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문화 3주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의 대중문화 3주

한국의 대중문화 3주-2012.03.16

우송대 박범

대중문화에 대한 진실

• • • • 세가지 큰 오해 대중문화의 물음에 대한 답:영화, 미드, 스 타크래프트, 심야방송, 원더걸스 소녀시대, 신문, 인터넷, 프로야구, 무한도전, 이효리, 장동건, 한류, 만화 …… 대중문화란 무엇인가→그 안에 어떤 것들 이 있는가 개념 : 多者를 一者로 고착시키는 작업

• • • 대중문화는 고급취향문화(high-brow culture) 반대편에 있는 문화라는 답 대중문화는…… 1. 대량성의 강조 2. 낮은 질의 강조 3. 그 내용의 상업성과 정치성 강조 4. 과거 공동체와의 단절성을 강조 대중문화에 대한 정의를 교조적으로 강요하 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음

• • • • 대중이 즐기는 문화 속에는 문화 산업을 거치 지 않고 상품화되지 않은 문화적 내용도 포함 남파되어 잡힌 장기수의 삶을 그린 <송환>, 시골 할아버지와 소의 우정을 그린 <워낭소 리> 욘사마 현상:신드롬의 중심은 일본의 중년 여 성, 한국문화가 아님 대중문화를 문화산업과 연관시켜 주목하는 일은 대중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나 동일 한 것은 아님

• • • 취향을 서열화하는 경 향:고급취향 문화를 높 은 곳에, 대중문화는 낮 은 곳에 위치 그러나 미학적 기준은 보편성과는 거리가 있 음 고급취향 문화는 일부 집단만이 향유→수평적 으로 배열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함

• • • • 대중 문화의 의도성과 정치성에 초점을 맞추 는 방법:지배계급의 의도나 정치적 이데올로 기 질 낮은 문화가 대중문화라는 입장, 대중문화 는 곧 문화 산업의 생산물 1980년대 전두환 정권시절 이른바 3S 욘사마에 대한 일본 주부의 환호는 일본 사회 내 가부장제와 결혼 생활에 대한 일본 남성의 태도에 대한 반발 징후→대중 문화를 통한 저 항과 회피가 작동

문화와 대중문화

• • • 문화 –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 내지 생활 양식의 총 체. 자연 상태와 대립되는 것이며 또한 그 것을 극복한 것. 언어, 풍습, 도덕, 종교, 학 문, 예술 및 각종 제도 따위” 문화연구 – “사회 내 존재하는 다양한 삶 의 방식을 총합한 것” 문예론적 입장, 인류학적 입장, 제3의 입장

• • 문예론적 입장 – “문화=예술” 인류학적 입장 - “체계와 의미 구조를 지닌 삶의 방식” → 사회 안에서 단수 개념의 문화가 아닌 복수 개념의 문화가 존재 → 문화의 정치성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

TV프로 선택의 남녀 차이

• • • • 가정주부 : 드라마 보기 → “맞아맞아” → 사 적 이야기 남성가장 : 뉴스 시청 → 공적 공간에서 벌어 지는 경쟁에 관심 → 승부 세계를 담은 프로 선호(정치경쟁, 주가경쟁, 국가경쟁, 라이벌 대결) 남성이든 여성이든 자신의 일상을 담거나 닮 은 프로 선호 그러나 사회에서의 평가는 뉴스 시청을 사회 적으로 더 가치있는 행위라고 판정 → 과연 그럴까? 드라마 시청은 생산적이지 않은가?

문화를 다양하게 보기

• • • • 인류학적 방법과 문예론적 방법을 넘어서기 문화를 “다양한 삶의 방식이 사회의 각 영역 을 가로지르며 서로 경쟁하는 장”으로 정의 1970년대 대중문화의 중심-대학생 청년문화 (청바지, 통기타, 생맥주, 정치탄압) 1990년대 대중문화 – 청소년을 중심으로 하 는 소비문화, 정치성을 사라짐, 서태지와 아이 들, 1970년대 청년문화는 박제된 추억에 호소 하는 문화로 남음

Mass culture

• • Mass : 익명에 빠진 불특정 다수이거나 인 간 소통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자화된 존 재이거나 삶에 대해 수동적 자세를 갖는 존재 Mass culture : 수동적 존재에게 전달되어 향유하는 문화 or 수동적 존재를 만들 목 적으로 만들어진 문화

Popular culture

• • • • Mass culture에서는 mass와 elite로 구성된다 고 파악 Popular culture는 사회가 지배층과 피지배층 으로 구성된다고 파악 대중문화를 지배와 피지배가 맞서는 공간으 로 보고자 하는 의도가 Popular에서 더욱 선 명 대중문화는 “사회 내 피지배를 경험하는 다양 한 집단의 삶의 방식이 지배집단 문화와 경쟁 하는 장”

대중문화와 주체

• • • 우리의 일상은 지배와 피지배라는 상호 연 속의 작용(경찰 피하기, 학교의 규율, 회사 의 업무 지침) 너무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것을 낯설게 생 각하면 그것의 정치성이 드러남 별다른 고민없이 상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지배를 받아들이게 하는 힘이 가장 강한 지배의 힘

• • • 문화산업은 지배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 도록 만들어짐 학생은 학생답게 학교의 규율을 체화하여 생활하는 것이 올바른 삶이라고 느끼도록 꾸며 놓음, 노동자는 열심히 노동을, 여성 은 열심히 가정 생활을.

학교 중심, 고용자 중심, 남성 중심에 큰 의 문을 가지지 않음 → 상식이기 때문

주체 Subject

• • • • 지배하려는 내용이 부르는 대로 자연스럽 게 받아들이는 경우를 주체(subject)가 만 들어졌다고 함 Subject : 1. 주체 2. 복종한다 I am subject to you(나는 당신에게 복종합 니다) 주체가 된다고 함은 지배의 내용에 복종한 다는 의미

• • • • • TV 수사극을 보면 악당편에 서기보다 공권력 편에 서고 노동자의 파업을 보면 국가경제를 고민 →자신이 지배집단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지 배의 편에 서게 됨, 이상하게 여기지 않음 지배에 복종하는 주체, 피지배를 순순히 받아 들이는 주체를 만들어내는 사회제도를 “이데 올로기적 사회 장치”라고 부름 경찰, 군대, 법원은 자본주의 사회를 거스르는 것을 강제하는 “강제적 사회 장치”

• • • • 이제올로기적 사회장치는 대체로 언어적 활동을 통해 주체를 만들어냄 영화, TV, 대중가요, 신문, 라디오, 인터넷, 게임, 애니메이션은 언어를 통해 소통학소 수용자를 주체로 만듬 몸을 통한 경험이 또 다른 주체 형성의 방 식이 되기도 함 공간의 배치 또한 마찬가지 – 2002년 월드 컵의 경험, 차도 점령의 의미→해방의 기쁨

• • • • 문화연대의 광장 만들 기 운동→광화문 광장 그러나 서울시는 스펙 터클의 공간으로 조성 시민의 편의가 아닌 시 민에게 놀라움을 선사 할 볼거리의 공간으로 조성 공권력의 힘을 보여주 는 스펙터클의 공간

• • 대중문화 과정에서 주체가 형성된다는 점 에서 우리는 대중문화의 중요성, 정치성을 실감 주체 형성은 대체로 다양한 형태의 지배적 입장에 동조하는 쪽으로 이루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