병의 발생과 예방
1. 질병의 발생
- 생성기전(결정요인) : 숙주(Host), 병인(Agent), 환경(Environment)
① 숙주 : 인간에게 해당
- 병인(전염원)과의 접촉상태
- 개인 또는 집단의 습관,유전력
- 성 · 연령, 민족적 특성
- 체질, 유전, 방어기전(저항력) 등
② 병인 :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
- 세균, 리케치아, 바이러스, 기생충 등
- 병원체의 특성
- 민감성에 대한 저항성
③ 환경 : 물리적, 화학적, 사회적, 경제적, 생물학적 등
- 전파조건
* F.G. Clark = 질병발생의 삼원론
Agent
Host
E
* Gordon = 지렛대 이론(lever theory)
Agent
Host
E
P.33
2.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의 수준(Leavell과 Clark)
구
분
병의 과정
예비적
조치
예방차원
병원성 이전기
Ⅰ.
비 병원성기
병인
숙주
환경
상호작용
환경위생
건강증진
병원성기
Ⅱ. 초기
병원성기
Ⅲ. 불현성
감염기
자극의 형성
병인자극에 대한
숙주의 반응
(조기의 병적 변화)
특수예방
예방접종
1차 예방
적극적예방
소극적예방
Ⅳ. 발현성
질환기
조기발견및 치료,
집단검진
질병
악화방지,
장해의 제한을
위한 치료
2차 예방
중증화의 예방
진단과 치료
Ⅴ.회복기
회복 or 사망
재활,
사회생활복귀
3차 예방
무능력의 예방
1) 예방의 단계(예방의 수준)
P. 33
① 1차적 예방단계 : 병인, 숙주, 환경 등에 의해 질병 발생의 자극 이 있는 시기,
인간의 생활환경 개선, 건강증진 활동, 안전관리 및 예방접종 등 질병발생의 억제
또는 방지적 예방활동이 필요한 단계(사전예방 , 약하게)
② 2차적 예방단계 : 숙주의 병적 변화가 있는 시기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치료 등 악화를 예방하는 단계
(중중화의 예방, 효율적인 치료)
③ 3차적 예방단계 : 질병의 재발 방지, 잔여기능의 최대화, 재활활동 등
사회복귀 능력제고 활동이 필요한 단계.
Ex) 장애인 직업교육 등
** 1차 + 2차 + 3차 = 포괄보건의료 (CHC : comprehensive health care)
Ex) 1. 가장 좋은 예방 단계는?
2. 건강교육 등이 필요한 시기는?
3. 의료개념의 변천
<보건의료의 개념>
1) 전통의료의 문제점
① 의료의 비인간화(장기의 부품화) ② 의료의 특권화 ③ 도농간, 빈부차
등에 따른 의료의 질적 편재,
④ 의료의 상품화 등
2) 새로운 의료체계의 필요성 대두
치료중심적 의료만으로는 국민건강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질병의 예방
활동이나 국민의 건강증진 활동 등 공중보건학적 접근이 불가피함.
3. 의료개념의 변천
P.34
(1) 지역사회 의료개념의 대두 :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총괄적인 의료를 지역
사회의 모든 국민에게 효율적용하기 위해 모든 의료인의 협동과 모든 주민
이 참여하는 지역사회 의료체계가 이룩되어야 함
(2) 의료개념의 변천
① 치료의학 → 예방의학 → 재활의학 → 건강증진
② 협의의 의료= medical care (개인) → 보건의료= health care
(지역사회 전체주민)
(3) 보건의료 개념의 확립
현대적 보건의료 전달체계는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성격으로 사업체계도
1 · 2 · 3차 보건의료사업으로 이루어짐 (의료개념  보건의료개념)
(4) 포괄보건의료(comprehensive health care) 개념의 대두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 재활, 건강증진등의 포괄보건의료의 개념
: 질병의 조기발견, 조기치료, 무능력화의 예방, 재활 및 건강증진활동 등
건강확보를 위한 포괄적인 접근.
※ Medical care → Health → Health care → Comprehensive medical care (포괄의료
C. M. C) → Comprehensive health care (포괄보건의료, C. H. C)
Ⅲ. 일차보건의료
P. 406
* UN총회 ;
1974년 “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 → 1977년 WHO총회 실천결의 → 1978년 구
소련 Alma - ata 회의, 실현접근방법 = 일차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
- 전인류의 건강실현열쇠 => 일차보건의료 => 보건인력 확보
① 지역주민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의 실천적 원리
② 새로운 보건의료 질서
③ 전세계적인 보건의료전략의 핵심
 예방접종사업, 식수위생관리사업, 모자보건사업, 보건교육사업, 풍토병
관리사업, 경미한 질병의 일상적 치료사업, 주민의 영양개선사업 등
 성공적 실현 : 지역사회의 말단부락에 자조활동에 참여할 비직업적인 요원이 필요,
보건소나 보건지소에서는 의사, 간호사등은 물론 각종 분야의 보건요원의 배치가 필요함.
(1) 일차보건의료의 실천 전략
-우리나라 : 1980년 12월 농어촌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을 제정.
보건진료원(간호사, 조산사를 6개월간 훈련)을 농어촌에 배치
(2) 알마아타 선언내용
- 일차보건의료 : ① 과학적인 방법으로 지역사회가 수용 가능해야 함
②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개개인이나 가족단위의 모든 주민이 쉽게 이용
③ 국가나 지역사회가 재정적으로 부담이 가능한 방법일 것
④ 국가의 보건의료정책상 핵심으로서 지역사회개발정책의 일환으로 유지
⑤ 국가의 보건의료활동은 최말단부락까지 전달될 수 있어야 함
(말단부락이 일차보건의료의 핵심이 되어야 함)
⑥ 질병의 치료나 예방활동은 물론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과 사회적 안녕
및 생활의 질적 향상을 실현할 수 있어야 함
※ Ex) 알마아타 선언내용과 관련이 깊은 것은?
① 건강권
② 환경권
③ 인권 ④ 일조권
2) 이차보건의료(secondary health care) : 전문활동요구, 급성질환 관리
주로 응급처지를 요하는 질병이나 급성질환의 관리사업과 병 · 의원에 입원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관리 사업으로 종합병원 등 전문병원의 활동이 요구되며, 임상전문
의사와 임상간호사 등 의료인력의 역할이 중요함.
3) 삼차보건의료(tertiary health care)
회복기 환자의 재가치료사업이나 재활을 요하는 환자 및 노인의 간호 등 장기 요양이
나 만성질환자의 관리사업등이 중심, 특히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성 질병의 관리가
중요한 삼차보건의료활동이 됨.
※ (P. 19) Disraeli(영국수상) : “공중보건이란 인간의 행복과 국력의 기본이다.
공중보건에 대한 관심은 정치가로써 제일 중요한 임무이다”
제 3장. 보건지표
(Health Index,
Health Indicator)
P. 35 ~ 37
Ⅰ. 보건지표
(1) 종합건강지표(WHO) :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 보통(조)사망률
(2) 대표적인 3대지표 : 비례사망지수, 평균수명, 영아사망률
** 비례사망지수 (PMI) =
50세 이상 사망자수
X 100
총 사망자수
** 평균수명 : 0세의 기대수명(출생시의 평균여명)
(평균여명 = 기대수명) : 평균수명 – 각각의 나이
ex) 2005년 한국인의 평균수명 = 남자 : 75.1세, 여자 : 81.9세
2011년 현재 여러분의 평균여명 = ?
** 조(보통)사망률 =
사망자수
인구수
X 1000
** 영아 사망률 =
연간 영아(생후 12개월미만)사망수
연간 출생아수
P. 37
X 1000
- 영아사망률은 국가사회나 지역사회의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 로 사용됨
- 이유 : ① 보통(조)사망률은 연령구성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만 12개월
미만의 일정한 연령군을 대상으로 하기에 통계적 유의성이 크다.
② 환경위생 불량, 질병관리 및 모자보건수준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환경악화나 비위생적 생활환경에 예민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
Ⅱ. 보건의료 현황과 전망
1. 한국의 공중보건 과제와 해결방향
(1) 과제
- 무의지역의 해소나 의학적 보호의 편중해소 문제
- AIDS나 유행성 간염과 같은 특수질병 예방 및 신종 질병의 관리 문제
- 노령화에 따른 악성 신생물, 뇌졸증, 당뇨병, 고혈압 등 퇴행성 질병(성인병)
- 인구의 도시화나 산업장 에서 원인이 되는 공해질병이나 직업병 문제
- 대기, 수질, 토양, 해양오염 등 생활환경의 악화 문제
-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과 사회 안전망 구축 문제
-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보건정보망 구축 과제
- 국민의 건강생활기반 구축 및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문제
- 인구 노령화와 출산력 저하 문제
(2) 해결 방향
- 전 국민이 질 높은 의학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도·농간의 질적 격차를 해소
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
- 공해문제 및 직업병 문제 해결과 성인병 관리 및 사회보장을 위한 투자가
필요
- 지역사회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자신들의 보건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적극적인 보건교육활동이 필요.
2. 한국의 보건의료 현황
(1) 건강수명과 평균수명
- 건강수명 :
평균수명에서 질병의 경중에 따라 건강하지 않았던 연수를
제외한 연수 ( 한국 = 65세)
- 평균수명 : 한국인 = 78.6세 (남자 75.1, 여자 81.9세)
(2) 보건의료체계의 문제
보건의료 공급체계는 치료중심에서 예방체계와 건강체계로의 변화가 요구
되며, 감염병 관리체계에서 성인병 관리나 퇴행성 질병의 관리체계로의 변화
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직 질병치료가 중심이 되고 있음.(건강증진이나
예방활동이 중심이 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