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의 방법론

Download Report

Transcript 비평의 방법론

매체비평론
임 종 수(신문방송학과)
[email protected]
미디어 비평의 방법과 기준
1. 미디어 비평의 방법
1) 작가비평
2) 텍스트 비평
3) 수용자 비평
4) 제도, 정책 비평
5) 이데올로기, 문화비평
2. 미디어 비평의 기준
1. 미디어 비평의 방법
<그림>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따른 비평의 방법
-
제작자: 연출가, 제작에 참여하는 기술진, 연기자, 극작가
텍스트: 음성 코드, 영상 코드(촬영, 배경, 세트, 분장 등)으로 구성
수용자: 성별, 연령, 인종 등에 따른 인구학적 사회적 배경
제도: 좁은 의미는 방송제작 시스템, 넓은 의미는 제도, 규제
맥락: 텍스트가 제작되고 방영되는 시공간
문화: 메타 사회, 특정한 삶의 방식(실천, 이데올로기)이 유통되는 사회
1) 작가비평
- 작가: 자신의 미적 감수성과 영향력이 텍스트 생산에 중요한 역할
- 작가주의(authorship/auteurism)
- 텍스트의 총체(corpus of texts) 속에서 발현되는 ‘세계관’과 ‘스타일’
기술적 능력
스타일
내적 의미
2) 텍스트 비평
(1) 장르비평
- 드라마, 시트콤, 다큐멘터리 등 특정 프로그램에서 반복되는 관습과
특성을 분석
- 장르는 텍스트의 코드화된 형식, “산업-텍스트-수용자 사이의 지향
점, 기대, 관습의 체계”(Neals, 1980).
(2) 서사비평: 이야기와 담론분석
- 이야기 분석: 통합체
플롯: 사건의 배열
주요사건(중핵), 작은 사건(위성)
인물: 평면적 인물과 다면적 인물
인물유형: 선인, 악인, 협력자, 반대자 등
배경: 사건이 발생하는 공간
- 담론분석(이야기되는 방식): 계열체
작가의 명시적 묘사와 암시적 묘사
작가의 서술행위: 편집, 리듬, 배경음악, 보이스오버
3) 수용자 비평
-
수용자가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하는가에 대한 분석
규범적 비평: 폭력과 성표현의 영향
즐거움(pleasure)
수용자의 의미저항
*저항적 해독: 텍스트와 함께 하면서(즐기면서) 이루어지는 해독
- 텍스트 안에 있는 저항의 재료를 활용: 전유의 한 형태
- 즐거움(pleasure) vs. Jouissance
4) 제도 정책비평
- 방송제도에 관심(공영방송과 상업방송)
- 방송법에 대한 관심(등급제, 편성비율 등)
- 비평의 대상은 시청자가 아니라 산업, 정책, 제작자 등
5) 이데올로기 문화비평
- 사회 내에서 지배층의 이념이 어떻게 텍스트에 반영되는가를 비판
- 성 표현에서 가부장에 대한 비판(페미니즘 비평)
- 보도에서 지배층 중심의 뉴스가치 비판(이데올로기 비평)
2.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1) 전문가주의 기준(professionalism)
- 기획영역
기획의 적절성, 기획의 충실성, 기획의 독창성
- 내용영역
소재의 적절성, 선정성/폭력성, 언어표현의 적절성, 비언어적
표현의 적절성, 오락성
- 형식영역
구성의 완결성, 출연진의 적합성, 포맷의 독창성, 영상의 완성도
2) 텔레비전 미학의 기준
- 텔레비전의 일상성(리얼리즘realism), 역사성(일상의 역사)
- 장르별 영상의 수준과 완성도
3) 시장의 기준
- 수용자가 원하는 것을 주라
- 높은 시청률 = 질 좋은 프로그램
4) 의례(rituals)의 기준
- 텔레비전이 공동체의 가치와 규범을 담고 있는가?
- 의례의 기준은 수용자의 크기나 예술적 측면을 배제
- 공통의 경험을 만들어냄으로써 공동체의식
- 전국노래자랑, 올림픽 월드컵 중계, Royal Wedding
5) 시민의식과 권리의 기준(Citizenship and rights)
- 텔레비전이 민주적 포럼을 제시하고 권력자를 감시하는가?
- 공론영역(public shpere)의 제공
- 시민의식과 정보를 얻는 시민의 권리에 부응
- 저널리즘의 입장에서 정보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
6) 생태학(ecology)의 기준
- 텔레비전이 바람직한 규범, 윤리, 가치를 보여주는가의 여부
7) 다양성(diversity)의 기준
- 가치의 다양성, 프로그램 장르나 유형의 다양성, 편성의 다양성
프로그램 문체나 스타일의 다양성, 자원의 다양성, 시청자의 다양성
Littlejohn 바람직한 텔레비전 비평의 기준
1) 프로그램에서 거짓말, 실수, 심각한 왜곡을 지적
2) 6개월-1년 혹은 그 이상 기간에 나타나는 경향과 유형을 파악
3) 방송매체의 본질과 창조적 가능성을 과감히 고려
4) 단순히 프로그램을 평가하기보다 사회적 효과와 맥락에서 평가
5) 일반 시청자의 상식에서 평가
6) 좋은 비평가는 교육자의 역할
Shrage: ‘합리적 옹호비평’(rational advocacy criticism)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