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유방 보조 촬영법
유방 질환의 영상검사
공간 분해능 (spatial resolution)
어느 정도 미세한 부분까지 촬영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
대조도 (contrast )
노광량의 변화에 대한 명암의 차이, 농도의 차이
선예도 (sharpness)
영상의 미세 부분에서의 기록성,영상 윤곽부의 sharp
함을 나타내는 척도
유방 촬영장치
유방촬영술의 목적
높은 공간 해상능
유방의 세부 구조를 나타냄
높은 대조도 해상능
정상 조직과 질병 조직을 얼마나 잘
구별 하느냐
여성들은 유방 검사를 싫어한다
검사 사 압박할 때의 통증
→생리 후 1주일 후
방사선 위험 (피폭)
→저선량 유방 촬영기로 1회 노출 시 2mGy
→평균 유선 선량 : 3mGy 이내
필름
현상 : 빛, X-선에 의한 노광
현상 정지 : 현상을 정지, 알카리를 중화
정착 : 영상을 안정화 시키는 처리
수세 : 티오황산은착염이나 황산염을 제거
건조
영상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
검은 필름
너무 높은 현상기 온도
잘못된 유방촬영기술 (과도한 kVp 또는 mAs)
과도하게 농도를 + 로 조정
허연 필름
화학물이나 보충액이 부족
너무 낮은 현상기 온도
잘못된 유방 촬영 기술 (낮은 kVp 또는 mAs)
낮은 대조도
화학물이나 보충액이 부족
현상기의 물 공급 부족
필름 종류를 바꿨을 때
영상의 질을 좌우하는 요소
필름 황변
고정액 수세가 불충분
움직임 허상
환자가 움직임
압박 부족
잘못된 유방촬영 기술 (긴 노출)
자세 잡기
자세 잡기 불량
X선 발생기 generators
고속으로 가속된 음극선
이 어떤 물체에 충돌, 그 에
너지 변환에 의해 발생
X 선 발생
전자 발생 높은 전압 하
에서가속 저지체에 충돌
Target : 양극 금속 판, 기울어져 있다.
실효초점 : 열전자가 target 에 충돌된 면적
초점이 작을수록 선명한 사진
Target 의 온도 상승
Filter
단일 에너지화
Grids
산란선 제거
유방촬영기의 구성
X선 발생기
X선관
영상 수상기
움직이는 격자 grids
target-filter 조합
X선 저흡수 카세트
작은 국소초점
or 검출기 지지대
창 window
자동노출조절장치
시준 collimation
유방 압박 패들
C-arm
X선 발생기generators
X선관에 전력을 공급
하는 장치
kVp와 노출시간 결정
영상의 대조도, 노출
방사선량에 영향을
미친다.
열전자 방출
유방촬영 발생기의 조건
저 관전압, 약한 X선 사용
연부조직의 방사선 흡수차를 최대화
제공: 관전압 폭 24~32kVp, 노출 폭 5~300mAs
평균 유방노출 : 26~28kVp
유선조직에 평균적 흡수선량 : 노출당 2mGy
X선관 tube
양극 (traget )과 음극(전자발생원) 으로
구성된 진공관
열전자 방출
관전류 : X의 양
target으로 흘러가는 전자의 양
필라멘트에서 target 으로 1초 당
흘러가는 전자의 양
단위 : mA
X-선 Target
조건 : 15~20KeV 범위의 특성선, 지방조직과
섬유조직 간의 감약의 차이를 매우 효과
적으로 최적화
몰리브데늄(Mo) : 17, 19keV
로듐(Rh) : 20, 23keV
텅스텐(W) : 최적상태의 keV 범위 내 특성선
결핍으로 target 으로 부적합
일반 X선 촬영기에서 사용
여과 (filtration)
타겟-필터 조합
몰리브데늄/몰리브데늄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합
→ 15~30㎛ 몰리브데늄 필터 사용
→ 압박두께 2~5cm 두께의 유방에 대조도가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두껍고 치밀한 유방에는 부 적합
환자의 피폭 선량이 증가
타겟-필터 조합
몰리브데늄/로듐
→두껍고 치밀한 유방에서 선량을 줄일 수 있다.
→유선과 지방조직 간의 낮은 대조도
로듐/로듐
텅스텐/로듐
타겟-필터 조합
단일 타겟 + 단일 필터
단일 타겟 + 이중 필터
이중 타겟 + 단일 필터
이중 타겟 + 이중 필터
작은 국소 초점(focal spot)
X선이 투사하는 양극 타겟의 면적
국소 초점크기가 감소 : 공간 해상능 증가
작은 국소 초점 : target 의 온도 상승
Target의 각도
각도가 작으면 실초점 면적이 증가
일반촬영기 국소초점의 크기 : 0.6~2mm
유방촬영기 국소초점의 크기 : 0.3mm
작은 국소 초점(focal spot)
대초점 : 일반적인 유방촬영
소초점 : 유방 확대 촬영 (0.1mm)
해상도 : 최소 11lp/mm 이상으로 규정
국소초점의 크기 : 0.3mm
SID : 60cm 이상
창 window
일반 X선 촬영 장치 : 유리 glass
유방 촬영 장치 : 베릴륨 window 사용
X선의 차단이 적은 창 사용
시준 collimation
X선의 조사 영역을 조절
X선 조사야의 조절 : 산란선 감소
조사야 조절 : 환자의 피폭 선량 감소
X선 조사야
흉벽쪽으로 SID 의 2%이상 들어가지
못한다
유방 압박 패들
다양한 압박 패들
18*24cm, 24*30cm, spot 압박 패들
규정
평평하고 휘지 않고 일자
흉벽의 구조물이 겹치지 않아야 한다 (후벽이 3cm)
압박시 1cm 이상 편향되어선 안 된다
압박 강도 : 25~40 pound (12.5~22.5kg)
최고 압박 보다 약간 낮은 정도의 압박
압박기의 두께 : 1~4mm
압박기 조절 : Foot pedals
유방 압박의 이유
흉벽으로부터 유방 분리
유방 고정 ; 움직임에 의한 불선예도 감소
유방 두께 감소 ; 방사선 노출 감소
겹친 조직을 분리하기 위해
기하학적 불 선예도 감소 ; 해상력 향상
산란선 감소 ; 영상의 질향상
유방의 두께를 일정하게 ; 유방전체에 일정한
선량으로 조사
필름
보호막
감광유제층
하도포층
지지체
하도포층
감광유제층
보호막
screen
보호층
형광체층
하도포층
반사층 또는 흡수층
지지층
필름
양면 유제 필름
단면 유제 필름 : 유방촬영용 , 간접 X선
촬영용 필름, 복제용 필름
증감지
선량의 감소 : 피폭의 감소
노출시간의 단축
움직임에의한 불선예도 감소
영상 수상기 image receptor
필름 – 스크린 조합
단일 유제 필름 , 단일 screen
유제를 바른 필름을 바닥으로 향하게
screen과 마주 보는 방식
CR (computed Radiography)
DR (digital Radiography)
움직이는 격자 grids
격자 grids
산란선이 필름으로 입사하여 영상의
대조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
X선 초점에서 방사하는 각 이외의 방향의
X선을 흡수 차단
영상의 대조도, 질을 향상 시킨다.
가는 납줄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환자와 필름 사이에 삽입한다
움직이는 격자 grids
격자비
각 납줄간의 거리와 납줄 높이의 비
격자비가 높을 수록 산란선의 흡수율이 증가
단위 1cm 당 30~80개의 선이 들어 있다.
Grids 비 : 고정 grids 3.5:1
무빙 grids 5 : 1
X선 저흡수 카세트와 검출기 지지대
수상기 크기 ; 18*24cm, 24*30cm
수상기 지지대 역할 ; 카세트 고정
(카세트가 내,외측으로 2mm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매 노출시 X선 투과량 0.01mR 이하
자동노출조절장치(AEC)
카세트 지지대 아래에 위치
유방과 카세트 통과 후 X선 강도를 표본
추출하여 적절한 노출을 결정
충분한 X선 광자가 필름에 조사되면 X선
조사가 자동으로 정지
과다, 과소 노출을 방지
C-ARM
X선 튜브와 카세트 지지
한방향으로 회전이 가능 (180도 회전)
모든 투시에서 영상화가 가능
기계적 잠금 장치 요구
방사선 방어 및 안전
연당량 ; 0.08mm
(최고 관전압 35Kvp사용시)
높이 ; 1.85m
폭 ; 0.6m
이동형인 경우 촬영 중 고정
검사중 환자를 충분히 관찰 할 수 있는 구조
검사자와 피검사자의 편의와 안전
카세트,격자,기타 악세서리 교체 편리성
C-arm의 회전이 용이, 편리성,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
얼굴 보호대
압박대의 움직임이 유연
압박대의 수동, 자동 작동이 용이
노출을 알리는 알람
응급시 c-arm과 압박이 안전하게 조절
확대 유방촬영
미세한 소견, 이상 병변을 확대 촬영
유방을 특별한 거상대 위에서 압박
유방과 영상 수상기 간의 거리를 크게 하여
1.5~2배 까지 확대 가능
국소 압박 cone 사용
확대 유방촬영
국소 압박 cone
유방 거상대
확대 유방촬영
미세초점 사용
0.1 ~ 0.15 mm 의 작은 국소 초점
tube 부하 : 선량 감소, 노출 시간이 증가
움직임에 의한 영상의 흐림
kVp 증가
Non grid
Air gap
Collimation 조절
검사자와 피검사자의 편의와 안전
카세트 크기에 맞는 자동 collimation
확대 촬영시 소초점 자동 전환
확대 촬영시 non-grid 자동 전환
자동 압박 및 자동 해소
압박과 동시에 자동 collimation 전원
압박두께, 압박 정도 표시
Stereotactic 장치
유방촬영의 기
술
유방의 해부학 및 유동성
X선 관구의 회전
환자의 체형
정확한 자세 잡기
적절한 압박
규정화된 표지 부착
유방촬영의 기술
가능한 한 모든 유방 조직이 포함되도록
표준 촬영 (standard view)
보조적 촬영 (additional view)
유방촬영(표준 촬영)
상하위 촬영(craniocaudal view ; CC)
내외사위촬영
(mediolateral oblique view ; MLO)
유방의 정상 유동성 : 외측과 하연
유두가 측면으로 보이도록 촬영
최대한 유방 조직을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
유방촬영술(상하위 촬영CC view)
내측이나 외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내측 유방이 잘 포함되도록 촬영
외측 유방도 최대한 포함되도록 촬영
유두가 카세트의 중앙에 위치
조직의 두께가 내외측촬영과 비교 시 1cm
이하가 되도록
흉근의 20~30%가 보이도록
유두를 측면상으로 촬영
유방촬영술(상 하위 촬영CC view)
유방촬영술(상 하위 촬영CC view)
유방촬영술(내외사위촬영 MLO view)
단일 촬영에서 가장 많은 유방 조직을 보여
줄 수 있다.
각도 ; 30~60도
키가 크고 마른 체형 : 50~60도
키가 작고 뚱뚱한 체형 : 30~40도
평균 : 40~50도
유방촬영술(내외사위촬영 MLO view)
대흉근이 잘 보여야 하며 대흉근의 하단이 유
두 후방선보다 같거나 아래로 보여야 한다
촬영 시 유방이 늘어지지 않아야 한다.
유방하 주름 inframammary fold이 포함
신체의 다른 부분이 유방을 가리지 않아야 함
피부이 겹침과 주름이 없어야 함
유두의 위치가 측면상으로 나타나야 함
유방의 일부조직이 영상에서 빠지면 안됨
유방촬영술(내외사위촬영 MLO view)
유방촬영술(내외사위촬영 MLO view)
고식적 촬영상 문제해결
환자의 과거력에 대한 충분한 이해
병소부위에 금속물 부착 후 촬영
과거 검사와 비교
추적 촬영하여 자세를 변화
기술적 문제로 인한 병소의 변화 확인
재촬영 또는 변형된 촬영
유방초음파검사, 유선조영촬영검사 등 다른
검사의 필요성을 확인
유방촬영술-보조촬영법
기본 촬영 후 촬영
기본 촬영에서 관찰 되는 병변의
병변의 유무 확인, 병변의 평가
위치 파악을 위한 추가 검사
환자의 체위와 기기의 방향을 변형한
촬영법
유방촬영술-보조촬영법
90도 측면촬영 lateral view
국소 압박촬영 spot compression view
확대촬영 magnification view
강조상하촬영 cleopatra view
계곡촬영 valley view
액와부 촬영 axillary tail view
접선 촬영 tangential view
삽입물 전위촬영 eklund view
유방 보조 촬영법-90도 측면촬영
확대촬영과 함께 가장 흔히 이용되는
보조 검사법 ( 수직 상태에서 촬영)
유방 내 병변의 정확한 위치 결정에 이용
중력에 따라 가라앉는 양석 석회화의 침전을
발견
진짜 병변 인지, 중복된 조직인지, 인공물인지,
피부에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함
유방 보조 촬영법-90도 측면촬영
내외측medial-to-lateral
외내측lateal-to-medial
병변과 영상 수상기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선택
유방 보조 촬영법-국소압박 촬영
작은 압박대로 좁은 부위를 효과적으로 압박하여
겹치는 구조물들을 분리
다양한 크기의 국소 압박대를 사용
병변의 존재 여부 확인 및 형태 분석 유용
후방 깊은 뒤쪽 부위의 병변 또는 유륜하부 병변을
파악하는데 효과적
소초점 확대 촬영법과 결합하여 주로 검사
유방 보조 촬영법-국소압박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국소압박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확대 촬영
병소의 사실 유무 탐색
고식적 유방촬영술보다 더 많은 석회화가
있는지 확인
미세석회화의 존재 여부, 개수, 모양 분석,
범위 파악
동반된 종괴의 변연 분석 및 구조적 왜곡 발견
조직 생검이 필요한 석회화 인지 확인
유방 보조 촬영법-확대 촬영
국소압박촬영과 확대촬영을 함께 시행
1.5~2 배로 확대 촬영
작은 초점 촬영 – 노출시간이 길어진다
환자의 움직임 방지
Air gap 효과 (non grid)
유방 보조 촬영법-확대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강조상하촬영
(exaggerated
craniocacudal view, cleopatra view)
외측 유방조직과 액와부를 잘 보기 위한 촬
영법
완전한 수평면이 아닌 5도 내외측 촬영법의
형태로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강조상하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계곡 촬영
유방의 후내측 깊은 곳에 위치한 병변을
확인하기 위한 촬영법
양측 유방을 동시에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계곡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액와부 촬영
액와부와 유방 외측 병변을
잘 보기 위한 촬영법
유방 보조 촬영법-접선 촬영
피부 가까이에 위치한 병소를 정상 유방실질과
최대한 분리시켜 관찰 하기 위한 촬영법
종괴를 피하 지방층에 위치시켜 병변을 잘
관찰 할 수 있도록 유도
C-arm 또는 유방 조직을 돌려 표지가 X선에
직각이 되도록 유도
유방 보조 촬영법-접선 촬영
치밀 유방 조직에 의해 만져지는 종괴가
가려지는 경우
피부 내 석회화 병변이 의심될 때
과거 수술과 관련된 석회화 인지를 감별
유방 보조 촬영법-회전 촬영
겹쳐 보이는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촬영법
유방을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방을 돌리고
고정 후 검사
돌린 방향을 표식자로 표시
유방 보조 촬영법-회전 촬영
이상 소견의 존재 유무 확인
표준 촬영에서 한쪽 사진에서만 보이는
병변의 위치를 결정
유방 보조 촬영법-회전 촬영
유방 보조 촬영법-하상 촬영
유방 상부의 병변을 잘 관찰
아래쪽에 위치한 병변의 위치 결정 시
주로 이용하는 촬영법
남자 유방
척추 측만증 여성의 유방 촬영시 이용
RCC
RFB
유방 보조 촬영법-외내사위 촬영
내외사위촬영과 반대
유방의 내측 조직을 잘 관찰
함몰 흉곽환자
최근 개흉 수술을 받은 환자
돌출된 심장박동기를 착용한 환자
유방 보조 촬영법-Eklund view
유방확대수술을 받은 유방 촬영법
삽입물 포함 촬영
→ 수동 피폭
→ 압박이 제한
유방 삽입물 불포함 촬영
Eklud view 촬영이 불가능 : 90도 측면촬영
유방촬영 사진의 표지 항목
환자의 이름과 병록 번호, 생년월일, 성별
검사일, 병원 명
촬영면 view의 표기 (외측, 상측에 표기)
방사선사 이름의 약자 또는 번호
카세트/스크린 번호, 유방촬영 장비 번호
기타 : 촬영조건 (kVp, mAs, sec), 압박력,
압박 두께, 경사각 등
유방촬영술의 표준 용어 및 약어
Right : R*
Left : L*
Mediolateral oblique : MLO
Craniocaudal : CC
90도 Lateral
Mediolateral : ML
Lateromedial : LM
Spot compression : Spot
유방촬영술의 표준 용어 및 약어
Magnification : M*
Exaggerated craniocaudal : XCCL
Cleavage : CV
Axillary tail : AT
Tangential : TAN
Roll : RL (rolled lateral)†
RM (rolled medial)†
유방촬영술의 표준 용어 및 약어
Caudocranial : FB (from below)
Lateromedial oblique : LMO
Implant displaced : ID†
* 촬영방향 앞에 붙인다
† 촬영방향 뒤에 붙인다
유방 영상의 질적 관리
규정된 자격 기준을 갖춘 종사자의 수련과
교육 훈련
유방 촬영 장비와 현상기 적격의 질적 관리
유방 영상의 화질 관리
유방촬영용 장치 정도 관리
암실청소 (매일)
현상기 관리 (매일)
증감지 청소 (매주)
판독대 청소 (매주)
판독실의 조명, 환기, 온도, 소음 점검(매주)
재촬영 분석 (3개월)
암실 안개(6개월)
유방촬영용 장치 정도 관리
증감지-필름 밀착도 시험 (6개월)
유방압박장치 점검 (6개월)
표준팬텀을 이용한 시험 (1년)
시준 점검 (1년)
해상도 점검 (1년)
자동노출장치 점검과 재현성 (1년)
증감지 감도 측정 (1년)
유방촬영용 장치 정도 관
리
인공물 점검 (1년)
임상영상 점검 (1년)
관전압 장확도와 재현성 (1년)
선질 점검 (1년)
평균 유선선량 측정 (1년)
방사선 출력률 (1년)
판독대와 방의 조도 측정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