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Chapter3

산업 및 조직 심리학
Chapter3
제 10판
준거:
의사결정을 위한 기준
학습목표
• 개념준거와 실제준거 간의 차이를 이해한다.
•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의 의미를 이해한다.
• 작업분석의 목적과 다양한 작업분석 방법들을 설명한다.
• 산업 및 조직심리학자들이 연구에 사용하는 중요한 준거
의 종류를 안다.
개관
• 준거에 관한 이슈들은 산업 및 조직심리학에서 매우 중
요하다.
• 의견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두 가지 이유
– 판단에 서로 다른 준거를 사용하기 때문
– 동일한 준거를 사용하더라도 준거들에 대한 서로 다
른 조작적 정의를 내리기 때문
개념준거와 실제준거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 준거결핍
– 개념준거의 영역 중에서 실제준거에 의해 측정되지
않는 부분
– 줄일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려움
• 준거적절성
– 실제준거와 개념준거가 일치되거나 유사한 정도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 준거오염
– 실제준거가 개념준거와 관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
– 준거오염의 두 부분
• 편파(Bias): 실제준거가 체계적으로 혹은 일관성있
게 개념준거가 아닌 다른 것을 측정하고 있는 정도
• 오류(Error): 실제준거가 어떤 것과도 관련되어 있
지 않은 정도
– 두 부분 모두 개념준거를 왜곡시킴.
– 통계적으로 어느 정도는 통제할 수 있음.
준거결핍, 준거적절성, 준거오염
작업분석
• 작업의 준거들 혹은 수행차원을 알아내는 절차
– 작업에서 수행하는 과업
– 작업이 이루어지는 환경
– 작업수행에 요구되는 인적 요건(자질)
작업분석
• 작업정보의 세 가지 주요 출처
– 현직자
– 현직자의 상사
– 작업분석가
과업, 직위, 직무, 직무군들 간의 관계
작업분석 절차
• 과업 지향적 절차
– 과업 진술문
• 현직자가 작업에서 수행하는 행동
• 서로 구분되는 작업단위
• 현직자들이 빈도, 중요도, 난이도 등을 평정
• 전형적인 예가 기능적 직무분석(FJA)
• 기능적 직무분석에서는 사물(things), 자료(data),
사람(people)의 세 차원에서 직무를 평정
• 매우 체계적인 접근법
• 미국 연방정부에서 직무분석을 위해 사용함.
작업분석 절차
• 작업자 지향적 절차
– 작업수행에 요구되는 인적 속성들을 조사함.
• K – 지식 – 작업수행에 필요한 정보
• S – 기술 – 과업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숙련성
• A – 능력 – 선천적으로 타고난 비교적 지속적인 속
성
• O – 기타 특성 – 성격, 가치관, 흥미 등
• 연관분석
– 작업에서 수행하는 과업과 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요
구되는 인적 속성 간의 관련성을 설정하는 작업분석
작업분석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 정보수집 방법
– 주제관련전문가(SME)와 면접
– 종업원의 수행을 직접 관찰
– 구조화된 설문지나 항목표를 사용
• 직위분석 설문지 (PAQ)
• Fleishman의 방법
• 직업정보망(O*NET)
관리직에 대한 작업분석
• 관리 직무는 직접 관찰하기 어려움.
• 관리 직무를 분석하기 위한 두 가지 도구
– 전문직 및 관리직 직위분석 설문지(Professional and
Managerial Position Questionnaire)
– 직위요건 성격조사지(Personality-Related Position
Requirements Form)
• 관리직에 대한 작업분석 결과는 생산직이나 사무직에 비
해 정확성이 떨어짐.
작업분석 정보의 용도
• 인사선발 검사 구성의 합리적 근거를 제공
• 서로 다른 직위들을 직무로 묶고, 다시 직무들을 직무군
으로 묶어서 임금의 수준을 결정하는 기초를 제공
• 직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의 내용을 결정
• 수행평가의 내용을 결정
• 직업상담에 활용하여 경력 선택에 도움을 줌
• 장애인들을 위한 합당한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기준을 결
정
작업분석 방법들에 대한 평가
• 연구 결과
– 모든 면에서 우수한 한 가지 방법은 없음.
– 직무에 대해 평정하는 사람의 전문성에 의해 결과가
큰 차이가 남.
– 과업 지향적 방법이 작업자 지향적 방법보다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낮음.
– 모든 방법은 주관적 판단을 내포하고 있음.
역량모델링
• 핵심역량은 매우 중요한 KSAO를 나타냄.
• ‘모델링’ 은 조직 내 종업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목록
들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함.
• 직무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역량모델링에 포함하지 않음.
• 종업원들의 개인적 자질을 조직의 전반적 사명과 연관시
킴.
• 작업분석처럼 엄격성이나 정확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
만 유용성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받음.
직무수행 준거
• 직무수행 준거가 갖추어야 할 특성
– 적절성
– 안정성
– 실용성
– 직무와 관련성이 있고 대표성을 지녀야 함
• 직무수행 준거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
– 측정에 비용이 많이 드는 것
– 측정이 어려운 것
직무수행 준거
• 아홉 가지 직무수행 준거
– 생산량
– 판매액
– 근속기간 혹은 이직
– 결근
– 사고
– 절도
– 일탈적 작업행동
– 정서노동
– 적응행동과 시민행동
직무수행 준거
• 직무수행 준거들 간의 관계
– 대부분의 준거들은 서로 독립적임.
– 한 가지 최상의 준거가 존재하지는 않음.
– 복잡한 직무일수록 더 많은 수행 준거가 존재함.
직무수행 준거
• 역동적 직무수행 준거
–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개인의 직무수행이 변함.
•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
움.
• 종업원마다 서로 다른 학습 곡선을 가지고 있음.
• 종업원의 성공을 예측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이슈
임.
8년 동안 세 가지 준거들에서의 수행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