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3_식사섭취조사 분석도구 - 장안대학교

Download Report

Transcript CHAPTER3_식사섭취조사 분석도구 - 장안대학교

CHAPTER3 식사섭취조사
자료 분석도구
1. 식품성분표
2. 영양섭취기준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1. 식품성분표
식품성분표: 식품섭취량을 영양소섭취량으로 환산할 때
필요함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식품성분표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가표준 식품성분표(2011, 제8개정판)》
• 한국영양학회 영양정보센터
CAN 프로그램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Food And Nutrient Data
System, FANTASY)

1. 식품성분표

식품성분표 이용 시 고려 사항
• 식품성분표의 값은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 양으로서
조리방법, 가공과정 등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달라지
거나 영양소 이용 효율이 다를 수 있음
• 각 식품성분표에 기재된 영양소 함량은 성분표에 따
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식품성분표의 영양소 함량은 가식부위 100g을 기준
으로 함
2. 영양섭취기준
1) 영양섭취기준의 정의 및 필요성
 영양섭취기준: 질병이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건강을
최적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 섭취 수준
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
영양소 결핍 방지뿐만 아니라 만성질환, 영양소 과다
섭취 예방까지 고려하여 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충분
섭취량, 상한섭취량 등의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
2. 영양섭취기준
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설정을 위한 체위기준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1)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 대상집단을 구성하는 건강한 사람의 50%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일일 필요량을 충족하는 값
 대상집단의 필요량 분포치의 중앙값
 영양소의 부족을 평가하기 위한 최소량의 기준
 에너지필요추정량(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에너지는 평균필요량 대신 ‘필요추정량’ 용어
사용(개인의 에너지 필요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
렵기 때문)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2) 권장섭취량(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 성별, 연령별로 건강한 인구집단의 97~98%에 해당
하는 사람들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는 값
 평균필요량에 표준편차의 2배를 더한 값
 과거의 영양권장량(RDA)과 동일한 개념
 에너지의 경우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권장섭취량이
설정되지 않음
 평균필요량의 표준편차를 모르는 경우, 평균필요량의
10%를 표준편차로 간주
2. 영양섭취기준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3) 충분섭취량(adequate intake, AI)
 평균필요량과 권장섭취량을 구할 수 없을 때 설정하
는값
 영양소 필요량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부족하거나 영
양소에 대한 필요량의 중앙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
 역학조사에서 관찰된 건강한 사람들의 영양소 섭취
량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함
 권장섭취량과 상한섭취량 범위 내에서 수준 결정됨
2. 영양섭취기준

권장섭취량과 충분섭취량 비교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4) 상한섭취량(tolerable upper intake level, UL)
 인체에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 영양소 섭취
수준
 상한섭취량 = 최대무독성량 또는 최저독성량 / 불
확실계수
 NOAEL(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최대무독
성량): 유해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최대용량
 LOAEL(lowest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최저
독성량): 유해영향이 나타나는 최저용량
 UF(uncertainty factor, 불확실계수): 개인의 감수성
차이 등에서 유래되는 불확실성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
목표섭취량(intake goal): 나트륨은 상한섭취량 대신
목표섭취량이 설정됨(이미 상한섭취량을 초과 섭취함)
2. 영양섭취기준
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이 설정된 영양소 (2010)
2. 영양섭취기준
2)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구성
(5) 에너지 적정비율(acceptable macronutrient
distribution ranges, AMDR)
 식사 시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의 바람직한 에너지
구성비율
 탄수화물과 지질의 영양섭취기준
: 다른 영양소와 달리 서로간의 균형이 중요하므로
영아를 제외한 전 연령층에 대해 평균필요량, 권장
섭취량, 충분섭취량, 상한섭취량이 설정되어있지 않
고, 에너지 적정비율만 설정되어 있음
2. 영양섭취기준
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에너지 적정비율(AMDR)
2. 영양섭취기준
3) 영양섭취기준의 활용
 식사계획: 개인과 집단의 식사계획 시 영양소 기준
 영양상태의 평가기준: 개인과 집단의 영양상태 판정
 식품과 영양정책 수립: 국민에게 필요한 식품공급량
산출, 예산 기준, 영양과 식품정책 수립 시의 근거자료
 영양표시의 기준: 가공식품의 영양소 함량 표시 기준
(소비자 식품 선택 시 정보 제공)
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 질을 조정하는 기준
 영양교육이나 영양상담의 기준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1) 영양분석 프로그램
(1) CAN(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 현재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보편적 프로그램
 식품의 영양가 분석자료, 대표 음식자료가 입력되어
있어 개인의 섭취량 입력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영
양소 섭취량 계산함
 CAN-Pro 4.0(전문가용): 개인이나 집단의 영양평가
를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 새로운 음식, 식품 데
이터 수정 가능
 CAN 4.0(일반용): 일반인이 쉽게 이용하도록 개발되
었으며, 스스로 영양평가 및 상담 가능한 프로그램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
CAN 프로그램 4.0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2) 웹 기반 영양분석 프로그램
(1) 건강 다이어리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단에서 개발, 인터넷에서 제
공하는 20세 이상 성인용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2) SuperTracker
미국 농무성에서 국민의 균형 잡힌 식생활 관리를 위
해 개발한 영양분석 및 교육 프로그램
(3) ASA24
미국 암센터가 개발한 웹 기반 식사회상법 입력 프로
그램 (섭취한 음식 입력 시 음식 실물사진이 컴퓨터 화
면에 제시되어 분량 추정에 도움)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
건강 다이어리(보건복지부) (http://diary.hp.go.kr)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
SuperTracker(미국 농무성) (http://www.choosemyplate.gov/)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
웹 기반 24시간 회상법 프로그램(ASA24)
(http://riskfactor.cancer.gov/tools/instruments/)
3. 영양소 섭취량 분석도구
3) 모바일 기반 영양분석 프로그램
(1) 칼로리 코디: 식약처에서 개발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영양분석 프로그램
(2) 당뇨 & 영양: 서울삼성병원에서 당뇨환자의 영양 및
건강관리를 위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10. 영양소섭취의 질적 평가로 영양소 섭취 적정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 ( )
① 영양소 섭취 적정도는 에너지 1,000kcal에 해당하는 식이 내 영양소 함량을
1,000kcal 당 영양권장량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다.
② 영양소 섭취 적정도는 각 영양소의 권장량에 대한 섭취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③ 영양소 섭취 적정도는 개인의 영양소 섭취량에서 집단의 평균치를 뺀 것을
집단의 표준편차로 나눈 값이다.
④ 영양소 섭취 적정도는 각 영양소의 섭취 적정도의 평균값이다.
⑤ 영양소 섭취 적정도는 에너지 1,000kcal 에 해당하는 식이 내 영양소 함량을 섭
취 에너지 비율로 나타낸 값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