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기선 (5Mbytes)

Download Report

Transcript 엄기선 (5Mbytes)

Heel alignment view

의 검사 변화에 따른 보조기구의 유용성

엄기선

,

이유미

,

진덕은

,

강성호

,

임재식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SEVERANC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Seoul

Introduction

후족부 평가에서 기존에 알려진 단순 X-ray촬영법으로는 종골과 경골의 배열 상태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상면에서 종 골과 경골의 배열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해야만 한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변 형법을 알아봄으로써 기존에 알려진 단순 X-ray 촬영법보다 더 유용한 촬영법 을 알아보고자 한다.

Material and Methods

• The angle of calcaneus and tibia : 90

°

• Central ray : caudal 20

°

• The detector angle of Wall stand bucky : +20

° •

The point of central ray incidence : malleous

㈂ 스티로폼

6

Long-length image stand 60 degree angle acryl 30 degree

지지대 인체 모형

GE Definium 8000 Table bucky GE Definium 8000 Stand bucky < Fig. 1 >

변형 Heel alignment view 촬영을 알아보기 위하여 30 degree 지지대, 스티로 폼 6 개( height: 8 cm , 2.8 cm ), DR equipment (stand & table bucky), 인 체 모형, Long-length image stand, 60° wedge acryl 를 이용하였다.

• The angle of calcaneus and tibia : 60

°

• Central ray : caudal 30

°

• The detector angle of Wall stand bucky : vetical

The point of central ray incidence : malleous

< Fig 2 >

우선 인체 모형을 이용하여 Tube의 angle을 caudal 15˚~60˚, stand bucky detector를 +15°~ +45°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촬영하여 영상의 변화를 알아보 았다. Tube의 angle을 caudal 30°~ 45°, stand bucky detector는 수직에서 +30°까지 변화를 시키었을때 종골과 경골의 배열을 평가하기에 적당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 후에 10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위의 사진처럼 네 가지 방법으로 DR system을 이용하여 검사 방법을 변화시켜가면서 각각의 영상을 얻었다. 이렇게 획득한 영상을 정형외과 전문의 1명과 영상의학과 전문 의 1명에게 의뢰하여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 The angle of calcaneus and tibia : 60

°

• Central ray : caudal 45 degree • Table bucky

The point of central ray incidence : malleous • The angle of calcaneus and tibia : 60

°

• Central ray : caudal 30

°

• The detector angle of Wall stand bucky : + 30

° •

The point of central ray incidence : malleous

< Fig. 3 > Result

㈀,㈂,㈃ 영상에서 종골, 거골, 경골의 해부학적 구조를 잘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 영상에서는 거골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의 방법은 두번째 발가락 과 heel 중심축의 수직을 맞추기가 어렵다. 결과적으로 종골과 경골의 배열을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어렵게 된다. 반면에 보조기구를 이용한 ㈂, ㈃ 영상에서 는 종골과 경골의 배열상태를 평가하기에 좋은 영상을 얻었다.

Conclusion

변형 Heel alignment view인 ㈂, ㈃ 영상은 정확성과 유용성을 나타내었다. 특 히 이 영상들의 두드러진 특징은 한번의 간단한 검사로 양측 후족부 영상을 얻 을 수 있고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정확한 관찰이 용이하다. 환자 개개인에 맞게 보조기구를 선택하여 Heel alignment view를 검사한다면 최적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Walter W. Strash, DPM, FACFASa,*, Peter Berardo, MDb: Radiographic assessment of the hindfoot and ankle. Clin Podiatr Med Surg 2004; 295– 304 2. Yasuhito Tanaka, M.D.; Yoshinori Takakura, M.D., Tadashi Fujii, M.D., Tsukasa Kumai, M.D., and Kazuya Sugimoto, M.D. “Hindfoot Alignment of Hallux Valgus Evaluated by a Weightbearing Subtalar X-Ray View” in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