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를 견인하는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서 화장품산업 2013. 10

Download Report

Transcript 창조경제를 견인하는 미래성장동력산업으로서 화장품산업 2013. 10

순
서
새로운 출발! 식약처
II
화장품 정책 여건
I II
화장품 정책 추진방향
새로운 출발! 식약처
Ⅰ. 새로운 출발! 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처
處 승격의 취지에 따라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식품과 의약품 등의 안전관리를 책임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전문성
독립성
Ⅰ. 새로운 출발! 식약처
본 부
식의약 안전정책의 수립 및 조정
평가원
과학적 위해평가•연구 및
안전성 심사
본부
평가원
지방청
지방청
수입검사, 업체 지도감독, 현장실사
식품의약품안전 일원화에 따른 정책 수립∙조정기능 강화
과학에 근거한 전문 심사 · 평가 기관으로 기능 강화
현장 중심의 신속한 안전관리 집행
Ⅰ. 새로운 출발! 식약처
식품·의약품 등 안전업무의 특성
일상성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관리는 기초적 ‘민생’과 직결되는 핵심 기능
민감성
국민과 언론의 관심이 매우 높아, 사회문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사회불안의 중요 요인으로 대두
* ‘내 가족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선결과제
* 식품·의약품 등 안전은 국가의 총체적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수
유해성
이해갈등
식품・의약품 등은 필연적으로 유해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국민의 인식과 소통이 매우 중요
최고수준의 안전을 요구하는 소비자와
최소한의 규제를 요구하는 업체의 이해가 충돌하고 있어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정책결정 과정 필요
Ⅰ. 새로운 출발! 식약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비전
안전한 식·의약
건강한 국민
행복한 사회
1. 삶의 질을 높이는
2. 생산부터 소비까지
민생안전 확보
사람중심 안전관리
3. 국민의 더 안전한,
더 건강한 삶 구현
4. 안전을 넘어 안심 확보
II
화장품 정책 여건
Ⅱ. 정책여건
1. 화장품산업 현황
11년 국내생산실적 6.4조 시장규모 14.5조 추정
지속적인 고성장 추세
전형적인 내수중심의 산업으로 수출경쟁력 미흡
소수의 글로벌 기업과 대다수의 영세한 중소기업 공존
낮은 기술경쟁력 R&D 투자 미흡
Ⅱ. 정책여건
2. 화장품산업의 새로운 기회
세계 화장품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한류를 이용한 수출확대 가능성이 높은 문화접목 산업
명품브랜드 개발로 지속적인 고수익 창출 가능
타 산업과 융합을 통한 국부창출 미래성장동력 산업
Ⅱ. 정책여건
3. 극복과제
취약한 화장품산업 생태계
해외 브랜드 인지도 취약
대외환경의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
소비자의 요구수준 향상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
수출 증대를 위한 국내외 규제변화
I II
화장품 정책 추진방향
Ⅲ. 정책 추진방향
정책슬로건
개방·참여·공유와 지식창조의 시대정신으로
투명하고 신뢰받는 강력한 창조경제정부를
만들어 지식창조·문화산업강국을 건설
Ⅲ. 정책 추진방향
정부 3.0
정부철학
정부기능
개방·참여·공유
지식창조
국민참여
개방적
정책수립
플랫폼 형 정부
부처장벽
열린 인사제도
정보공개
공공정보
개방원칙
Ⅲ. 정책 추진 방향
1. 규제제도의 국제조화 및 선도
화장품 유형의 확대
표시·광고제도 개선
제조판매관리자 자격기준 합리적 조정
기능성화장품 제도 개선
수출용 화장품 예외규정 확대
Ⅲ. 정책 추진 방향
2. 글로벌제품 창조기술 개발
R&D 투자 확대 및 효율화
기술수준 선진화
글로벌 TOP브랜드 개발
Ⅲ. 정책 추진 방향
3. 산업육성 인프라 확충
맞춤형 수출전문인력 양성
GMP시설지원 구축 지원
원료 안전성 규제정보 시스템 구축지원
대외환경 변화 대응체계 구축
Ⅲ. 정책 추진 방향
4.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
수출 마케팅 지원강화
글로벌 협력·해외정보 수집 강화
Ⅳ. 정책목표
화장품 산업 G7국가 진입
2010년
2015년
2020년
 생산액 : 6조
 생산액 : 9조
 생산액 : 15조
 수출액 : 8억 달러
 수출액 : 20억 달러
 수출액 : 60억 달러
 수출 비중 : 14%
 수출비중 : 21%
 수출비중 : 40%
 세계100대기업 : 3개
 세계100대기업 : 5개
 세계100대기업 : 10개
 안전관리체계 : 준비
 안전관리체계 : 구축
 안전관리체계 : 정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