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의 필요성

Download Report

Transcript QA의 필요성

QA의 필요성
2012. 09. 11
충청대학 보건의료정보과
1
목
6.
QA의 필요성
QA 개념과 관련분야
QA 프로그램의 시행 절차
QA 과정의 도식화
QA 위원회의 구성
QA와 TQM의 특징적인 차이
7.
의료기관신임합동위원회(JCAHO) 10단계 모델
1.
2.
3.
4.
5.
2
차
1. QA의 필요성

의과학의 발전과 의료기술의 발달

국민총생산(GNP)중 의료비의 지출 증가

낮은 수준의 의료서비스

의료에 대한 국민 의식수준 변화

의료기관 관리에 대한 압박

의료기관간의 경쟁
QA 시행의 필수요소


3

진료의 질적 수준 향상
효율적인 병원경영 : 적정비용(cost)
환자/고객 만족도 향상
2. QA 개념과 관련분야

-
기업의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
1950년 : 대량생산으로 인한 품질관리
1962년 : 무결점 운동(Zero Defect Movement, ZD)
품질관리(Quality Control, QC)
고객의 만족 목적
- 품질 제품의 경제적인 생산
 하향식 관리
- 조직내 집단의 품질유지 및 개선을 위한 노력

4

의료분야에서의 QA
-
간호분야의 질 평가
-
임상병리의 정도관리
우수의약품 제조관리
-
무결점운동(Zero Defect Movement, ZD)
종업원에게 동기부여
- 작업상 결점 영
 업무 달성하고자 하는 운동
-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 향상 및 원가절감

3. 전통적 QA 프로그램의 시행 절차

문제의 확인 : 의무기록 검토 – 양질의 의료제공 방해요인유무 파악

우선순위 결정 : 활동계획 수립

문제점의 평가 : 의무기록(가장 유용)

문제점의 원인확인 및 시정을 위한 목표와 방안 제시 : 환자진료의
질적 효과
5

문제 해결 상태의 평가와 조절

문서화

QA 프로그램의 평가 또는 보고

의료평가 결과시 발견된 문제 : 이사회 보고
4. QA 과정의 도식화
1. 진료기준 설정
2. 진료업무에 대한 관리
5. 교육프로그램
6. 추구관리
6
3. 문제점 분석
4. 문제점 해결 방안 제시
5. QA 위원회의 구성
1) 감염위원회(infection control committee)
- 병원 내에서 발생하는 감염 조사
2) 약사위원회(pharmacy and therapeutic committee)
- 안전한 약품사용, 약품치료효과, 약의 부작용, 약품의 선정 및 투약의 자문
3) 조직위원회(tissue committee)
- 수술의 타당성, 불필요한 수술 또는 부적합한 수술 : 의무기록 검토
4) 의무기록위원회(medical record committee)
- 환자진료의 내용, 치료나 검사결과 등의 정확, 완전 및 신속
5) 사고관리위원회
- 인간의 실수 또는 기계로 인한 사고로 의료기관의 책임 : 사고발생 최소화
7
6. QA와 TQM의 특징적인 차이
분 류
TQM
특징
개인, 감독, 환자초점
팀강조, 예방, 소비자 중심
목적
환자 진료의 질 향상
(가장 우선적 고려 → 전문적인 능력)
지속적인 표준개선
의사 및 임상의 리더들
(임상간부직원, QA위원회)
모든 임상 및 비임상의 리더들
초점
수직적, 결과지향성
수평적, 과정 및 결과 지향성
고객
환자
환자 및 전문인들
방법
의료감사, 명목집단기법, 가설검정,
지표 모니터링
브레인스토밍, 명목집단기법, 원인과
효과도표, 런챠트, 지표모니터링
한정된 참여
전 병원적인 참여
표준에서 이탈한 것 감시
기준에서 이탈한 과정 감사(QA),
지속적으로 개선(QI)
리더십
참여자
8
QA
지속적인 활동
7. 의료기관신임합동위원회(JCAHO) 10단계 모델
9
①
책임부여(assign responsibility)
②
진료/서비스 범위 설정(delineate scope of care)
③
진료/서비스의 중요 측면 발견(identify important aspects of care)
④
측정지표, 평가(identify indicators)
⑤
평가를 위한 위험수준의 설정(establish thresholds for evaluation)
⑥
자료수집 및 정리(collect and organize data)
⑦
진료/서비스의 평가(evaluate care)
⑧
발견된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 수행(take actions to solve identified problems)
⑨
개선활동의 평가 및 기록(assess the actions and document improvement)
⑩
전반적인 QA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교류(communicate relevant
imformation to the organization)
8. 환자중심 진료체제(Patient-focused care)

모든 중심은 내원한 환자

직원의 효율적 이용과 진료의 계속성 유지
환자중심 진료체제의 주요요소
①
②
③
④
⑤
⑥
10
분산화된 서비스
다기능 인력 활용
부서간 협력
임상경로(Clinical pathway)
업무단순화 및 업무 재조정
환자참여
9. QA사업 분류
1) 전 병원 의료의 질 관리사업 : 병원전체 대상
- 의료 질 관리위원회 : 병원내 의료 질 관리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역할수행
- 의료이용검토위원회 : 의료서비스의 필요성, 타당성 및 효율성 이용
- 신용위원회 : 의료 인력의 질 관리사업을 위한 조직
2) 부문별 의료의 질 관리사업 : 병원 중 일정 부문을 대상
- 의무기록 검사 : 의무기록은 의료의 질 관리의 중요한 정보원
신뢰성, 완결성 및 적시성 평가 →양질의 의료의 필요요소
- 감염대책 : 병원 내 감염의 감시, 예방 및 조적을 위한 질 관리사업
- 약품사용 평가 : 약품사용의 적정, 안전 및 효과적 여부조사·평가
- 급식영양부문 질 관리 : 급식 및 영양서비스 조사와 발견된 문제점 해결
- 간호부문 질 관리 : 간호서비스의 질과 적정성 평가 및 그 문제점 개선
- 혈액사용 평가 : 전혈을 포함한 각종 혈액체재의 적정 사용여부의 평가
- 응급실 질 관리 : 응급실에서의 적절성 및 정확한 치료 시행여부
11
- 과별 질 관리사업 : 병원내 임상·비임상 각과별 단위 및 과간 합동으로 시행되는 질 관리 사업
→ 현재 임상과 시행
10. 의료의 질 관리사업에서 의무기록사의 역할

QA 위원회의 서기/간사 역할(Committee assistant) : 실무 담당

의무기록 자료수집 : 의무기록은 질평가 1차 자료원

서식의 고안 : 서식의 문제, 새로운 서식 고안의 참여, 각종 보고
서 고안

자료의 보안(비밀) 유지 : QA대상 의료관계자들이 비밀 보장 및
자료이용의 보안

추후관리 : 환자 치료의 문제발생시 문제해결 여부의 확인을 위
한 감시과정 참여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