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교수의 개념

Download Report

Transcript 협력교수의 개념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협력교수
협력교수의 개념을 이해한다.
- 협력교수의 성격을 이해한다.
-협력교수의 유형을 알고 적용한다.
-협력교수의 장점 및 쟁점사항을 안다.
-
•
머 리 말
- NCLB(No Child left behind, 2001)
- 교과교육 강화, 교사들의 책무성 강조
- TC(Teacher Consultant): 통합교육자문
교사 출현
-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협력교수 실행
- 교사들 간의 협력 촉진 방법, 협력교수의
개념, 유형 등 고찰
협력과정에 필요한 기술
1. 개인 간의 의사소통 기술
- 학생 발전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
-
진단검사의 정보 공유하기
성적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기
협력적인 장, 단기 교육계획에 참여하기
부모들 및 다른 전문가들과 상담하기
대인관계 기술의 중요한 요소
첫째, 서로에 대해 알고 믿기
둘째, 정확하고 명백하게 의사소통하기
셋째, 서로 수용하고 지원해주기
넷째, 대립관계의 문제를 건설적으로 해결하기
(Johnson, 1996)
2. 듣기 기술
-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기대를 나타냄
-
자문의 핵심을 유지하도록 도와줌
친밀감 형성에 도움이 됨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함
적극적인 듣기는 협력을 촉진함
3. 질문 기술
- 질문은 협력과정에서 지식 습득의 원천
- 질문 방식은 상대방의 반응에 영향을 미침
- 질문은 의사소통의 과정을 명확히 해줌
- 질문은 정보 수집에 적합하도록 계획을 세움
4. 관찰 기술
- 관찰은 자문과정의 정보 수집에 필수적임
- 관찰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교실에 들어갈 때 긍정적인 말을 한다.
. 교사에 의해 지정된 장소에 겸손하게 앉는다.
. 교실활동에 참여하지 않도록 한다.
. 행동을 암호로 기록한다.
. 교사에게 미소와 도움을 주는 눈으로 관찰을 마친다.
. 담임교사에게 관찰에 대해 긍정적이며 감사한 말을
전한다.
•
협력교수의 개념
- Bauwens, Hourcade & Friend(1989)
협력교수(cooperative teaching)는 일반교사와 특수
교사가 교육적으로 통합된 상황(예, 일반학급)에서
개인차가 심한 이질적인 학생의 집단들을 공동으로
가르치기 위해 협력하며 동등하게 업무를 하는 교육
적 접근이다(…중략). 협력교수를 할 때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일반학급에 동시에 존재하며 교실 내에서
발생하는 제반 교육적 결정에 있어서 공동의 책임을
진다
- Bauwens, Hourcade(1995)
협력교수(co-teaching)는 독특한 능력을
지닌 두 명 이상의 교육자들이 교육적으로
통합된 상황, 즉 일반학급에서 학습적으로,
행동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의 학생들을 공
동으로 가르치기 위해 협력하며 동등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교수절차의 재구조화를
언급한다(p.46).
- 유장순(2001)
협력교수(co-teaching)란 일반교사와 특
수교사가 특수교육적 지원이 요구되는 학
생이 통합된 일반학급에서 공동으로 수업
하며, 일반학급 내의 모든 학생에게 질적
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평등한 입장에서
업무 및 역할, 교수, 학습 평가, 학급관리,
학생관리 등 제반 결정 사항에 대해 주도
적으로 참여하는 교수활동
•
협력교수의 성격
- 협력교수는 다른 교사의 물리적 존재가 아님
- 협력교수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두 집단 간의
동등한 직접적인 상호작용
- 협력교수는 2명의 교사가 더 효과적이라는 신념
체계
- 협력교수는 효과적인 상호작용 기술을 필요
- 협력교수는 지원환경 필요
- 협력교수는 학교 문화의 변화 요구
•
-
협력교수의 유형
교수, 지원(one teach, one assist)
스테이션 교수(station teaching)
평행교수(parallel teaching)
대안적 교수(alternative teaching)
팀 교수(team teaching)
- 교수,지원 형태 (one teach, one assist)
* 일반교사가 교수활동 주도, 특수교사 학생 개
별적 지원
* 수업활동 교대 역할 필요
* 고정된 역할(특수교사가 지원)
- 특수교사 준 전문가 함정
- 특수교육대상자 낙인 두드러지는 경향
- 특수교사 보조자적 역할로 정체성 및 위상
혼란
- 스테이션 교수(station teaching)
* 대 집단을 2, 3개의 소집단 구성
* 교사들은 각 스테이션에서 다른 교육활동
* 학습활동 후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
- 평행교수 (parallel teaching)
* 대 집단을 2개의 소집단 구성
* 교사들은 각 스테이션에서 같은 교육활동
* 학생들은 이동하지 않음
- 대안적 교수(alternative teaching)
* 일반교사가 대부분의 학생 교수
* 특수교사는 교육과정 수정 요구 학생 교수
- 우수학생, 부진아, 지진아, 특수교육대상자
- 팀 교수 (team teaching)
* 모든 수업활동 과정 두 교사가 공유된 교수
* 도입, 전개, 정리 단계에서 각각 역할 담당
* 수업활동 중 두 교사 중 1명이 일차적인 책임
- 협력교수 유형 선택의 일반적 준거
첫째, 협력교수에 대한 참여자들의 사전 훈련과 경험
둘째, 학생들의 요구
셋째,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의 양
넷째,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일반적 지식
다섯째, 교수 파트너간의 관계의 특성
- 협력교수 활동의 기본적인 요인
*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개인의 책무성, 1:1상호작용의
촉진, 사회적 기술, 집단 처리 과정
- 성공적인 협력교수 실행을 위한 단계(Lisa, 1996)
1단계 : 협력교수 이행을 위한 계획준비, 관리자 지원
2단계 : 협력교사 결정
3단계 : 협력교수 위한 시간표 작성, 역할 분담 등
4단계 : 협력교수 위한 계획 실행
- 협력교수 할 교과목 정하기
- 정규수업 계획 준비하기
- 역할 명백하게 규명하기
- 협력적인 문제해결 과정 포함
5단계 : 협력교수 수행하고 평가 단계
6단계 : 협력교수 기회 개방, 성공적인 경험 공유
•
협력교수의 이점
- 학생에게 주는 이점
* 장애학생 통합 촉진, 적절한 서비스 제공
* 개별화 지도 가능, 위기상태(at-risk)의 학생 혜택
* 장애학생의 학습적 및 사회적 능력 증진
- 교사에게 주는 이점
* 전문성 개발, 의사소통 증진
* 불필요한 노력 중복 예방, 고독과 소진감 감소
* 자원과 자료 공유, 교사들간의 지식, 능력 기술 결함
•
협력교수의 쟁점
- 학생에게 미치는 쟁점
* 일반학생들의 학습 수행 수준 하향 우려
* 일반학생에 대한 교수적 관심의 감소 우려
* 교육환경의 급변화에 대한 염려
* 장애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결정 권한 부족
- 교사에게 미치는 쟁점
* 교사들 간의 권한 평등성 확보와 의사소통 기술의 부족
* 자료공유 거부, 공동 목표 추구에 대한 유연성 부족, 시간부족
* 교사들간의 정체성 상실, 교실 운영에 대한 통제권 상실
•
맺음말
-일반교사와 협력관계 구축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최상의 실제가
되도록 노력
- 특수교육의 전문가로서 특수교사 역할
수행
- 협력교수로의 전환은 행정적 지원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