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밸러스트수_처리장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개발 현황
2006. 9. 14.
한국선급
장 승 안
BWM 관리협약-배경
1)BW는 선박 운항
에 필수
2)유해수중 유기체
및 병원균의 침입
-생태학적
-경제적
-인류건강
3) 위험방지
최소화
제거
관련기술개발
BWM 관리협약-개요
전 문 (Preamble) : 협약의 제정 취지, 배경, 목적
22개 조문 (Article) : 정의, 일반적 의무, 적용, 검사, 발효 요건
부속서 (Annex) : 협약 운영을 위한 기술적 요건
부록 : -국제 밸러스트수 관리협약증서 양식
- 밸러스트수 기록부 양식
BWM 관리협약- 검사/증서/점검
유효한 협약증서 소지
Ballast Record 점검
Sampling 실시
BWM 관리협약- 발효 요건
상선 선복량의 합계 : 세계상선 선복량의 35% (G/T)
+
당사국 : 30개국 이상
12 개월 후 발효
BWM 관리협약-부속서(1)
본선 비치 문서 ; 밸러스트수관리계획서,
밸러스트수기록부
밸러스트수 교환 (BW Exchange) 지역 ;
200마일-200미터, 50마일-200 미터, 지정된 수역
밸러스트수 교환기준 (BW Exchange Standard: D-1)
- BW 용적 기준으로 95% 교환
- 현존선은 BWT 용적의 3배 펌핑도 인정
밸러스트수 성능기준 (BW Performance Standard : D-2)
- 수중생물의 크기(ℓ ) :
ℓ ≥ 50㎛ = 10개 미만 /m3
10㎛ ≤ ℓ < 50㎛ = 10개 미만/㎖
- 미생물 지표 : 1) 독성 비브리오콜레라(O1 & O139) : ㎖ 당 < 1 cfu
2) 대장균 (Escherichia Coli) : 100 ㎖ 당 250 cfu 이하
3) 분변성대장균 (Intestinal Enterococci)는 100 ㎖ 당 100 cfu 이하
BWM 관리협약-부속서(2)
선박의 밸러스트수 관리
규칙
용골
거치
BW Tank
용량 ㎥
20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현존선 (Existing ships)
B-3.1.2
<2009
<1500
-
D1 or D2
B-3.1.1
<2009
1500 ~
5000
-
D1 or D2
B-3.1.2
<2009
>5000
-
D1 or D2
D2
D2
D2
신 선 (New ships)
B-3.2.1
B-3.2.2
≥2009
2009
~2011
<5000
≥5000
D2
D1 or D2
≥2012
D2
D2
D1 : 밸러스트수 교환기준,
D2 : 밸러스트수 성능기준
18
BWM 관리협약-지침서
G1 : 침전물 수용시설을 위한 지침서
G2 : 밸러스트수 샘플링을 위한 지침서
G3 : 밸러스트수 관리협약의 동등한 준수를 위한 지침서
G4 : 밸러스트수 관리와 BW 관리계획서 개발을 위한 지침서
G5 : 밸러스트수 수용시설을 위한 지침서
G6 : 밸러스트수 교환을 위한 지침서
G7 : 위해도 평가를 위한 지침서
G8 : 밸러스트수 관리시스템의 승인을 위한 지침서
G9 : 활성물질을 이용한 밸러스트수 관리시스템의 승인 절차서
G10 : 시제품 밸러스트수 처리 기술의 승인을 위한 절차서
G11 : 밸러스트수 교환을 위한 설계 및 구조 표준에 대한 지침서
G12 : 선박에서의 침전물 관리에 관한 지침서
G13 : 비상상황을 포함한 추가 조치를 위한 지침서
G14 : 밸러스트수 교환 지정해역에 관한 지침서
BWTreatment 장단점-1
처리기술
장
점
단
점
자외선
자외선을 통하여 종의 종류를
무독성으로 바꿈
효과적이지 못함
파장이 짧아 투과력이 약함
오존
작은 생물 처리에 유용한 방법
여과법과 병행하여 이용가능
잔류 효과 없어 2차 오염의 가능
비용이 많이 소요
고농도 배출시 해양생물에 영향
잔류효과로 2차 오염가능성 없음
차아염소산
위험물질로 취급되지 않아 법적규제 산화 이용으로 부식가능성 있음
나트륨
없고 현장관리가 필요 없음
밸러스트수 유입시 마다 해초류 등의
생물 제거
미세 생물 제거가 힘들고, 기본
설치비용이 높음
해양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음
전문가 필요
특별한 보관시설 필요
온도와
염분 차
이용
온도와 염분의 뚜렷한 변화는 수중
생물의 생존능력에 큰 영향
추가 연구를 필요로 하는 방법이며,
지역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음
열처리
2시간 내지 6시간을 약 36∼38℃에서
밸러스트수를 가열하면 수중 생물이
소멸되는 특성을
항해도중 열처리에 의한 밸러스트수
소독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항해로
인한 온도상승효과도 감안해야 함
여과
천적,
기생물체
투입
BWTreatment 장단점-2
처리기술
장
점
단
점
포자체를 죽이는 데 효율적임
유해물질 발생
염소
온도, 적용시간, pH수준을
적정하게 맞춘다면 효과적
염소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발암
물질 유발 가능성 있음
금속 이온
염소처리법보다 효과적임
수중 생물 중 일부는 구리와 은에
선호도가 높기에 생존 가능성
초음파법
신기술로 잠재성 큼
개발 단계에 있음
유해 미생물 제거
유해물질 발생
이산화염소
살충제
선박이 철로 되어 누전 가능성
전기충격
탱크
장기저장
철분 높은 물에 장기생존 불가
석달 이상 밸러스트수 방치 불가
육상
수용시설
선박에 처리장치 불필요
큰 비용, 항만국의 법률 적용 문제
외래 해양 생물종의 유입 감소
큰 비용
정화된
밸러스트수
Korea(1) NK O3 System-1
A. 제품개요 : 산소 ⇒ 오존 (전기장치 이용) ⇒ BW내 수중 생물체 살균
브롬화수소산 ⇒ 잔존 수중 생물체 살균
B. 제 조 자 : ㈜ 엔케이, 부산
C. 활성물질 : 브롬화수소산 생성
E. 개발현황 : 2006년 8월말 Oil Tanker에 선상실험 예정.
F. 비
용 : 약 $500,000 ~ $1,000,000 정도 예상(신선)
Korea(1) NK O3 System-2
제품의 제원
Korea(1) NK O3 System-3
Korea(2) NK O3 System-3
Flow Diagram
Water Chiller
Cooling Water
Compressor
Refrigerated
Dryer
Cooling Water
Vent : 100%
Nitrogen to
Safe Area
Oxygen
Generator
Ozone
Generator
Cooling Water
Ozone Gas
Main Ballast Pipe
Ozone
Destruct
Korea(1) NK BW System-5
Ozone
Monitoring &
Control System
Electrolysis
Ballast
Pump
Filter
Ballast
Tank
UV
Korea(2) Techcross-1
A. 제품개요 : 전기분해 ⇒ 전위차, 라디칼, 차아염소산나트륨 이용
B. 제 조 자 : TechCross + 한국해양연구원
C. 활성물질 :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
D. 설비규모 : (75K 화물선) 반응기 - 840 x 740 x 2700 mm
정류기 - 1400 x 1300 x 2350 mm
E. 개발현황 : 밸러스트 유량 600㎥/h로 육상시험(Barge) 진행
F. 비용(1500㎥/h) : 신 선 - $160,000 ~ 170,000
현존선 - $180,000 ~ 200,000
G. 구성 : Electrode, Rectifier, Power control unit, Cooling & sensor unit
H. 기타 : 활성물질의 IMO 초기승인(Basic Approval) 완료
Korea(2) Techcross-2
전위차에 의한 순간 살균
발생 라디칼에 의한 순간 살균
차아염소산나트륨에 살균
전기적 산화
전기적 응집
전기적 부상
Korea(2) Techcross-3
Germany(1) SENDA System-1
A. 제품개요: 1st unit - Hydro cyclone + 50㎛ filtering
2nd unit - 150 ppm Peraclean® Ocean(산화제)
B. 제 조 자 : Hamann AG, Germany
C. 활성물질: Peraclean Ocean(과산화초산) 사용.
D. 설비규모: 설치 면적은 14.8㎡ (4.8 x 4.8 m)
E. 개발현황: 200~500㎥/Hr 육상시험 완료, 선상시험 진행 중
F. D-2시험: D-2기준 적합 or 초과, Royal NIOZ Institute(네델란드)
시험에서 해조류(algae) or 박테리아의 재성장이 없었음
G. 비용 정보 : 밸러스트수 처리 총비용은 약 0.30$/ton
H. 기타 : 활성물질의 IMO 초기승인(Basic Approval) 완료
Germany(1) SENDA System-2
SEDNA® hydrocyclones
Filtration unit with bypass
S1+
Input of Artemia lifestages
control
Germany(2) ELGA-1
A. 제품개요: 1st Module - Filter Separation
2nd Module - 활성물질 소독
B. 제 조 자 : Elga Berkefeld GmbH, Celle, Germany
C. 활성물질: 사용(특별한 취급이나 저장을 요구되지 않음)
D. 설비규모: 모든 형태, 모든 규모의 선박에 이용가능
E. 개발현황: 2006년 늦여름 경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
F. D-2 시험: 파일로트 형태의 강, 염수 및 해수에서 악조건 시험 수행
G. 운전비용: 비용이 들지 않으나 화학물의 소제 및 부속품 교환이 요구
H. 기타 : 처리수의 유량 상한치는 적용되지 않음. 안전 검토 확인됨.
Germany(2) ELGA-2
Germany(3) Jos. L. eyer GmbH
A. 제품개요: 1st-Filteration, 2nd-활성물질 소독
B. 제 조 자 : Jos. L. Meyer GmbH, Papenburg, Germany
C. 활성물질: 염화나트륨 사용.
D. 설비규모 : 유량은 시간당 300 ㎥, 면적은 엔진룸에 5㎡ 정도 필요.
E. 개발현황 : 1600TEU 컨테이너 신조선에 300 ㎥/h 규모의 프로토타입이
2005년 5월에 설치됨.
F. 비용 정보 : 현 개발단계에서 설치비용 평가 불가.
운전에 소요되는 비용은 밸러스트수 1000㎥에 약 4~10유로 정도 예상
Germany(4) Chriwa GmbH
A. 제품개요: 1st-Filteration, 2nd-micro UV
B. 제 조 자 : Chriwa GmbH
C. 활성물질: 미사용.
D. 비용 정보 : 운전에 소요되는 비용은 밸러스트수 1㎥에 약 1 Euro-cent
정도 예상 (반 년에 한 번 UV 램프 교체포함)
Norway(1) Oceansaver-1
A. 제품개요: 필터 ⇒ 이중 펄스형 충격파(Dual pulsed shock wave) ⇒
과포화(supersaturation) 및 탈산(Oxygen deprivation)의 3 단계 처리
밸러스트수는 필터, 펄스형 충격파에 노출, 과포화, 용존 산소제거 및
캐비테이션에 의해 처리. 취수 및 배출 시 모두에서 처리 가능
B. 제 조 자 : OceanSaver AS
C. 활성물질 : 사용하지 않음.
D. 처리과정 : Separation by mechnical filtration
N2 과포화
Hydro Dynamic Cavitation
E. 시험범위 : 실험실 시험 + 육상시험 완료. 선상시험 06년도 예정
F. 기타 : 모듈러 구조로서 밸러스트 배관에 연결된 필터, 분사 및
캐비테이션 부품으로 구성, 질소 생산을 위한 압축기 및
Membrane으로 구성. MetaFil 개발 주도
Norway(1) Oceansaver-2
Norway(2) OPTIMAR-1
A. 제품개요: Cyclonic separation pretreatment(필터) + UV
B. 제 조 자 : OptiMarin AS, Norway
C. 활성물질: 미사용
D. 개발현황: 총 7척(현존선 5척, 신선 2척) 설치,
UV Lamp 사용 후 처분 시 취급요건이 까다로움.
E. 비용 정보 :
- 설치비용 : 약 440,000 Euro (600 ㎥/hr x 2 pumps 용량)
- 운전비용 : UV Lamp 교체비용 (예상수명 3000시간)
- 설치면적 : 1.5m x 1.5m (용량 300㎥/h)
F. D-2 시험: 최초 개발 시보다 Filter + UV 기술에 상당한 진전있었음.
최초 개발 시에는 D-2 기준에 만족하지는 않음.
G.구
성 : MicroKill Separator and(or) MicroKill Filter Separator +
MicroKill UV
Norway(2) OPTIMAR-2
Norway(2) OPTIMAR-3
Norway(3) Pureballast-1
A. 제품개요: 자동 Back Flushing Filter +
Benrad AOT (Advanced Oxidation Technology)
B. 제 조 자 : Alfa Laval
C. 설비규모: 유량 50 ~ 5000㎥/Hr, 설치 면적 3㎡ (용량 500㎥/h)
D. 개발현황: 2003년 9월부터 자동차 운반선에서 선상시험 실시 중임
E. 비용정보: 0.04€ (전력소모 및 소모품 비용 포함)
전력 소모 약 15kW 소모(500 ㎥/h 경우)
여객선 등에는 적합하나, 대용량 화물선에는 불가.
Norway(3) Pureballast-2
Japan(1) JFE BWMS
A. 제품개요: 필터 ⇒ 활성물질 ⇒ Venturi-tubes의 Cavitation
B. 제 조 자 : JFE Engineering Corporation
C. 활성물질: 차아염소산염
D. 개발현황: 250 ㎥/Hr 육상시험 실시
D-2 기준 만족. 08년 11월 경 선상시험 가능.
D. 기타 : - 활성물질 보관소 필요(합성수지나 스테인리스스틸)
- 소독과정에서의 염소나 과산화수소의 잉여물 처리과정 필요.
Japan(2) Special Pipe-1
A. 제품개요: Special Pipe + 오존
B. 제 조 자 : The Japan Association of Marine Safety
C. 활성물질 : 오존 (Maximum injection 비율 : 4mg/l)
D. 비용정보 : $ 1million (54,000 GT 현존선)
밸러스트수 처리비용 - $0.15/㎥
E. 선상시험 : 06년 9월, 컨테이너 선박에 설치예정
Japan(2) Special Pipe-2
원형 Special Pipe의 효과:
-한번 통과로 식물플랑크톤
과 동물플랑크톤 각각 55%,
65% 사멸/비활성화
-오존 주입으로 각각 99%,
89% 제거 효율
개선된 Special Pipe의 효과
-모든 식물플랑크톤과 동물
플랑크톤 각각 70%, 90%
사멸/비활성화
-자연 해수에서 115m3/hr
Japan(3) Hybrid Ballast
A. 제품개요: 1st-Filteration, 2nd-전해질 상태의 염소 주입
B. 제 조 자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 활성물질: 처리과정에서 차아염소산 생성.
D. 개발현황: 2007~2008년 경 full-scale test 예정.
Japan(4) Intake Ballast
A. 제품개요: 1st–응고과정 (활성물질에 응고되어 flock 형성)
2nd-magnetic 분리과정 (flock 제거)
B. 제 조 자 : Hitachi, Ltd.
C. 활성물질 : Polymer, Magnetite
D. 개발현황 : 2008년 LPG 캐리어 선박에 탑재 예정
India-Hydrodynamic Cavitation
A. 제품개요: Cavitation 발생 ⇒ shock-wave 나 liquid jet가
수중생물체를 파괴시키는 시스템
B. 개발현황 : 개발 중에 있으며, 2008년 경에 이용 가능
UK
A. 제품개요 : 1st – hydrocyclone (비교적 큰 크기의 부유물 분리)
2nd – 필터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부유물 제거)
3rd – UV (살균과정)
B. 개발현황 : 실험실 수준, 2007년 하반기 선상에서 사용 가능
C. 비용 정보 : 소형선박에 대한 설치 비용은 약 ₤ 50,000 정도
유지비용은 일 년에 약 ₤ 1,000 정도
USA NEI Venturi Oxygen StrippingTM-1
USA NEI Venturi Oxygen StrippingTM-2
• 기계 공간에 직경 12”의 벤투리관
• 2,500m3/hr 불활성 기체 발생기
Israel
A. 제품개요: 촉매응집 + Arkal 필터 + 자외선 + 산화제
B. 제 조 자 : ARKAL FILTRATION SYSTEMS, Isra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