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1]

Download Report

Transcript 유방암[1]


국소적치료요법
- 수술적 치료
- 방사선 치료

전신적치료요법
- 항암화학요법
- 호르몬치료
유방의 재건
 재활치료


근치적 유방절제술 (radicalmastectomy)
- 유방 전체 및 액와부 림프절을 절제하면서 흉근을
같이 절제해 내는 수술 방법.
- 합병증이 많이 있는 단점으로 현재는 많이 시행하고
있지 않음.

변형근치적 유방절제술
(modified radical mastectomy)
- 유방 전체 및 액와부 림프절을 절제하지만 흉근은
보존하는 수술 방법
- 합병증은 감소하고 기능적인 면은 더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유방보존술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수술 방법이다.

유방보존술 (breast conserving surgery)
- 유방의 일부와 액와부(겨드랑이) 림프절을 절제하는
수술 방법
-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게 되면 그 치료 성적이 변형 근치
적 유방절제술과 유사하여 유방암 수술의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
- 적응증 : 임신 초기 내지는 중기, 여러 개의 종양이 유방
에 퍼져 있는 경우, 유방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경우,
종양이 큰 경우, 유두 밑에 종양이 있는 경우

단순 유방절제술 (simple or total mastectomy)
- 유방만 절제하고 겨드랑이 림프절은 절제하지 않는
수술방법.

감시 림프절 생검
(sentinel lymph node biopsy : SLNB)
- 감시 림프절 : 유방암의 전이가 최초로 이루어지는
림프절
- 수술 중에 감시 림프절을 검사해서 여기에 암의 전이가
없다면 더 이상 림프절 절제를 하지 않아도 된다.

정의
- 고에너지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파괴시키는 방법

종류
①외부에서 기계로 방사선을 쬐는 방법
(5회/주, 5-6주간 시행, 국내에서 주로 시행)
②방사선 물질을 플라스틱 튜브에 넣고 체내에 삽입하여
치료하는 방법

적응증
①유방절제술 후 보조적 치료방법(국소재발 방지 위해)
-종양크기가 5cm 이상인 경우
-암세포가 겨드랑이 림프절에 다수 전이되어 있을 경우
-암이 흉곽근육이나 늑골에 접해 있는 경우
②전이되어 통증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증상완화 목적)

금기
- 조직의 섬유화나 괴사 위험이 있는 교원조직질환, 홍반
성 낭창, 폐질환이 있는 경우, 과거에 유방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환자, 임신중인 환자, 만성 방사선 부작용
위험이 높은환자

치료기간
- 평일 5일 동안 치료를 하고 주말에는 휴식을 취하며 회
복하는 시간을 포함해 방사선 치료를 마치는데 대개 6주
정도 소요.

부작용
- 구토, 식욕부진, 피로와 피부 변화 등

목적
- 수술 후에도 남아있을 수 있는 미세한 암세포를 제어함으
로써 재발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

종류
1)항암화학보조요법
- 조기 유방암 환자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 시행
· 암세포가 액와 림프절에 양성인 경우
· 암세포가 액와 림프절에 음성인 경우
· 암 크기가 1cm 이상이고 고분화도(3도)인 경우
· 암 크기가 2cm 이상이고 저 혹은 중등분화도
(1도 혹은 2도)
· 암세포가 림프관이나 혈관을 침범한 경우
· 여성호르몬 수용체에 음성인 경우
 이 중 한 개라도 해당되면 항암화학요법이 권고된다.
2) 신보강 항암화학요법
- 진행성 고위험군에서 시행
· 유방암의 직경이 5cm 이상이어서 쉽게 수술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
· 유방암 종양이 근육이나 흉벽 또는 피부까지 침습된 경우
· 액와 림프절이 크게 느껴지는 경우
· 염증성 유방암일 경우
3) 완화 항암화학요법
-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시행
· 호르몬 수용체 음성인 유방암의 일차적인 치료
· 호르몬 치료에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유방암
· 진행정도가 빠른 전이성 유방암
타목시펜(tamoxifen) - 항(抗)에스트로젠 제재로 대표적
 아로마타제 억제제
- 폐경 후에는 난소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부신에서 분비되는
에스트로젠이 유방암에 주 역할을 하는데 이의 생산을 차단할 목
적으로 사용.
 사용기간
- 타목시펜을 5년간 사용했을 경우 큰 효과가 있다.
- 항암화학요법 시의 동반하는 심한 부작용의 없다.
 부작용
- 안면 홍조, 생리 불순, 질 분비물 등의 경미한 것들이 대부분
- 자궁내막암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도 드물게 발생.
- 타목시펜 복용은 혈전 및 색전증의 빈도를 증가시키는데,
특히 항암제와 함께 이를 복용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한다.


정의
- 유방암으로 유방을 절제한 환자에서 보형물이나 환자
자신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원래 유방의 형태를
보존하는 수술.

유방재건술의 시기
- 유방절제술을 할 때 바로 실시하는 동시 재건술
- 유방절제술 후 상처가 다 낳은 후에 실시하는
지연 재건술
병기에 따라 병기가 낮으면 수술 후 2년,병기가 높으면
수술 후 5년으로 고려.

동시유방재건술의 시행에 영향을 주는 조건
- 원발암 근치수술 가능 해야 함.
- 유방절제술 부위에 염증, 감염, 방사선 손상 등이 없어야
함.
- 환자의 재건수술의 동기, 재건수술에 대한 기대가 현실
적이어야 함.
- 반대편 유방크기/모양이 적당해야 됨.

동시유방재건술의 위험성
- 병기가 진행 된 경우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 나이 많은 여성, 당뇨, 비만, 흡연자 등 환자의 상태가
수술시간 연장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수술 후 상처 회복에
나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경우

보형물 삽입
- 유방암 수술후 조직확장기를 가슴근육 하부에 삽입하고
2-3주부터 확장기 내에 생리식염수를 주사하여 서서히 조
직확장을 시작한다. 2-3개월 후 조직확장기 대신 적당한
크기의 유방보형물이 대체되며 이 때 유두와 유륜을 같이
만들어 준다.
등근육 이용술
- 광배근을 이용하여 근육을 돌려서 유방을 만들며

2-3개월 후 유두-유륜 복합체를 만들어 준다
- 유방의 크기가 작으면서 아래쪽 볼륨이 큰 유방을 재건하
는데 유용하며 등의 피부와 근육을 유방 부위로 옮길 때
위치를 정하기가 용이해 유방이 비대칭적이고 딱딱해지는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복부근육을 이용하는 방법
하복부 근육과 피부가 혈관으로 연결된 상태로 복부 피부
및 터널을 이용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유방 부위로 이식하
는 것.
- 장점 : 감촉이 좋고 배가 예쁘게 들어갈 수 있다.
- 단점 : 수술이 복잡하고 비용 많이 들고 복부가 약해져
탈장이 생길 수 있다.

관내상피내암

소엽상피내암

조기성 유방암

진행성 유방암

재발 및 전이성 유방암

정의
: 유관에서 기원하여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암

치료
- 수술적치료
: 유방전절제술 (유방촬영술이나 이학적 검사, 조직검사상
다발성 병변을 보이지 않을 경우)
: 유방보존술
– 국소절제 후 유방촬영술과 조직촬영술을 시행하여
방사선적 검사에서 잔유 병변이 없음을 확인한다.
- 화학요법 : 시행하지 않는다.
- 호르몬요법
: 반대측 유방암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수술 후
5년간의 타목시펜 투여한다.


특징 : 다소성, 양측성
치료
- 수술적 치료 : 유방절제술
- 호르몬요법 : 양측성 유방절제술 일 경우 5년간
타목시펜을 투여한다.

추후관리
- 유방암의 위험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므로 평생을 관
찰하여야 한다.
- 경과 관찰은 매 6개월 내지 1년 간격의 이학적 검사
를 5년간 시행하고 그 후는 매 1년의 검사를 시행하며
관찰만을 하는 여성에 있어서는 매년 유방촬영술을
권장한다.


stage I, Stage IIA, Stage IIB에 해당하는 상피 세포종양
을
대상으로 함.
검사
-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
-
유방 X-선 촬영, 유방 초음파 촬영
흉부 X-선 촬영
말초혈액검사, 혈청화학검사
조직학적 검사 : 세침흡인생검, 중심침생검, 절개생검,
절제생검
유방 MRI (필요시)
생검 검체의 호르몬 수용체 및 혈청 종양 표지자(필요시)
골주사촬영 (필요시)
복부 초음파 또는 전산화단층 촬영 (필요시)

외과적 치료
- 유방보존적 술식과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모두 가능.
- 림프절 절제는 level I, II 절제를 기본으로 함.

보조요법
*항암화학요법
- 액와부 림프절 전이 여부, 종양의 크기, 병리조직학적 아형 및 분화
정도, 세포핵의 이형성 정도, 호르몬 수용체 유무, 환자의 나이, 폐경
여부 등의 예후인자를 고려하여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여부
결정
- 항암제 투여 시기는 창상 치유에 영향이 없는 한 조기에 투여하는 것이
좋다.
*호르몬요법 : 호르몬 수용체가 양성일 때 항에스트로젠 제제를 5 년간
투여
*방사선요법 : 유방보존적 술식을 시행한 경우

진행성 유방암은 Stage IIIA 와 stage IIIB를 대상으로 함.

수술 전 평가
*필수사항
- 문진 및 진찰, 일반혈액검사 (전혈구수치, 혈소판),
일반화학검사 (간기능검사 포함), 흉부단순촬영,
병리조직,세포검사, 유방촬영, 유방초음파검사
*선택사항
- ER/PR, HER-2검사, 종양표지자(tumor marker),
골주사 검사, 복부초음파, CT 또는 MRI,
유방 자기공명영상

치료
- 수술적 치료 :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
- 항암화학요법
: 약제의 선택은 anthracycline제재 혹은 taxane계 약제
를 포함하는 화학요법을 기본으로 한다.
- 호르몬 요법
: 호르몬 수용체 검사에서 ER이 양성인 경우 혹은 호르
몬 수용체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항에스트로겐
제재를 5년간 복용.
- 방사선요법
: 유방절제술 후 흉벽과 쇄골상부 림프절 부위 방사선
조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의
· 재발유방암 : 유방암에 대한 근치적 치료 후에 원발 병소인
유방과 그 주위 조직에서 다시 발생한 유방암
· 전이유방암 : 원발 유방암의 치료와 관계없이 원격 장기에서
발견된 유방암

치료목표
· 재발유방암 : 전이 유방암의 전단계로 완치의 가능성이 있는
질환이므로 완치를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전이유방암 :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생존 기간의 연장을 목표로 독성이 적은 치료를
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재발 및 전이 결정을 위한 검사
*재발 및 전이의 발견을 위한 추적 관찰
-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는 처음 5년간 3-6개월마다 시
행
하고, 이후에는 12개월마다 시행한다.
- 유방 X-선 촬영은 단독 혹은 유방 초음파 촬영과 함께
12 개월 마다 시행할 수 있으며, 유방 보조술을 시행 받은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 후 6 개월부터 시작한다.
-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환자는 매년 부인과 검진을 받는다.

-
재발 및 전이의 확인을 위한 검사
병력 청취 및 이학적 검사
말초혈액 검사 및 혈소판 검사
간기능 검사
흉부 X-선 검사
골주사
증상이 있는 골격과 골주사에서 이상이 발견된 부위에 대한 X-선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혹은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 시 유방 MRI 검사를 시행한
다.
- 첫 재발시 가능하면 조직검사
- 이전에 HER-2 검사가 시행되지 않은 경우, 면역조직화학염색법 혹은
형광동소부합법을 이용한 HER-2 검사를 실시한다.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 2+인 경우에는 형광동소부합화 검사로 확인이 필요하다.

치료
*재발성유방암
-일차 치료가 유방절제술인 경우
: 재발 병변을 가능하다면 수술로 완전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로 완전 절제가 어려운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차 치료가 유방보존술인 경우
: 재발 병변을 유방절제술로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이성유방암
-호르몬 수용체 검사 결과 양성인 환자, 골/연부 조직에만 전이된 환자,
혹은 내부 장기에 전이되었으나 증상이 없는 환자
: 독성이 적은 호르몬치료가 바람직하다.
-호르몬 수용체 검사 결과 음성인 환자, 내부 장기에 전이되어 증상이
있는 환자, 혹은 내분비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
: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다.

섬유낭종성 질활

섬유선종(fibroadenoma)

유방염(Mastitis)

낭종(Cyst)

관내유두종

엽상육종

부유방(Accessory Breast)
월경 주기에 따라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유방조직의 변화가 반복된 끝에 나타나는 현상.
 폐경기 전 가임 여성에서 일어남.
 증상 : 응어리가 만져짐. 유방통.


검사
:유방촬영, 유방초음파검사 및 세침흡입
세포검사법 또는 조직검사로 쉽게
유방암과 감별진단을 함.

치료
: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피하고,
여성호르몬제를 유방에 바르거나,
심할 경우 여성호르몬차단제를 사용한다.


섬유조직과 유방의 상피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자라
면서 서서히 커지는 양성종양
젊은 여성에게 잘 생기는 흔한 유방 질환
증상
: 주위 조직과 경계가 분명,만져볼 때 잘 움직이고, 둥글고
단단한 고무 같은 촉감을 주며, 통증은 없는 경우가 대부분
 검사
: 유방초음파, 세침흡인검사를 통하여 진단.
크기가 큰 경우에는 엽상종양과 감별이 어려우므로
조직검사 필요함.
 치료
: 그냥 놔두어도 문제가 없지만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아주 클 때, 비교적 드문 종양 중의 하나인 엽상종양과
감별이 어려울 때, 또는 환자가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수술을 원할 때에는 수술로 제거함.

유선에 생기는 세균성 감염증
증상 – 유방통, 화농성
 비수유기의 유방염
- 유관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유관내용물이 유방조직으로
역류하여 발생.
- 재발이 잘 되며 유방조직 절제술을 해야 할 수 도 있다.
 수유기의 유방염
- 수유 중 유두에 생긴 상처로 발생.
- 항생제 치료, 따뜻한 마사지


**주의사항 **
 염증성 유방암으로 진행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좋다.
초음파 소견상 가장 흔히 발견되
는 병변
 유방조직이 풍부한 30대, 40대,
50대 초반 여성
 초음파 검사로 구별
- 모양이 동그랗고 경계가 분명하
고, 낭종의 후면으로는 초음파
음영이 증가되어 있다.
 치료 – 초음파를 보며 바늘로 찔
러서 제거 가능. (단, Cyst가 피
빛을 띠면 악성종양을 의심)





1~3mm정도의 작고 부드러우며 잘
부숴지는 덩어리로 3~4mm이상 커
지지 않는 한 겉으로 만져서는 구별
하기도 힘들고, 혹이 만져져서 병원
에 오는 경우도 매우 드물다.
분비물이 생겨 발견되는 경우가 많
으며, 물같이 맑거나 붉은 분비물이
젖꼭지의 한 구멍에서만 반복적으
로 나옴.
진단 : 유관조영술, 조직검사
치료 : 수술적 방법
종류 : 양성(60~70%), 경계성, 악성(16~30%)
 덩어리는 단단하고, 통증이 없으며, 경계가 분명하고,
부드럽게 만져짐.
 특징 : 계속 자라거나,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커짐.
 수술 전에 세포검사, 유방사진, 초음파 등으로 정확
한 진단을 내리기가 어렵다.
 치료
- 수술이 원칙이며, 혹과 주위 조직을 충분히 포함 하
여 제거해야함. (섬유선종보다 큰 혹으로, 혹을 감
싸는 막이 없기 때문에 주변 조직을 잘 침투하므로)
- 크기가 큰 경우는 유방 절제술을 해야 함.


원인
- 유방은 겉으로는 동그랗게 보이지만, 실제
는 유방조직이 피부 밑으로 겨드랑이 밑까
지 연장되어 있다. 부유방은 유방조직이 겨
드랑이 부분까지 있게 되어 생기는 것으로
실제로 유방 조직은 유선(젖을 만들 수 있는
조직이 분포하는 신체 부위)을 따라 있을 수
있다.

진단
- 유방 전문의의 진찰을 받고, 필요한 경우
유방사진촬영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

치료
- 겨드랑이 부분이 본인이 보기 싫어하거나,
유방통증과 같이 아픈 경우에는 수술로 없
애준다.
엽상종양
 파젯씨병(Paget's disease)
 임신 관련성 유방암
 염증성 유방암
(inflammatory breast cancer)
 잠재성 유방암
 남성 유방암

종양이 나뭇잎을 닮은 모양이며 유방에서만 발생한다.
 증상 - 통증이 없는 유방 종괴, 양측성
 진단 - 증상, 진찰소견, 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조직검사 등
 치료
- 양성 엽상종양의 경우 종양을 포함해서 주위의 정상
조직까지 일부 포함한 광범위 국소절제술을 시행.
- 종양의 크기가 크거나 악성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
재발한 경우 등에는 유방전체절제술을 고려해야 함.


정의
- 유두의 습진성 병변과 현미경상 관찰되는 파제트 세포가
특징으로 유방의 상피내암의 일종

증상
- 유두와 유륜의 습진성 병변이 특징
처음에는 유두에서 시작해서 유륜으로 퍼지며, 드물게 주위의
유방피부를 침범하기도 합니다. 가려움증, 통증, 유두의 분비
물 등이 동반

진단
- 증상, 진찰소견, 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조직검사 등
- 침윤성 유관암이나 유관 상피내암을 동반 (97% 이상)

치료
- 유두나 유륜 밑에 제한적인 병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유방보존술을 시도.
- 다발성일 경우 유방전체절제술을 시도.
- 방사선 치료가 단독 또는 수술 후 사용될 수 있으며, 동
반된 침윤성 유방암의 특성에 따라 항암화학요법이나
호르몬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

정의 -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1년 이내에 진단된 유방암
증상 - 유방이 생리적인 변화로 인해 단단해지면서 커지고, 생리
적인 결절이 많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그 변화도 급격
하다.

진단 - 유방 종괴가 관찰되어도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여
정상적인 유방촬영술을 시행하기 어려우며, 조직검사도
시행하기 어려운 면이 있어 진단이 쉽지 않다.

치료 - 임신 제 1, 2기에는 변형근치적 유방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표준 치료이며, 감시 림프절 생검은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임신 3기에는 유방보존술 및 액와부 림프절 절
제술 그리고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여 시행해 볼
수도 있다.

정의 – 유방에 염증이 생긴 것과 비슷한 증상의 유방암.

증상 – 홍반, 부종, 팽진 등

진단 –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검사가 필요.
하지만 염증을 동반한 국소진행성 유방암과의
감별이 쉽지 않다.

치료 – 수술로는 유방전체절제술을 시행.
드물게 유방 보존술을 하기도 함. 수술과 함께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을
병행하기도 함.

정의
- 유방암이 진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와부의 전이만 진단
되는 경우

증상
- 유방 자체는 아무런 증상이 없으면서 액와부에 종괴

치료
- 액와부 림프절의 완전한 절제가 필요하며, 유방에 대해서
는 여러 가지 치료방법 중에 선택이 필요
(유방전체수술을 시행하는 경우,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 또는 방사선 치료만 시행하는
경우 등)

남성에게도 유선조직이 존재하므로 여기서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다.

증상 : 대부분(50~97%)에서 유방 종괴가 동반
(소엽의 발달이 거의 없으므로 침윤성 유관암이
90%로 대부분을 차지)

치료 : 수술이 주된 치료 방법이며,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호르몬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
예후 : 진행된 병기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여성
유방암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
영양관리
- 적절한 체중 유지
- 편식, 과식하지 말고 모든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
- 기름기 많은 음식, 동물성 지방, 칼로리 높은 음식은
줄인다.
- 기름에 튀기거나 조린 음식 보다 날로 먹거나 데치거나
쪄서 먹는다.
- 너무 짜고 매운 음식은 피한다.
- 술, 담배는 피한다.
- 녹황색 채소와 야채를 많이 섭취한다.
- 된장, 두부, 콩 등의 유제품은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인스턴트 식품을 피한다.

가족들간의 관계
- 부부간의 관계(성생활 관리)
: 부부간에 솔직하게 대화하고 부인은 신체적 변화에 대한 수치심을 버린다.
- 가족들간의 관계
: 가사 일을 역할 분담하며, 자녀들도 엄마의 신체적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솔직한 대화를 나눈다.

-
일상생활의 관리
가사일 : 일상생활과 할동은 할 수 있는 만큼 유지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
긍정적인 외모관리와 생각
운전 : 상처에 문제가 없는 한 본인이 느끼기에 적당한 시기라면 언제든지
가능하다.
- 운동 : 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적절한 운동 가능 (걷기, 달리기, 수영 등)

스트레스 관리
*유방암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스트레스
-피로와 기능 감소로 인한 상실감
-유방암에 대한 신체적인 불구감, 죄책감, 수치심, 성적인 불구감
-의존 및 부담에 대한 두려움
-전이 및 유전에 대한 불안감
-아내, 어머니, 일하는 사람, 여성으로서의 가치 상실,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가족과 친구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소외감과 고립감, 직장 및 재정 문제
-우울에 대한 과거력, 과거 대처력 부족, 솔직한 신뢰관계의 부족
*감정관리 – 본인의 감정을 가족, 친구, 환우, 상담인 등과 이야기하며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취미생활을 가져 활동
해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