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 서비스품질 - 디지털정보통신과
Download
Report
Transcript 16장 서비스품질 - 디지털정보통신과
16장 서비스품질
글로벌 품질경영
제4판
김연성, 박상찬, 박영택, 박희준,
서영호, 유한주, 이동규
2009년
http://money.cnn.com/2007/07/10/magazines/
fsb/better_service.fsb/index.htm
박영사
박영사 2009
-0-
16장 서비스품질
4부
품질경영의 도전과 미래
박영사 2009
14
식스시그마 품질혁신
15
e-품질경영과 벤치마킹
16
서비스품질
?
-1-
16장 서비스품질
제16장 서비스품질
• 왜 서비스품질에 관심을 두어야 할까?
• 서비스품질을 어떻게 정의할까?
• 서비스품질은 무엇으로 결정될까?
• 서비스품질은 측정할 수 있는가?
– SERVQUAL은 서비스품질 측정도구
– 서비스품질 격차모형
– SERVQUAL의 측정방법
– SERVQUAL의 활용
• 어떻게 하면 서비스품질을 높일 수 있을까?
– 서비스품질 향상방안
– 서비스품질 평가 프로세스
•
종합사례: K은행에서 실시한 서비스품질의 측정
박영사 2009
-2-
16장 서비스품질
왜 서비스품질에 관심을 두어야 할까?
중요성
서비스품질은 모두가 잘 하는 그런 것이 아니다.
강한 서비스품질 지향을 보이는 기업들은 다른 경쟁자가 도저히 따라 잡을
수 없으며 오래가는,
기업 내적인 문화와 기업 외적인 명성을 만들어 간다.
의의
서비스품질이 훌륭하다는 것은 고객이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켜 주거나, 기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란 고객의 기대나 욕구수준과 그들이 지각한
것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의 정도로 정의된다.
박영사 2009
-3-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을 측정하는 이유 두 가지
개선, 향상, 재설계의 출발점이 측정
경쟁우위 확보와 관련한 서비스품질의 중요성 증대
서비스품질 측정이 어려운 이유 다섯 가지
주관적 개념
전달 이전에 테스트 불가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품질에 대한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
자원이 고객과 함께 이동하므로 고객이 자원의 변화를 관찰
고객은 프로세스의 일부이며 변화 가능성이 있는 요인
박영사 2009
-4-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을 어떻게 정의할까?
등급, 사용적합성, 일관성 ?
(파라수라만, 자이다믈, 베리)
PZB의 5가지 특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서비스의 품질
박영사 2009
유형성
SERVQUAL 모델
반응성
역시 측정대상으로!!
-5-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은 무엇으로 결정될까?
서비스의 품질연구 흐름
박영사 2009
-6-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 관련 주요 논쟁
주요 논의
연구자
주요 내용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관계
Anderson & Sullivan(1993) ,
Bolton & Drew(1991) 등
SQ-CS의 상관관계,
선후관계 규명
기대와 인식
차이모형의 유용성
서비스품질 모형 개발
서비스품질의
허용영역 규명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 규명
박영사 2009
Berry et al.(1985),
Parasuraman et al.(1985),
Grönroos(1990) 등
Brogowitz et al.(1990),
Grönroos(1987) 등
SQ 측정척도 논의
SQ 인식의 발생원인
규명, 관리
Berry & Parasuraman(1994),
Strandvik(1994) 등
허용영역 밖 성과
향상에 의한 변화
Lehtinen(1983),
Grönroos(1983),
Carman(1990) 등
SQ 결정요인의
내용, 중요성 규명
-7-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은 측정할 수 있는가?
고객이 서비스품질을 판단할 때의 다섯 가지 차원
RATER : Reliability(신뢰성), Assurance(확신성), Tangibles(유형성),
Empathy(공감성), Responsiveness(대응성)
고객의 기대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
구전(Word of Mouth), 개인적 니즈(Needs), 과거 경험(Experience)
고객의 서비스품질 인지의 두 가지 요인
고객의 서비스 품질 인지 방정식 = f(PS, ES)
경험한(인지된) 서비스 : PS, Perceived Service
기대된 서비스 : ES, Expected Service
박영사 2009
-8-
16장 서비스품질
인지한 서비스품질 모형
박영사 2009
-9-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의 차원
서비스품질 평가를 위해 고객이 사용하는 열 가지 준거와 다섯 가지 차원
유형성 : 물리적 시설, 장비, 직원, 자료의 외양
유형성
신뢰성 : 약속한 서비스를 믿을 수 있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능력
신뢰성
대응성 : 고객을 기꺼이 돕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는 것
대응성
능력 : 필요한 기술 소요 여부와 서비스를 수행할 지식의 소유 여부 확신성
예절 : 일선 근무자의 정중함, 존경, 배려, 친근함
신빙성 : 서비스 제공자의 신뢰성, 정직성
안전성 : 위험, 의심의 가능성이 없는 것
가용성 : 접촉 가능성과 접촉의 용이성
확신성
확신성
확신성
공감성
커뮤니케이션 : 고객들이 이해하기 쉬운 고객언어로 이야기하고,
고객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 공감성
고객 이해 : 고객의 욕구를 알기 위해 노력하는 것
박영사 2009
공감성
-10-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의 차원
• 고객이 서비스품질을 판단할 때의 다섯 가지 차원(RATER):
Reliability(신뢰성): 약속한 서비스를 믿음직스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
Assurance(확신성): 믿음과 확신을 주는 직원 능력 및 지식과 호의
Tangibles(유형성): 물적 시설, 장비, 인력, 통신의 확보
Empathy(공감성): 고객에 대한 배려와 개별적인 관심을 보일 준비
Responsiveness(대응성): 고객을 돕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
박영사 2009
-11-
16장 서비스품질
Perceived Performance – Service Quality
SERVQUAL
5 차원
Tangibles
•
•
•
•
•
•
최신 장비
시설
종업원 외모
분위기
다른 고객
의사소통 도구
Reliability
•
•
•
•
서비스 철저
청구서 정확도
정확한 기록
약속시간 엄수
Responsiveness
• 서비스 적시성
• 즉각적 응대
• 신속한 서비스
Assurance
•
•
•
•
종업원 능력
정중한 태도
믿음직성
안전성
Empathy
•
•
•
•
•
개별적 관심
접근용이성
원활한 의사소통
고객에 대한 이해
고객이익중시
Source: PZB(1988)
박영사 2009
-12-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 격차 모형
구전
개인적 니즈
고
객
과거 경험
기대한 서비스
격차 5
경험한 서비스
서비스 제공
(사전 및사후접촉)
제
공
자
격차 1
격차 4
고객에 대한 외부
커뮤니케이션
격차 3
경영자 인지의 품질명세화
격차 2
고객기대의 경영자
인지
박영사 2009
-13-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 격차 모형 요약
서비스품질은 격차5에 의해 결정됨.
격차5는 격차1에서 4에 의해 결정됨.
갭 1 : [기대된 서비스 - 경영진의 고객의 기대에 대한 인식]
= 경영자 인지 격차
갭 2 : [경영자 인식의 품질명세화 - 경영진의 고객의 기대에 대한 인식]
= 경영자 인지 격차
갭 3 : [서비스 전달 - 경영진 인지의 품질명세화]
= 서비스전달 격차
갭 4 : [서비스 전달 - 고객에 대한 외적 커뮤니케이션]
= 시장 커뮤니케이션 격차
갭 5 : [기대한 서비스 - 경험(인지)한 서비스]
= 경험한 서비스 격차
박영사 2009
-14-
16장 서비스품질
격차요인의 정의
박영사 2009
-15-
16장 서비스품질
Service Quality Gap Model
박영사 2009
-16-
16장 서비스품질
박영사 2009
-17-
16장 서비스품질
박영사 2009
-18-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의 차원 및 설문 항목(은행의 적용 예)
박영사 2009
-19-
16장 서비스품질
SERVQUAL 점수 측정
박영사 2009
-20-
16장 서비스품질
박영사 2009
-21-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 향상 방안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기대를 이해하고 확인하기
데이타 수집을 위한 도구의 설계(SERVQUAL)
Process Flow Chart 작성
투입요소 검토 : 정보, 고객, 자재
각 프로세스 단계별 서비스품질 요구사항 정의하기
서비스 전달 시스템 설계
대기시간, 투입품질 규정, 산출품질 규정, 불만고객수, 절차 및 체크
리스트에 대한 운영 기준 등 설정
품질기준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서비스품질 전달시스템의 설계에 피드백 하기
박영사 2009
-22-
16장 서비스품질
서비스품질 실천의 방향
박영사 200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