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관계론

Download Report

Transcript 제7장- 관계론

제7장- 관계론
언어치료 청각재활학부
201011297 강은빈
201011315 박은미
1. 원조관계의 개념
 2. 전문적인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
 3.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원칙
( 비에스텍의 7대 원칙)
 4.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요소

목차
1.원조관계의 개념
보고(Bogo, 2006)는 사회복지실천 관계
를 세 가지 특성으로 제시하였다.
 첫째, 클라이언트 중심의 관계다.
 둘째,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개인적 특성과
전문성이 실천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다는 점을 인식한다.
 셋째, 사회복지사는 의도적으로 반응을 보
인다.

비스만(Bisman ,1994) 치료적 관계를 사회
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믿음에 기초한 유
대로보았다.
 첫째, 믿음에 기초한 유대의 핵심 요소는 클라
이언트를 원조할 능력에 대한 사회복지사 자신
의 자신감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 둘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모두 변화를
위한 클라이언트의 능력에 대한 신뢰를 가질
필요가 있다.
 셋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는 한 개인으
로서 클라이언트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 있어야
한다.

펄먼(Perlman,1979)은 전문적 원조관계
의 특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 첫째, 전문적 관계는 인정되고 합의된 목적
을 위해 형성된다.
 둘째, 전문적 관계는 시간 제한적이다.
 셋째, 전문적 관계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것
이다.
 넷째, 전문적 관계는 권위를 지닌다.
 다섯째, 전문적 관계는 통제된 관계다.

비에스텍(Biestek,1957)은 역동적 상호작
용을 관계의 본질로 보았는데, "관계란 사회
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태도와 감정의
역동적 상호작용이며 클라이언트가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
다."고 정의하였다.
 골드스테인과 누난 (Goldstein&
Noonan,1999)은 실천가와 클라이언트
관계의 요소 가운데 실용적 협조라는 개념
을 제시하고 있다.

2. 전문적인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






타인에 대한 관심
다정함,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호감, 친절, 지지를 나
타내는 태도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흥미를 말한다.
헌신과 의무
원조 상황에 대한 책임감이다. 신뢰성과 일관성도
관련된다. 사회복지사는 고통과 즐거움, 좌절과 헌
신이 수반되는 타인의 세계로 들어가려는 의지가 있
어야 한다.
수용
클라이언트에 대한 현실적인 신뢰와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대한 존중뿐 아니라 클라이언트에 대해 비심
판적이고 비난하지 않는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말한
다.








공감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관심이 있으며, 클라
이언트가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고,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자 하며, 경청하고, 이해하고 있음을 클라
이언트에게 전하는 능력을 말한다.
명확한 의사소통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클라이언트가 충
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진실성
사회복지사 자신과 감정에 대한 정직성, 사회복지
사의 경험 및 감정을 클라이언트의 경험 및 감정과
분리하는 능력을 말한다.
권위와 권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 상황을 해
결하기를 원하므로 스스로에 대한 책임을 갖고 최선
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목적
 원조관계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모두
가 추구하는 목적을 가진다.
 1)클라이언트에 대한 존중
 클라이언트에 대한 존중은 사회복지실천의
기본적 가치다. 모든 인간은 그들의 과거 혹
은 현재의 행동, 신념, 생활양식 또는 사회
적 지위와 관계없이 고유한 가치를 지니며
이러한 특성들을 사회복지사가 충분히 이
해하는 것이 클라이언트를 변화과정에 파
트너로 참여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




2)공감
공감은 클라이언트가 자신과 자신의 상황을 해석하
고 경험하는 내적 준거들을 원조 전문가가 정서적,
지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사
는 클라이언트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였음을 전달하
기 위해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반응한다.
3)진실성
원조관계에서 진실성은 개방적이고 진심이며 성실
함을 의미하며, 전문가로서 신심에서 우러난 행동
을 실천함으로써 직분을 다하는 것을 일컫는다. 사
회복지사는 진실하게 보이기 위해 자신의 감정이나
클라이언트에게서 받은 인상을 충동적으로 이야기
하지 않는다. 이는 진실성이 클라이언트에 초점을
두고 원조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실성
의 또 다른 측면은 책임 있고 방어적이지 않은 태도
로 정직한 것과 관련이 있다.
3.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원칙 (비에
스텍의 7대 원칙)
1) 개별화
 개별화의 원칙은 각 클라이언트의 고유한
특성을 인정하고 이해하며 실천원리와 방
법을 차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복지사는 편견 없는 태도로 업무를 수
행할 때, 인간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적용
할 때, 클라이언트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경청하고 관찰할 때, 클라이언트의 눈높이
에 맞출 때, 클라이언트에게 공감할 때 개별
화 원칙을 적용한다.

2) 목적이 있는 감정 표현
 목적이 있는 감정 표현은 자신의 감정, 특히 부
정적인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싶은 클라이
언트의 욕구와 관련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
이언트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 주고자 할
때, 클라이언트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
려하고 클라이언트의 감정 표현을 듣고자 할
때, 그리고 목적이 있는 감정표현의 원칙을 활
용한다.
 3) 통제된 정서적 반응
 통제된 정서적 반응은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대
한 민감성, 클라이언트의 감정의 의미에 대한
이해, 클라이언트의 감정에 대한 목적이 있는
적절한 반응 등을 말한다.





4)수용
수용은 클라이언트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대하는
것을 말한다. 이 원칙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한계,
마음이 맞는 특성과 맞지 않는 특성,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건설적 혹은 파괴적 태도와 행동을 모
두 인정하고 활용하는 것이다. 수용의 목적은 클라
이언트를 돕는 데 있으며 수용은 실천가가 속한 사
회복지기관의 기능상의 한계 내에서 이루어진다.
5) 비심판적 태도
비심판적 태도의 원칙은 클라이언트가 가진 문제의
원인이나 욕구에 대한 유죄, 결백 혹은 클라이언트
의 책임 정도를 가리지 않는다는 신념에 근거한다.
사회복지사는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없는 사안에 대
해서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보다 클라이언트를 이
해하고 행동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



6)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
자기 결정의 원칙은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스스로 선
택하고 결정할 자유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욕구
를 인정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
의 문제와 욕구에 대해 분명한 관점을 갖도록 돕고, 적절
한 지역사회의 자원들을 알려주며, 사회복지사와 클라
이언트가 함께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으로 이
원칙을 이행하게 된다.
7) 비밀보장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의 허락 없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전문
적인 관계에서 드러난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에 대해
비밀이 보장된다는 클라이언트의 권리에 대한 것이다.
비밀보장이 지켜지지 않으면 전문적 원조관계는 성립될
수 없다. 비밀보장 원칙이 지켜진다는 믿음을 가질 때,
클라이언트는 방어기제를 사용해서 자신을 왜곡하는 일
이 적어지고 사회복지사와의 의사소통이 촉진 될 수 있
다.
4.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요소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는 각자 다른 성격 특
성과 관계 맺는 방식을 갖고 있으며 이는 원조
과정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측면들은 문제해
결 혹은 변화를 가져오는데 촉진요인 또는 방
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긍정적 측면은 클
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공유하거나 가치를
두는 특성에 근거하여 가까워질 수 있다는 점
이다. 부정적 측면은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
사의 성격, 주변 환경, 행동측면에 대해 부정적
으로 반응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경우도
특정 클라이언트의 특성, 행동, 태도가 거슬리
거나 위협적이거나 공격적이라고 여길 수 있다
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