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Chapter03

Download Report

Transcript 11-Chapter03

제3장
준거: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학습 목표
• 개념준거와 실제준거 간의 차이를 이해한다.
•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의 의미를 이해한다.
• 작업분석의 목적과 다양한 작업분석 방법들을 설명한다.
• 산업 및 조직심리학자들이 연구에 사용하는 9가지 주요
직무수행 준거를 설명한다.
• 역동적 준거의 개념을 이해한다.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준거
• 평가 준거
• 준거에 관한 이슈들은 산업 및 조직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 의견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두 가지 이유
– 판단에 서로 다른 준거를 사용하기 때문
– 동일한 준거를 사용하더라도 준거들에 대한 서로 다른
조작적 정의를 내리기 때문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개념준거와 실제준거
• 개념준거 (이론적)
• 실제준거 (경험적 측정)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 준거결핍
– 개념준거의 영역 중에서 실제준거에 의해 측정되지
않는 부분
– 줄일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려움
• 준거적절성
– 실제준거와 개념준거가 일치되거나 유사한 정도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 준거오염
– 실제준거가 개념준거와 관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
– 준거오염의 두 부분
• 편파(Bias): 실제준거가 체계적으로 혹은 일관성
있게 개념준거가 아닌 다른 것을 측정하고 있는
정도
• 오류(Error): 실제준거가 어떤 것과도 관련되어 있지
않은 정도
– 두 부분 모두 개념준거를 왜곡시킴
– 통계적으로 어느 정도는 통제할 수 있음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 직무수행의 준거들을 확인하여 문서화 하는 절차
– 조직에서 수행하는 작업의 내용
– 수행과 관련된 작업자 속성(지식, 기술, 능력, 기타 특성)
– 작업환경(물리적, 심리적 환경과 외부환경 포함)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정보의 출처
• 주제관련 전문가(SME: Subject Matter Expert)
– 현직자
– 현직자의 상사
– 훈련된 작업분석가
• 모든 종류의 제공되는 작업 관련 기술 자료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절차
• 과업 지향적 절차
현직자가 작업에서 하는 행동 조사
서로 구분되는 작업단위 확인
현직자들이 빈도, 중요도, 난이도 등을 평정
전형적인 예: 기능적 직무분석(FJA)
기능적 직무분석에서는 사물(things), 자료(data),
사람(people)의 세 차원에서 직무를 평정
– 미국 연방정부에서 작업분석을 위해 사용함
–
–
–
–
–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절차
• 작업자 지향적 절차
– 작업수행에 요구되는 인적 속성들을 조사함
• K (지식) : 작업수행에 필요한 정보
• S (기술) : 과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숙련성
• A (능력) : 선천적으로 타고난 비교적 지속적인 속성
• O (기타 특성) : 성격, 능력 등
• 연관분석은 과업 지향적 정보와 작업자 지향적 정보를
연결하는 것임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 주제관련전문가(SME)와 면접
– 작업자가 SME가 작업분석을 하는 것을 의심할 경우
과업 중요성을 과장할 수 있음
• 종업원의 수행을 직접 관찰
– 열악한 조건 확인 가능
– 행동이 왜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음
• 구조화된 설문지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검사도구를
활용
– 여러 직무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유용한 방법임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분류정보(예시)
• 직위분석 설문지(PAQ)
– 직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직무들을 비교할 수 있음
• Fleishmann의 방법
–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직무에 관한 정보를
기술함
– 과업 수행에 필요한 능력에 기초해서 직무를 분류함
• 직업정보망(O*NET)
– 수천 개의 직무정보를 기초로 함
– 기술과 흥미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 제공
– 노동시장 정보 제공
– 다양한 수준의 분석과 적용 가능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관리직에 대한 작업분석
• 관리 직무는 직접 관찰하기 어려움
• 관리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도구
– 전문직 및 관리직 직위분석 설문지 (Professional and
Managerial Position Questionnaire)
– 직위요건 성격조사지 (Personality-Related Position Requirements
Form)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정보의 용도
• 인사선발 검사 구성의 합리적 근거를 제공
• 조직의 직무군 내 다양한 직위들에 대한 임금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
•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의 내용을 결정
• 직무수행평가의 내용을 결정
• 직업상담에 활용하여 경력 선택에 도움을 줌
• 장애인들을 위한 합당한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기준을
결정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작업분석 방법들에 대한 평가
• 연구 결과
– 모든 면에서 우수한 한 가지 방법은 없음
– 직무에 대해 평정하는 사람의 전문성에 의해 결과가
큰 차이가 남
– 과업 지향적 방법이 작업자 지향적 방법보다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낮음
– 모든 방법은 주관적 판단을 내포하고 있음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역량모델링
• 핵심역량은 매우 중요한 KSAO를 나타냄
• ‘모델링’ 은 조직 내 종업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목록들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함
• 직무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고려하지 않음
• 조직 내 모든 직무에 적용될 수 있음
• 추상적이며 KSAO처럼 직무별로 차별화 되지 않음
• 종업원들의 개인적 자질을 조직의 전반적 사명과 연관시킴
• 작업분석처럼 엄격성이나 정확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유용성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받음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직무수행 준거
1.
2.
3.
4.
5.
6.
7.
8.
9.
생산량
판매액
근속기간 혹은 이직
결근
사고
절도
반생산적 작업행동
정서노동
적응행동과 시민행동
Psychology Applied to Work®
제3장 준거 :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역동적 직무수행 준거
• 종업원마다 서로 다른 학습 곡선을 가지고 있음
• 종업원의 성공을 예측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이슈임
Psychology Applied to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