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장애유아
장애아 통합보육의 이해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Ⅰ. 머리말: 통합의 현황과 당위성
1. 통합교육 및 보육의 현황
정의
-전일제로
-장애유아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정규학급에 장애유아를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
으로 일반유아와 함께 통합하는 것을 의미
조기중재 서비스 현황
3,057
특수교육서비스
14,388
특수보육서비스
-
5,000
10,000
15,000
취학전 장애아동 교육서비스
334
11%
1394
45%
854
28%
475
16%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유치부
유치원특수학급
일반학급
취학전 장애아동 보육서비스
5053
35%
6753
47%
전담보육시설
통합보육시설
일반보육시설
2582
18%
분리 대 통합 비율
특수교육서비스
특수보육서비스
-
1,1881,869
5,053
9,335
5,000
10,000
15,000
전문 인력 현황
790
전담보육시설
1,144
통합보육시설
일반보육시설
738
보육교사
장애전문교사
168
0
0
500
1000
1500
2000
장애 전담보육시설의 경우 132개소 정원 6,324
명 중에 79.9%인 5,053명이 현원으로 약 20%
의 정원 미달률을 보이고 있음
특수교육기관의 경우도 유치부 학급이 계속 감
소하고 있으며, 입소하는 장애아동들의 상태도
중증 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됨
교사 배치가 없는 유치원과 일반보육시설의 통
합의 문제가 제기됨
2010년부터 3-5세 취학 전 장애아동의 의무교육
시행 예정
2. 통합의 당위성
법적인 당위성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장애아 보육 활성화 방안(1996)
-무상보육(2002)
사회-윤리적 당위성
-장애유아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긍정적 변화
-능력에 따른 차별인 분리의 윤리적 부당성
-경제적 투자의 효과성
교육성과적 당위성
-장애유아(이중적 결과 제시)
-일반유아
Ⅱ. 통합보육(교육) 실행의 방향성:
신중론 대 통합론
1. 신중론
통합의 주요한 목적은 아동이 단지 통합 상황
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 프로그램 내의
활동들과 사건들에 의미있게 참여하는데 있
음
일반 교육 전문가들의 자격과 준비성 결여 등
의 요건 때문에 부모에 따라 분리된 프로그램
을 선호할 수도 있음
일부 활동이나 일정한 시간만 통합시키고 별
도의 교육 계획에 의해 자료실 배치
(resourceroom), 순회교사(itinerant
teacher), 일반 학급 내 특수교육 지원 등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함
2. 통합론
개별화된 실제를 개발하지 못한 책임 즉 영역
의 실패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함
취학전기의 통합은 단순히 취학전의 교육 활
동만이 아니라 부모·형제·조부모·이웃·또래·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적인 관계성을 의미함
교사의 기술적인 측면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장애와 일반아동이 함께 활동에 참여하는 것
과 이를 통해 장애아동이 가지게 될 우정과
관계성임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아무런 차이 없이 일
반 교사의 지도 아래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활동에 함께 참여함
***공통 사항
통합은 장애아동의 교육에 있어 하나의 가치
이자 실제가 되고 있음
장애아동의 통합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사회-행정적인 체계이지만, 교사
가 가지고 있는 통합에 대한 믿음과 가치는 그
실제에 많은 영향을 미침
Ⅲ. 질적인 통합보육(교육) 실행을
위한 고려요인들
생태학적 환경의 네 단계의 상호 영향성<그림 1>
-특정한 상황(소구조: microsystem)
-중간구조(mesosystem)
-외부구조(exosystem)
-대구조(macrosystem)
1. 통합의 중심인 장애아동 요인
second generation(제 2세대): 특정한 특성
을 가진 아동의 특정한 배치의 효과성
아동의 특성만이 아니라 통합 프로그램의 질
과 교사의 자질 등의 역동적인 상태가 중요
2. 소구조: 학급과 교사 변인들
1) 학급 변인
유아교육과정: DAP(개인적합성, 연령적합성)
혼합연령집단
사회성 능력 중심의 교수: 장애유아의 사회성 능
력 교수, 일반유아와의 긍정적 관계성
***사회성 교수전략
장애유아에 대한 정보 제공
장애유아를 보조할 수 있는 기술 제공
교사의 적절한 시범과 지원 제공
장애와 일반 유아간의 비대칭적인 관계성
적절한 돕는 관계 조성
구조적인 또래 지원 전략 필요
2) 교사변인
특수교육 전문가의 부족
학급내의 문화를 만드는 교사에 따라 통합 프
로그램이 달라짐(통합의 중요한 요인)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과 상호존중
의 중요
성공적인 협력을 방해하는 요인
: 교사와 치료사들 간의 협력을 위한 시간과 기회의 제
한
: 장애아동과 그들 가족을 위한 서비스 조정의 복잡성
공통된 철학·장애아동에 대한 공동적인 책임
감(ownership)·요원간의 의사소통·역할 방출·
행정적인 지원을 통한 장애아동의 서비스와
관련된 전문가들 간의 협력 강조
3. 중간구조: 가족과 전문가간의 상호관
계
1) 가족의 관점
장애유아의 가족
: 통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 아동의 발달, 사회적 기술 혹은 또래와의
관계에서의 이득
: 통합적 배치에 대한 두려움
일반유아의 가족
:
:
:
:
:
인간의 차이 수용
타인의 욕구에 민감
장애인과 함께 있는 것을 덜 불편하게 생각함
장애아동의 행동문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
교사의 주의 집중 부족 등의 손해는 발생하지 않음
장애유아 부모들이 보는 문제
:
:
:
:
장애아동이 또래들에 의해 거부되는 것
특수서비스와 개별화된 서비스 부족
적절한 통합 서비스 기관의 부재
분리된 상황에서의 개별화된 서비스에 대한 인식
때문에 통합의 장점이 감소됨
2) 전문가 간의 관계
유아교사의 역할
: 전반적인 학습 환경과 활동의 개발
: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학습 환경 활동 개발
: 다면적인 교육 방법 제공
: 장애유아에 대한 정보 지원
: 프로그램의 효율성 평가
특수교사의 역할
:
:
:
:
장애유아의 적격성 판정
장애유아 발달에 대한 검사 실시
장애유아의 교육적인 성취 평가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학업 및 행동적인
교육방법 실시
: 프로그램의 효율성 평가
***교사교육의 필요 내용
장애 및 위험군 선별
진단 및 평가
중재 계획과 실시
다영역적 팀 참여
가족 진단
가족지원 서비스 계획 및 시행
협력적 가족 지원
프로그램 평가
상담
팀의 효율성 증대
4. 외부구조와 대구조
1) 외부구조: 사회정책
정책: 특정한 사회적 욕구에 대처하려는 목적하
에서 적은 공공자원을 분배하기 위해 설정된 규
칙 및 기준
문제
: 경제적 혹은 재정적인 재원의 분배
: 전문가의 훈련 및 배치와 관련된 정책의 부재
: 정책 입안자와 시행자의 불명확한 태도
2) 대구조: 문화와 지역사회
문화적 차이에 대한 민감성 필요
지역사회 참여 촉진 요인
: 가족의 지역사회에 대한 감각
: 기관-지역사회와의 연계
: 참여를 촉진하는 의도적인 전략 사용
: 환경적인 수정
지역사회 참여를 제한하는 요인
:
:
:
:
이웃의 안전성과 안정감
제한된 자원
가족의 일과(스케줄) 시간
또래 활용의 어려움
“통합은 장애유아와 그 가족에게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서비스
중에
가장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장애유아와 가족이 선호하는 서비스
입니다.”
“장애아동과 그 가족의
욕구를 중심으로 ”
“소구조, 중간구조,
외부구조, 대구조 모두의 ”
“협력적 지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