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Download Report

Transcript 3 -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01 삼포 가는 길
‘삼포 가는 길’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1
‘삼포 가는 길’과 산업화
01
작품의 배경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1970년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대
산업화의 결과는?
경제 발전
소득 증대
부의 편중, 물질 만능주의
상대적 박탈감, 인간 소외 현상
농어민의 도시 이주(도시 노동자로 변화)
농어촌 해체
고향 상실
‘삼포 가는 길’은
급속한 산업화를
겪은 시대의
어두운 면을 조명함.
02
산업화와 노동자 계층의 형성
1960년대부터 추진된 경제 개발
농업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 변화
농림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수가 줄고,
도시의 피고용 노동자 비중이 높아짐.
도시의 산업 노동자 대부분은
농촌에서 공급됨.
젊은 층은 임금 노동자(도시 산업 부문)로,
장년층은 일용 노동자나
소규모 자영업자(도시 비공식 부문)로
편입됨.
젊은 층이 도시 산업 부문을 빠져 나온다
해도 일용 노동자나 자영업자의 형태로
도시 비공식 부문에 편입됨.
1970년대 산업화의 과정에서 농민은 뿌
리를 잃고 도시의 밑바닥 생활을 하며 일
용 노동자로 떠돌게 되는 경우가 많아짐.
03
등장인물의 시대적 전형성
뿌리를 잃고 도시에서 밑바닥
생활을 하는 사람들
고향과 마음의 정처를 잃고 떠
도는 소외된 사람들
비슷한 처지의 다른 이에게 연
대 의식을 느끼는 사람들
2
산업화의 그늘을
다룬 다른 작품
01 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줄
거
리
서울특별시 낙원구 행복동에 사는 난쟁
이 가족에게 집의 철거 계고장이 날아옴.
이들은 아파트 입주권을 받았지만 입주
할 돈이 없어 입주권을 헐값에 팔고 떠
날 수밖에 없음.
난쟁이의 아들들이 공장의 사장을 만나
담판을 지으려 하는 사건도 진행됨.
난쟁이의 딸이 투기업자에게 입주권을
찾아 집으로 돌아왔지만, 난쟁이는 자살
했고 나머지 가족들도 어디론가 떠나 버
렸음.
줄
거
리
도시의 빈민인 난쟁이가 집의 강제 철거
로 자살로 내몰리는 이야기
급격한 사회화로 빈부 격차, 도시와 농촌
간의 경제 불균형이 점점 심해진 1970
년대의 사회 분위기를 반영함.
해
설
02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권씨는 ‘나’(오 선생)의 집 문간방에 사
는데, 반짝거리는 구두 열 켤레를 매우
아낌.
권씨는 광주 단지의 철거민 입주권을 샀
다가 입주권 전매 행위를 막으려는 당국
에 대항하는 소요 사태에 휘말려 징역을
살고 나옴.
줄
거
리
권씨는 비록 전과자이기는 하지만 자신
이 양반 집안에 대학 출신이라는 자의식
이 있고, 이는 반짝거리는 구두 열 켤레
로 드러남.
권씨는 강도로 돌변해 집주인 ‘나’에게
아내의 병원비를 요구하다가, 아홉 켤레
의 구두만 남기고 사라짐.
줄
거
리
경제적 어려움과 소시민적 자의식 사이
에서 불균형을 겪는 권씨의 이야기
소시민 계층이 도시 빈민으로 전략하는
일이 많아지던 1970년대의 상황을 배경
으로 함.
해
설
03 신경림, ‘농무’
농무가 끝난 뒤 고달픈 심정을 술로 달
래고, 힘들고 서글픈 농촌 현실에 대한
울분을 춤으로 삭이는 농민들
→ 한과 고뇌
산업화로 인해 급속도로 와해되어 가던
1970년대 초반의 농촌을 배경으로 함.
해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