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3일 강의자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9월 23일 강의자료

제1절 약리학의 개념
3. 약물의 생체 내 분포
– 혈액으로 흡수된 약물의 일부는 혈장 단백질과 결합
– 산성 약물은 주로 albumin과 염기성 약물은
albumin 또는 α-acid glucoprotein과 결합
– 혈장단백결합율(plasma protein binding %)
– 약물의 효과는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은 형태에
의해 나타남
 경구 투여 후 약물의 생체 내 분포
위장관
순환계
AH
AH
+
PP
조직
AH + R
+
TP
A- + H+
AHPP
AHTP
효과
 약물과 조직 사이의 결합의 중요성
– 약물과 조직 사이의 결합이 증가
 약물의 배설이 지체
 약물의 분포 용적 증가(표 1-2 참조)
 약물의 분포 용적이 크면?
– 약물이 조직에 광범위하게(높게) 분포
 투석에 의해 약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 혈중 약물 농도의 버퍼 효과 부여
– 약물의 배설 지연  반감기 증가
1) 혈장 단백 결합
– 유리된 약물이 약리작용, 대사, 배설에 관여
– 단백 결합은 약물의 일시적 저장 역할
 혈장 단백질과 쉽게(강하게) 결합하는 약물은 다른
약물의 혈중 농도(free form)를 증가시켜 약물의 작용
과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약물 상호작용)
 저단백혈증이나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정상적인 약
물 투여량에서 독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단백결합율이 90% 이상인 약물(표 1-3 참조)
2) 약물의 세포 결합
– 약물이 세포 내 성분과 결합하는 경우
– 예) quinacrine(항말라리아제)와 nucleoprotein과
의 결합
3) 혈액뇌관문(blood-brain barrier, BBB)
– 중추신경계로 이물질의
통과 억제하는 역할
– 크기가 작고 지용성이 큰
물질만 통과 가능
– 염증이 발생할 경우 BBB
가 느슨해 져 이물질의 통
과 가능
4) 태반관문(blood-placental barrier)
– 모체의 혈관과 태아 사이의 관문
– 태반관문을 통과하는 약물은 임산부에 투여 시 태
아에 영향을 줄 수 있음
4. 약물대사(Drug metabolism)
– 약물의 생체 내 변화(biotransformation of drug)
– 간의 microsome, 위장관 점막, 혈액, 근육, 신장 등에
서 이루어짐
– 초회 통과 효과(first-pass effect): 약물이 전신 순환
에 도달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대사되는 현상
• GI first-pass effect: steroid hormone, aspirin,
일부 이뇨제(diuretics) 등
• Liver first-pass effect: nitroglycerin, lidocaine,
reserpine 등
– 초회 통과 효과가 큰 약물은 전신 순환에 도달하는
약물의 농도가 감소하므로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
BA)가 낮다  경구 투여로 부적당
– 생체이용률(%)
생체이용률 =
AUCoral
AUCi.v.
X100
 약물대사의 종류
1) I상 대사(Phase I biotransformation)
– 산화, 환원 및 가수분해에 의한 대사 반응
(1) 산화
– 대부분 간의 microsome 효소에 의해 진행
– Cytochrome P450
RH + O2 + NADPH + H+
– 반응의 예
• 방향족의 수산화
• 지방족의 수산화
• 탈알킬반응(dealkylation)
• 탈아민화(deamination) 등
– Non-microsomal oxidation
• Monoamine oxidase
ROH + H2O + NADP+
(2) 환원
– 니트로환원 및 아조환원(nitro and azo-reduction)
– 알코올 탈수소 반응(alcohol dehydrogenation)
(3) 가수 분해(hydrolysis)
– Ester 결합을 산과 알코올로 분해
2) II상 대사(Phase II biotransformation)
– 공유결합을 통해 glucuronic acid, sulfate, glycine
등을 첨가시키는 반응
– 포합반응(conjugation reaction)이라고도 함
– II상 대사 반응의 예
• 아세틸화(acetylation)
• 메칠화(methylation)
• 글라이신 포합(glycine conjugation)
• 글루쿠로나이드 포합(glucuronide conjugation)
등
3) 약물대사 효소의 유도(enzyme induction)
– 특정 약물 투여에 의해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
소의 합성이 증가되는 현상
– 효소 유도로 효소의 합성이 증가할 때 이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 투여 시 대사가 촉진되어 효력
과 독성의 감소, 작용 시간의 감소가 나타남
– 예)
• Phenytoin은 70~90%가 CytP450 2C9에 의해
대사
• Phenobarbital은 CytP450 2C9의 발현 유도
• Phenobarbital 투여 환자에서는 phenytoin의
대사 속도가 증가하여 효과 감소
4) 약물대사 효소의 억제(enzyme inhibition)
– 특정 약물 투여 또는 음식에 의해 약물 대사에 관
여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현상
– 약물의 대사를 억제하여 독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예)
• Tyramine은 epinephrine,
dopamine의 분비 촉진
• Tyramine은 monoamine oxidase(MAO)에 의해
대사
• Tyramine을 많이 함유하는 치즈와 MAO 억제제
를 함께 복용할 때 tyramine의 대사가 억제 
epinephrine, dopamine의 분비 촉진 
hypertensive crisis 발생
5. 약물의 배설(Excretion of drug)
– 약물은 신장, 폐, 소화기, 피부, 유즙, 태반 등을 통해
배설
– 가장 중요한 배설 경로는 신장(kidney)
• 사구체 여과를 통해 혈장 단백과 결합하지 않은
약물이 여과
• 신세뇨관에서의 재흡수와 분비를 통해 약물 배
설
• 신장을 통한 약물의 배설은 신장 청소율(renal
clearance)값과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을 통해 비교
 사구체 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 1분간 신장에서 형성되는 여과액의 총량
– 토리에서는 자유로이 여과되나 세뇨관에서 분비되
거나 재흡수되지 않는 물질 이용
– inulin, mannitol, creatine 등 이용
사구체 여과율 GFR (mL/분)
요량(mL/분) X 요중 inulin 농도(mg/mL)
=
혈장내 inulin 농도(mg/mL)
– 정상치: 125mL/분 (남자), 110mL/분 (여자)
– 정상 남자의 경우 하루 토리 여과량: 180L
 신장 청소율 (renal clearance)
– 어떤 물질에 대해 단위 시간 동안에 신장을 통해 정
화된 혈장의 부피
신장 청소율
=
요량(mL/분) X 요중 물질 농도(mg/mL)
혈장내 물질 농도(mg/mL)
– 예) A라는 물질의 혈장 농도가 0.1g/100mL인데 콩
팥을 통하여 분당 0.1g이 배설 되었다면 혈장 청소율
은 100mL/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