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목적

Download Report

Transcript 평가의 목적

11장 선수 평가
근력
근력
트레이닝
운동능력
발표자: 남 병 학
목차
Ⅰ
머리말
Ⅱ
평가의 목적
Ⅲ
평가의 종류
Ⅳ
실제 평가
V
맺음말
1. 머리말
- 코치 사이에서 “평가”는 관심을 끄는 주제가 아니었으며 코칭 과학에 게제 된
논문의 약 4%만이 평가를 주제로 한 논문 이었음(길버트, 2002).
- 길버트는 Assessment와 evaluation은 동의어가 아니며 evaluation이 Assessment
의 한 부분도 아니라고 하였음.
- Assessment와 evaluation 용어의 차이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Assessment는 ‘사정’으로, evaluation은 평가로 번역해 왔다.
따라서 Assessment를 ‘사정'으로 번역해야 하나 본 글에서는 코칭 의 글 전후 맥락을
고려하여 선수 ‘사정’ 보다는 선수 ‘평가’ 라고 번역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다고 판단
되었다. 요즘에는 Assessment와 evaluation을 평가의 같은 개념으로 쓰기도 함.
1. 머리말
◈평가의 4가지 범주◈
1.
2.
3.
4.
근력
프로그램 평가
교육과정 평가
학습 기회 마련을 위한 평가
학생 평가
☞ 본 장의 목적은: ‘평가의 목적’ 및 ‘평가의 형태’ 와 같은 근본적인 쟁점에 대해
스포츠 지도 내에서 논의 하며, 의미 있고 실제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필요한
몇 가지 제안을 하는데 있음.
- 많은 선수들, 학부모, 행정 관리자들이 코치에게 가장 기대하는 것이 ‘선수의 학습
기회를 극대화 시키는 것’ 인데 정작 코치들은 선수의 학습 평가에 대한 자료를 거
의 갖고 있지 않다는 것. 또한 다양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코치의 책임일 뿐만 아
니라, 선수들의 학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훌륭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
1. 머리말
◈코치가 선수들의 학습 기회를 극대화 하려면?
1. 코치 자신이 무엇을 성취해야 하는지 자각해야 한다.
2. ‘나는 선수들을 우승 시키고 싶다’ 보다 좀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3. 선수를 위해 구체적으로 학업 성취를 설정.
4. 목표한 대로 성취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
☞뉴질랜드 교육부에 따르면 ‘학습결과는 특정한 학습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기대된 학습’ 으로 정의하고 있고, 코치가 시즌 또는 특정 시기 동안의 학업 성취
도를 결정했다면 무엇이 평가되어야 할 것인가, 어떻게 평가 될 것인가, 그리고
언제 평가할 것인가에 관해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함.
본 장에서는 특정 스포츠에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무엇이 평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논의 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 보다 왜, 언제,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져야 선
수와 코치에게 의미 있고 실제적일 수 있는 지에 관하여 논의.
2. 평가의 목적
- 평가는 학습자의 수행을 평가, 학업 성취에 가치를 부여 하는 것(Kemmis & stake, 1988).
- 진단하고 분석하기, 피드백 제공하기, 동기 부여하기, 할 수 있는 것 증명하기, 선발의 기
능, 책무성 등과 다양한 평가의 목적이 존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애매모호한 행위가 아님.
- 평가는 광의적으로 말하자면 사회적, 정치적 목적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
음(Tinning et al., 2001).
☞교육적 목적에서 평가의 역할(Tinning et al., 2001).
1.
2.
3.
4.
5.
최근의 학습상황을 알려줌.
프로그램의 유용함을 진단.
선수의 학습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한 변화.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
책임감을 갖는데 사용
☞ 사회적 목적
학습 목표를 성취함에 있어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선수를 찾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평가가
사용 될 때(동기부여 및 보상하기 위해 사용)
☞ 정치적 목적
경쟁적 상황에서 선수를 엄밀히 조사 분류하고, 등급을 매기거나, 선발하기 위해 사용.
(Tinning et al., 2001).
3. 평가의 종류
- 형식적: 일정한 틀에 맞추어 정해진 시기에 실시되는 평가
- 비형식적: 비정기적으로 정해진 틀 없이 이루어지며 평가자의 내적 인지도에 따라 수시로
평가, 기록 후 분석.
- 총괄 평가: 학생들이 학습한 것을 최종적으로 판단하는데 사용(비교, 등급을 매길 때)
⇒ 설정된 학습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 되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교육행위 효과를 전체
적으로 파악하는데 사용
- 형성 평가: 학습자의 성취 결과를 정확 혹은 부정확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그들의 향상에 대
한 피드백을 제공, 학습 과정에서의 첫걸음으로 간주되고 성취노력을 자극하는
데 사용
⇒ 학습의 과정 중 학생들의 학업 진행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즉 교수 행위를 수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
◈스포츠 지도에서 형성평가의 사용◈
- 개인별 기록을 통한 통계 지표 활용: 학습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발달 정도를 관찰→ 선
수는 성취 동기 부여→ 코치는 지도 방법을 수정 보완 할 수 있음.
3. 평가의 종류
형성평가를 활용하기 위한 목표(Siedentop & Tannehill, 2000).
ㄴ
학습 및 학습의 어려움이 관찰되고 확인될 수 있도록 코치와 선수들에게 피드
백을 제공하는데 있음.
ㄴ
스포츠 지도를 반성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
ㄴ
선수들은 자신이 수행한 기록을 유지하고 스스로 평가하고 경기에서 자신의
약점을 확인하는 데 있음.
4. 실제 평가
- 학습 결과의 전 범위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적으로 실시되며, 학습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고, 형식적, 비형식적으로 모두 실시되고 있음.
*실제적이고 의미 있는 평가를 계획하는 방법*
- 코치는 자신과 선수가 성취하고자 하는 것을 구체화하고 계획된 결과(목표)의 최종 성취
를 중심으로 훈련을 지속해야 함.
코치는 시즌 동안 어떤 학습 결과에 초점을 둘 것인가를 먼저 결정하면 시즌 초에 자신에게 던진
질문이 변경될 수 있다. 그 질문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Siedentop & Tannehill, 2000)
1. 시즌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는가?
2. 시즌 동안 훈련시간은 어느 정도 인가?
3. 프로그램에 포함될 내용은 무엇인가?
4. 중요한 성과는 무엇인가?
5. 선수들이 알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무엇을 보여주어야 하는가?
6. 선수들은 어떤 상황에서 자신의 기술과 지식을 독특한 방식으로 보여주어야 하는가?
4. 실제 평가
- 평가는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포함하고 학습자에게 평가된 요점을 알려주며 분명한 기준과 적절한
피드백을 학습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등의 과제 범위를 코치들이 구체화하는데 유용함.
- 평가의 인식: 코치와 선수는 분명히 (무엇을, 어떻게, 언제, 누가, 왜) 인식(Tinning et al., 2001).
- 게임수행 평가도구(GPIA)의 7 행동요소 (Griffin et al., 1997).
1. 기본(Base) 기술을 시도하는 사이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능력
2. 적응(Adjust) 게임의 흐름에 필수적인 것으로 공격, 수비 상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
3. 의사결정(Decision making) 게임 중 어떻게 공을 처리할 것인가, 혹은 이와 유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
가 등과 관련하여 합리적인 결정 할 수 있는 능력
4. 기술실행(Skill execution) 특정 기술을 숙련되게 실행할 수 있는 능력
5. 도움주기(Support) 공이 없는 상태에서 공을 가지고 있는 동료로부터 패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공간으로의 이동이나
움직임
6. 커버(Cover) 공을 향해 움직이거나 유사한 상황 혹은 공을 향해 나가는 동료를 위해 방어의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
7. 가드 또는 마크(Guard & Mark) 공을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상대 선수를 방어하는 능력
- 수행(행동)의 3요소(Metzler, 2000: 363).
1. 의사결정(적절 또는 부적절)
2. 기술실행(효율적 또는 비효율적)
3. 도움주기(적절 또는 부적절)
4. 실제 평가
- 선수의 운동 수행 및 게임 참여 분석(GPAI체크리스트)
▶ 게임참여(Game involvement)
적절한 의사결정의 수+부적절한 의사결정의수+효율적인 기술수행의 수
+비효율적인 기술수행의 수+적절한 도움행동의 수
▶의사결정(Decision-making index: DMI)
부적절한 의사 결정의 수/ 적절한 의사 결정의 수
▶기술실행(Skill-execution index: SEI)
비효율적인 기술실행의 수/ 효율적인 기술실행의 수
▶도움주기(Support index: SI)= 부적절한 도움 행동의 수/ 적절한 도움 행동의 수
▶게임수행(Game performance)= 3(행동의 수)/ (DMI+SEI+SI)
☞ 주요어: A= 적절, IA= 부적절, E= 효율적, IE= 비효율적
- 최종 게임 수행 점수는 효율적, 비효율적인 경우와 적절한 것과 부적절한 것의 비율도 나타
내고, 부정보단 긍정적인 경우를 선수가 보여줄 때 더 높은 GPAI점수를 획득.
- GPAI 기록 시스템은 선수들에게 많은 경기를 하는 것 보다 현명한 전략적 결정을 내리도록
권장 하고 있음(Metzer, 2000).
4. 실제 평가
- 기타 평가 방법: 코치가 자기평가의 형태를 구체화하는 것. 즉 선수들은 자신의 목표, 코치의 목표,
동료가 수행한 것을 비교하여 명확하게 분석하는 기회를 갖게 됨.
- 포트폴리오 or 글쓰기
☞ 한 개 혹은 여러 목표를 향한 선수의 노력, 발전, 성취를 기록한 자료의 모음집. 구성의 적절한
항목은 게임 녹화분, 선수나 팀에 대해 보도한 신문 스크랩, MVP상 과 같은 목표달성 증명서,
지도 받기 전과 후의 기술 수행을 비교하는 기록지, 동료들의 평가서 등
- 포트폴리오 구성 시 고려사항(Herman et al. in Siedentop & Tannehill, 200: 191)
1.
2.
3.
4.
평가의 목적을 정한다.
포트폴리오에 포함될 것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 결정.
포트폴리오의 자료를 누가 선정하고 언제 선정할 것인지에 대해서 분명하게 결정.
포트폴리오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 글쓰기: 자신과 동료들의 운동 수행이나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 느낌, 인상을 숙고하고 공유
할 수 있게 해줌.
▶ 글쓰기의 3가지 유형
1. 어떤 상황 및 그 상황에서 반응을 어떻게 하였는지 설명하고자 하는 선수.
2. 자기 행동에 대해 반성의 기회를 갖고자 하는 선수.
3. 반성에서 나온 생각을 학습에 적용하고자 하는 선수.
☞코치들이 지도 맥락에서 글쓰기는 필요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평가는 학습 결과와 관련 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하고, 만약 선수의 전술적 사고를 높이는 것으로 목표 설정했다면 글쓰기는 이에
적합하며,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하는 코치가 있다면 선수들이 무엇을, 왜, 그렇게 했는지 기술하는
글쓰기를 추천.
5. 맺음말
평가는 학습이 일어나고 있는지 아닌지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 스포츠 지
도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한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코치의 복잡한 상황적 이해 부족으
로 선수들을 진단하고, 동기를 부여, 선발하는 능력, 스폰서와 선수들을 관리 하는 것
에 대한 책무성을 다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
코치는 어떤 형태의 평가를 고려할 것인가, 어떤 평가를 적용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평가의 근본 목적을 마음에 깊이 담아두고 되새겨 보는 것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