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에이다

영화로 읽는 사회, 인생
그리고 사랑
The Piano
주창윤
Jooculture.com
The Piano-여성의 자아 찾기
제작
1993(뉴질랜드)
감독
제인 캠피온 Jane Campion
주연
홀리 헌터 Holly Hunter
하비 케이텔 Harvey Keitel
샘 닐 Sam Neill
상영시간 119분
깐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세자르 영화제 외국어영화상,
아카데미 각본상 등
2
Jane Campion(1954~
)
어머니는 작가이자 배우이며, 아버지는 연극과 오페라 감독인 예술
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빅토리 대학교에서 인류학을 공부하고, 호주
시드니 칼리지에서 미술을 공부했다. 단편 영화 《필》로 깐느 영화제
단편영화 부문 황금종려상을 수상하였다. 평론가들에게 '여성 데이
빗 린치'라는 평을 듣게 한 첫번째 장편영화 《스위티》로 깐느 영화
제 경쟁 부문에 선정, LA 비평가 상을 비롯한 국제영화제에서 인정을
받았다. 《내 책상 위의 천사》로 1990년 베니스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했다. 그녀의 이름을 확실히 세계에 알린 작품은 《피아노》이다.
이 작품은 그녀에게 1993년 깐느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과 함께
1994년 아카데미 9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3개 부문을 수상하는
등 30여 개의 국제 영화상을 수상했다.
여성, 가족에 대한 묘사에 탁월한 식견을 가진 그녀의 영화는 감각이
돋보이는 낭만적인 열정과 에로티시즘으로 주조를 이룬다. 캠피온의
영화들은 여성을 억누르는 도덕과 관습을 이겨내고 자신의 진정한
삶을 찾아가는 여성들을 그리고 있다.
3
Story
벙어리 에이다는 어린 딸 플로라와 함께 고향 스코틀랜드를 떠나 뉴
질랜드에 도착한다. 그녀는 아버지의 명령으로 얼굴도 모르는 남자
와 결혼하기 위해 낯선 땅에 보내졌다. 에이다는 아끼는 피아노를
가져왔지만, 남편 스튜어트는 해변에 버린다. 스튜어트는 베인스에
게 피아노를 팔고, 베인스는 에이다가 피아노를 치는 동안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허락한다면 피아노를 돌려주겠다고 약속한다. 처음
베인스를 협오했던 에이다는 만남이 지속되면서 비밀스럽고 열정적
인 사랑에 빠진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남편 스튜어트는 에이다의 손
가락을 잘라버리지만, 그의 의지로 이들의 사랑을 막을 수 없었다.
결국 에이다는 베인스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온다.
4
Best Scene
• 에이다가 해변에서 피아노를 치고, 딸 플로라가 춤을 추는 장면
• 진흙투성이의 빅토리아 시대 의상과 결혼 사진
• 베인즈가 에이다의 구멍 난 스타킹을 만지는 장면
• 에이다가 베인스의 육체를 보는 장면
• 바다 속으로 빠지는 피아노와 묶인 줄을 풀고 빠져 나오는 에이다
5
Best Dialogue
• 여러분이 듣는 목소리는 내가 말하는 소리가 아니라 나의 마음의
소리다… 이상한 것은 나 스스로 침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다는 점이다. 그것은 나의 피아노 때문이다.
• 엄마가 말씀하시길, 사람들은 쓸데없는 말만 하니까 들을 가치가 없
대요.
• 말이 필요없었단다. 아빠 마음 위에 내 마음을 그릴 수가 있었거든.
• 죽음! 기회! 놀라움! 내 의지는 삶을 선택할 것일까?
• 밤에는 바다무덤 속의 내 피아노를 생각한다. 그리고 가끔은 그 위
에 떠 있는 나 자신도. . 그 아래는 모든 게 조용하고 고요해서 나를
잠으로 이끈다. 그것은 기묘한 자장가다. 그리고 나의 자장가다. 소
리가 존재한 적 없는 그런 고요가 있다. 소리가 존재할 수 없는 그런
고요가 있다. 깊고 깊은 바다, 차가운 무덤 속에.
6
Characterization
에이다(Ada)
아버지에 의해 뉴질랜드로 시집감
선천성 벙어리가 아니라 어렸을 때(6살) 알 수 없는 이유로 말 거부
피아노-자기표현의 유일한 수단, 에이다의 말과 영혼=피아노
간통(사랑)/결혼(금지), 침묵/언어, 육체/영혼
언어 찾음-새로운 세상
성을 통한 자아의 발견
플로라(Flora)
언어(비현실적인 거짓말)와 비언어(엄마와의 대화)의 세계를 오감
제도와 규율 속에서 갈등
(엄마와 베인스의 관계 목격, 스튜어트를 아빠로 부름)
7
Characterization
베인스(Baines)
영국인이지만 마우리족의 정체성(원주민의 정체성-얼굴문신)
이성보다 감성적 인물(배려적 이성)
탈식민지, 탈자본(소유개념이 약함, 원주민과 물물교환)
거래에서 교환가치가 아니라 이용가치(욕망의 거래, 피아노의 거래)
스튜어트(Stewart)
식민지 개척자, 가부장제의 전형
거래와 교환가치를 추구
여성을 소유개념으로 생각
(당신은 작군요. 손가락을 가르는 것=여성신체의 대상화)
8
Characterization
피아노 narrative
해변에 버려진 피아노-버려진 자아
피아노-물물교환의 대상(베인스와 스튜어트)
베인스 집의 피아노(사랑의 매개체, 에이다의 자기표현 수단)
에이다 집의 피아노(무의미한 존재, 결핍의 존재)
바다에 던져진 피아노
에이다의 과거자아(구속적 존재)이므로 과거자아로부터 해방/자유
애정의 대상이 피아노에서 베인스로 바뀜
• 여성의 감성 자체
• 남성세계에서 교환수단
• 욕망(자아)을 찾아주는 매개체
• 자기표현의 수단에서 구속의 수단
9
Aesthetics-The Feministic Point of View
몸과 주체적 여성성
여성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재현(진흙투성이 의상, 구멍 난 타이즈 등)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재현 거부
여성성욕의 억압, 여성을 성적 대상화, 빅토리아 시대 여성의상
육체의 표현방식(할리우드 육체개념의 거부)
남성 관음주의에서 벗어나서 여성적 관점과 시선
여성의 관능적 육체에서 있는 그대로의 남성육체
에이다는 스튜어트의 몸을 만지지만, 그가 자신을 만지는 것을 거부
여성의 육체가 관능화되는 것을 거부
할리우드의 여성성은 남성관객의 관음적 시선에 기초
섹시한 여성, 비현실적인 캐릭터(베트걸, 안젤리나 졸리)
순종적, 귀여운 여성(멕 라이언, 줄리아 로버츠 등)
남성의 사랑에 의존적인 여성
10
Aesthetics-The Feministic Point of View
언어와 비언어
언어=상징계(가부장제와 남성중심적 세계)
비언어=기호계(언어 이전의 단계)
말을 잃은 에이다(비언어) → 피아노와 소통 → 육체적 사랑
→ 자아의 발견/열린 자아 → 새로운 언어를 배움
베인스는 에이다가 잠자리에서 무슨 말을 했다고 느낌
스튜어트도 에이다가 침대에서 했다는 마음의 언어를 느낌
교회 연극 ‘푸른 수염’의 알레고리
푸른 수염의 늙은 남편이 아내의 손을 내리치는 장면=스튜어트/에이다
(가부장제의 야만적 폭력 vs. 원주민의 순수성)
(서구문명의 폭력성 vs. 연극과 현실의 구분 못하는 원주민의 순수성)
연극은 허구지만 진정성을 갖고,
현실은 실제지만 속물성(허구성)으로 가득 참
11
Implications
• 왜 에이다와 베인스는 고향 스코틀랜드로 돌아갈까? 스코틀랜드
가 아니라 뉴질랜드의 다른 곳으로 가면 안될까?
• 마우리족 여성도 억압받는 존재 아닌가? 왜 감독은 같은 여성으
로서 에이다에게는 페미니즘의 관점을, 마우리족에는 식민주의
적 관점을 갖는가?
• 에이다는 글을 모르는 베인즈에게 왜 피아노 건반을 떼어 글을
써서 보냈을까?
• 그 동안 여성으로서 우리가 여성을 관점은 할리우드 관점 혹은
남성적 관점에 무의식적으로 길들여지지는 않았는가?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