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미만군 (n=20)

Download Report

Transcript 65세 미만군 (n=20)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에서
조기 작업치료가 일상생활활동 수
행에 미치는 영향
노인작업치료 – 김형민교수님
작업치료과 1091016 조아라
성덕대학
http://www.sdc.ac.kr/sdot/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결과
고 찰
결 론
성덕대학
http://www.sdc.ac.kr/sdot/
연구목적
인지기능이 양호한 65세 이상과 65세 미만인 뇌졸중 환자들을 대
상으로
일상생활활동과 운동 기능의 회복, 재활의학과로의 전과까지 소
요된 기간, 재활의학과 재원기간을 통해 조기 작업치료가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
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대구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재활의학과 입원한 뇌졸중 환자대상으로
대상자 선정기준
자기공명영상이나 컴퓨터단층촬영판독을 통해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자 중,
1. 발병 후 1개월 미만으로 뇌졸중의 기왕력이 없는 자
2. 시지각 검사도구인 성인용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 상
마비측에 시각 무시가 없는 자
3.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검사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에서 24점 이상인 자
연구방법
2. 연구 기간 및 방법
연구 기간 : 2007년 1월 ~ 2007년 12월
재활의학과 입원환자 재상으로 2인의 작업치료사가 평가 실시
MVPT, MMSE 실시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을 만족한 자들을 대상.
입-퇴원시 일상생활활동의 독립도를 알아보기 위해 변형된 바델지수를,
운동기능의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Motricity Index,
Fugl – Meyer Assessment를 평가.
연구방법
3. 연구 도구
1) 변형된 바델지수
일상샐활 활동수행 독립성평가. 대한 뇌신경 재활연구소에서 제 5판 MBI를 수정 번안한 한국판
바델지수.
국내 뇌졸중 환자의 장애를 객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애 평가방법.
2) Motricity Index
The Medical Reasearch Council System 척도를 수정하여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와 하지의 운동기능 손상의 심각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
3) Fugl – Meyer Assessment
뇌졸중 이후의 운동기능, 균형, 감각과 관절기능의 일부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Brunnstrom의 편마비 분류를 적용.
연구방법
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SPSS 15.0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65세 이상군과 65세 미만군의
운동회복,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 재원기간, 재활기간은 독립-T 검정실시.
유의수준은 < 0.05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
성별
원인
마비측
병변 부위
구분
인원수 (%)
남
26 (65.0)
여
14 (35.0)
경색
31 (77.5)
출혈
9 (22.5)
오른쪽
16 (40.0)
왼쪽
24 (60.0)
중대뇌
19 (47.5)
연수
12 (30.0)
기저핵
8 (20.0)
기타
1 (2.5)
대상자 수
연령평균
재활 이전 기간
재활의학과 입원
기간
65세 미만
20
51.70±8.24
20.55±8.93
46.95±13.02
65세 이상
20
69.60±4.01
13.26±4.63
38.50±24.28
연구결과
2. 연령군별 운동 회복, 일상생활활동, 전과기간과 재활기간 비교
65세 이상군
(n=20)
65세 미만군
(n=20)
P
입원시
67.75±19.27
56.35±25.32
0.06
퇴원시
91.40± 8.11
81.60±20.99
0.03*
변화
23.65±15.95
25.25±13.30
0.39
입원시
33.05±23.71
19.37±21.07
0.03*
퇴원시
43.50±24.96
36.55±24.71
0.19*
변화
10.45± 8.62
17.00±15.44
0.05
상지
57.40±18.33
54.75±22.01
0.34
하지
62.00±13.24
64.65±11.50
0.25
전과기간 (일)
13.26± 4.63
20.55± 8.93
0.01*
재활기간 (일)
38.50±24.28
46.95±13.02
0.09
MBI
FMA(상지)
MI(퇴원시)
고찰
연령이 뇌졸중 환자들의 기능적 회복에 영향을 준다는 다른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실험군의 인지 기능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에는 연령이 높은 노인 환자들도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기
능적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인구의 기능 변화에 연령뿐 아니라 성별도 영향을 미친다는 여려 연구들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작은 표본 수와 남,녀의 성비가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이 부분 까지 살펴
볼 수 없는 제한점이 있었다.
결론
65세 이상의 노인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에도 인지 기능이 양호한
경우 조기 작업치료를 통해 운동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의 독립성
향상을 기대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에는 노인층을 좀 더 세분화 하여 65세 이상의 고령층과 80
세 이상의
초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덕대학
http://www.sdc.ac.kr/sd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