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문화 6주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의 대중문화 6주

한국의 대중문화
6주차
우송대
2012.04.06
문화의 재조명
• 진보와 보수 관계없이 문화는 항상 평가절
하 → 문화의 사회적 비중 증대
• 문화(Culture) : 1.“경작하고 양육한다”
• 2. 16세기 이후 추상화 : 고급스러운 습관
이나 의식을 의미, 귀족 등 특정 계층이나
계급만 소유할 수 있는 문화로 취급
• 복제 기술에 힘입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대중문화를 신랄하게 비판
• 3. 계몽주의의 완성 혹은 그를 통한 근대성
의 완성을 문화의 과정으로 파악, 문명화
or 서구화
• 4. 비판을 바탕으로 문화를 복수로 파악하
는 문화들(cultures), 인류학적 정의, 공유
의 가치와 의미 or 삶의 방식
• 5. 다양한 형태의 상징체계와 그를 통해 벌
어지는 의미적 실천, 문화의 상징적 차원
에 주목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
• 기호와 언어의 세계에 대한 관심 증대
• 문화를 삶의 방식, 의미적 실천으로 파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되는 것 혹은 바
바탕되는 것으로 규정
• 입는것, 먹는것, 영화보는 것, 인터넷하는
일, 문자보내는 일 모두 언어적 행위
기호의 의미
• 청바지-물질을 넘어서서 …. 편안함, 레저,
청바지를 입는 세대와 동질감을 가진 기호
• 선글라스-햇빛을 가리는 의미를 넘어서서
…. 멋내기, 남으로부터의 회피
• 의미를 전하고자 하는 행위를 언어적 실천
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문화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언어적 전환 이후 등장
문화의 정의
1. 문화는 땅을 가꾸고 식물을 경작하고 동물을 키
우는 행위
2. 문화란 생각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 가장 좋은 모
습으로 가꾼 결과로 나타난 것, 즉 예술
3. 문화란 계몽주의를 통한 문명의 발전, 모더니티
의 형성, 즉 서구적 사회발전 과정을 의미
4. 문화란 특정 집단이 나누어 지니고 있는 삶의 방
식, 사회 내에서 다양한 집단이 존재하는 만큼 다
양한 문화가 복수로 존재
5. 문화란 상징체계와 그 체계를 바탕으로 이뤄지
는 의미교환, 즉 의미화 실천
새로운 문화요소, 권력power
• 문화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 요소, 권력
• 점차 문화, 대중문화 논의 안으로 권력 개
념이 포함됨
• 국가나 자본이 대중문화 과정에 권력을 행
사-영화 등급 심의, 자본 소유의 미디어 통
제
• TV나 영화 등장 인물에 자신을 비교하고
맞추어가는 일도 권력작동의 결과
문화권력
• 우리의 몸을 대중매체에 나오는 몸으로 맞
추려고 노력하고 스스로의 몸을 감시, 욕
구가 자동적으로 발산
• 미시적 권력은 우리 몸 안으로 들어오고
우리는 그것을 실천함 …. 생체 정치
• 문화를 정적인 것이 아닌, 긴장, 갈등, 투쟁,
경쟁이 벌어지는 동적인 것으로 받아들임
…. 영화등급심의
대중문화의 형성
• 대중문화의 본격적인 형성 시기는 산업화
가 열을 띠게 된 1960년대 후반
• 1960년대의 도시화, 대중잡지, TV, 영화, 라
디오의 성장
• 1970년대 대중매체를 부정적인 존재, 부정
적 대중문화의 생산자로 파악, 이데올로기
의 생산자, 저급문화의 확산자, 외래문화의
브로커라는 혐의를 받음
• 대중문화를 건전한 문화를 침해하고 더욱이
한국의 고유문화(민족문화)에까지 나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
• 1970년대 대학문화, 곧 청년문화조차 저급한
외래 문화의 모방으로 여기고, 금기의 영역으
로 규정해 제한
• 1970년대 후반, 정부가 직접 나서서 대중문화
정화운동 시작-외국식 장발 연예인 출연 금지,
한국이름 사용종용(바니걸스→토끼소녀)
• 대중문화의 수용을 바람직하지 않은 것, 민족
문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 단순한 소비
문화 등으로 인식하도록 압박
• 1980년대는 이데올로기의 시대-대중매체와
대중문화의 계급성에 집착
• 지배계급에 대한 저항의식을 심어줄 민중문
화를 무너뜨리기 위한 도구로 설명
• 상업적 대중문화라면 지배계급의 이익을 대
변하는 것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취급
• 진보학자도 민중문화, 저항문화, 주변부문화
에 관심
• 1980년대 대중문화는 크게 지배문화론과
소비문화론으로 구분
• 대중문화는 지배계급에 경제적 이익을 안
겨주는 상품이면서 지배계급의 이념을 재
생산하는 이념적 도구, 국가주도의 관제문
화
• 대중문화는 비문화적인것, 지나치게 감각
적이어서 문화의 본질을 상실한다고 말함
• 1990년대 대중문화-’사회의 적’ 혐의를 벗고,
자세히 들여다 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파악
• 신세대문화론-대중문화의 적극적인 소비자로
등장, X세대, 신세대문화의 진취적 성향
• 대중문화 안에 퇴폐적, 수동적, 화폐교환적 의
미만 있다고 보던 시각에서 탈피
• 소비를 새로운 생산, 즉 의미 생산의 시작으
로 보려는 시도
• 1990년대 후반 이후 전환, IMF 이후 – 대
중문화의 폭발적 증가, 그에 대한 집착, 과
잉담론
• 1. 문화산업의 체질 강화에 대한 논의-새로
운 국가 동력 산업으로 육성하자는 입장,
한류
• 2. 문화적 공공성과 관련된 논의-인디 문화
의 활성화, 비주류 문화의 활성화
대중문화의 사회성
• 자본주의 사회의 공고화
• 자본에 기반한 대중 매체의 성장
• 대중 매체에 대한 논의 없이는 설명하기 힘든
대중의 일상
• 다양한 취향의 등장
• 자신을 표현하려는 욕구를 과감하게 드러내
는 대중
• 취향과 표현 욕구를 기반으로 한 사회 집단의
등장
• 자본과 국가 권력에 대한 견제력의 약화
우리문화
• 대중문화=다른 사람의 문화?
• 대중문화산업의 증대와 대중문화물을 소
비하고 즐기는 층의 욕구 증대
• 문화산업이 내 놓은 대중문화물을 가장 왕
성하게 소비하는 세대는 경제적 여유를 지
닌 10대와 20대
• 미국의 배이비붐 세대, 한국의 80년대 이
후 세대
• 부모의 경제적 윤택과 적은 수의 형제자매
덕에 상당한 소비 잠재력을 지는 세대의
등장
• 한국 10대의 경우 입시 위주 교육의 모순
에 시달림을 만회하려는 일종의 해방구
• 대중문화를 바탕으로 그들끼리 통하고 그
들만이 누릴 수 있는 문화적 스타일을 찾
고 즐김
• 문화산업은 그들의 기억마저도 잘 포장해
7080 음악이나 콘서트 등의 상품을 내놓
고 향수를 자극하고, 장년층은 그를 통해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며 정체성을 만듬
• KBS의 <전국노래자랑>-장년 이상의 우리
문화
• 노인세대도 이젠 민속문화보다 대중문화
적 내용에 더 익숙해진 모습
• 디지털 기술은 대중문화 인식에 지대한 영
향을 미침-UCC, 생비자pro-sumer, 드라마
폐인
• 서울 서대문 경찰서는 13일 대학 캠퍼스 안의 조형 미술
작품을 고철덩어리로 잘못 알고 고물상에 팔아넘긴 혐의
(특수 절도)로 인부 조모(39. 무직)씨 등 2명을 구속. 조씨
는 11일 오후 6시 10분쯤 상명여대 운동장에서 철제 조
각품 5점(학교 측 시가 3000만원 주장)을 타이탄 트럭에
싣고 나가 인근 d 고물상에 2만 1500원을 받고 팔았다는
것. 조씨는 12일 오전에도 용접기를 준비해 "고철을 주우
러 가자"며 친구 도모(39)씨와 상명여대에 들어가 전날
미처 가져가지 못한 다른 대형 철제 조각품 2점을 절단
하다 미술학과 대학원생의 신고로 경찰에 붙잡혔다.
• 조씨는 경찰에서 "학교 측이 귀찮아 처리하지 않은 줄 알
았다"며 "고철 덩어리가 미술 작품이라니 믿을 수 없다"
라고 말했다. 훼손된 조각품들은 이 학교 예술대 미술학
과 김종호(48) 교수의 작품. 김교수는 "다음 달 김포의 야
외 작업실로 옮기려던 차에 어처구니없는 일이 생겼다"
며 "5점은 되찾았으나 절단한 2점은 3000만원에서 4000
만원의 피해가 예상된다. 무지로 인해 저질러진 일이니
만큼 보상을 원하지는 않지만 조씨 등을 보수 작업 등에
참석시켜 작품 활동의 의미를 일깨워 줄 계획"이라고 말
했다. (중앙일보, 1995년 4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