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폐자원+및+바이오매스(파워포인트).

Download Report

Transcript 3-폐자원+및+바이오매스(파워포인트).

1

I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개요

국제동향 및 선진국 사례

목표 및 추진방향

7대 중점 추진과제

기 대 효 과

소요 투자비 및 향후계획

2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개요

3

1. 폐자원

·

바이오매스란 무엇인가

폐자원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물질이나 에너지로 재활용 할 수 있는 폐기물 을 말함

폐자원 및 에너지화 종류 폐자원의 특성

높은 열량 보유 가연성 폐기물 3,500Kcal/kg 고형연료 5,000Kcal/kg (무연탄 4,600Kcal/kg) 4 - 4 -

바이오매스

광합성으로 생산되는 동식물의 유기체(Bio) 총량(mass)

바이오매스 및 에너지화 종류

5 - 5 -

2. 왜! 폐자원

·

바이오매스인가 : 녹색성장 구현

지속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확 보 임기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는 최적의 신재생에너지 공급 방안 폐자원, 산림 같은 국내 에너지 잠재량 풍부 태양광, 풍력 등은 산업파급효과와 미래시장 잠재력은 크나 단기간내 생산 량 증대에 한계 (폐자원 76.1%, 바이오 5.3%, 태양열 0.6%, 풍력 1.1%, 기타 16.9%) 친환경적, 경제적인 폐기물처리 일자리 창 출 기후변화에 대한 효과적 대응 기존 폐기물 처리(매립, 소각)비용으로 에너지 생산, 오염물질 배출저감 매립 폐기물 감량화로 매립장 반영구적 사용 태양광의 1/10 비용으로 에너지 생산 신산업 분야 새로운 일자리 창출 효과 특히, 바이오매스는 농촌 일자리 및 소득 증대 기여 화석연료 대체효과가 크고,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의 유력한 수단 메타가스의 지구온난화 지수는 이산화탄소의 21배 6 - 6 -

국제동향 및 선진국 사례

7 - 7 -

지속가능한 에너지 확보를 위하여 바이오매스 에너지 정책 추진 강화, 바이오에너지 시장 활성화 및 에너지 자급율 향상

유럽연합(EU)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의 점진적 확대 ( ’ 05년 6.5% → ’ 10년 12%) 이중 바이오매스 개발로 80% 달성 기술개발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 바이오매스 액션플랜 ” 발표( ’ 06년) 환경블럭 6개국(독일, 스웨덴 등)은 ’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50%로 확대

독 일

’ 2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50% 목표로 추진 고용창출( ’ 07년 17만명 → ’ 20년 50만명), 수출효과 ( ’ 07년 59천억원 → ’ 20년 1,040천억원) ’ 09년부터 폐자원 에너지화사업을 기술우위 선점 및 성쟝 동력으로 활용 현재, 폐자원 고형연료(RDF) 제조시설(78개)에서 연각 300만톤 생산

일 본

신재생에너지 핵심전략으로 “ 바이오매스 일본 종합전략 ” 공표( ’ 02년) ’ 10년까지 바이오매스타운 300개 구축( ’ 08.7월 현재 151개 바이오매스타운 지정) “ 바이오매스 에너지 도입 가속화전략 ” ( ’ 07년)추진 신재생에너지 기여도 1.3%( ’ 04년) →3%( ’ 10년) 폐자원,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시설 및 시장규모 현재 70여개의 RDF 제조시설, 5개의 광역형 RDF전용 발전소 운영 중 천연소재 신시장, 해외시장 등 4개분야에 8조엔 규모 8 - 8 -

목표 및 추진방향

9 - 9 -

1. 추진목표

가. 국가 신재생에너지 목표율 달성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보급률을 ’ 06년 1.82%에서 ’ 50년 10% 달성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량의 50% 생산) 임기내 원유 2천4백만배럴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생산( ’ 07년 수입 원류량의 3%에 해당 에너지화 관련 기술을 현재 45∼68%에서 선진국수준의 90∼95% 달성 ( ’ 30년) 10 - 10 -

나. 일자리 창출 및 온실가스 감축

일자리 창출 연도별 신규 일자리 창출목표를 5만2천개( ’ 12년), 14만개( ’ 20년)로 설정 임기내 실업인구 78만영( ’ 08년)을 73만명( ’ 12년) 으로 감소시키는데 기여 온실가스 감축 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15백만톤( ’ 12년), 31백만톤( ’ 20년)로 설정 임기내 온실가스 감축량은 ’ 05년 비에너지부분 이산화탄소 발생량(93백만톤)의 16%를 차지 11 - 11 -

2. 추진 여건 및 방향

추진여건

폐 기 물 ’ 90년대 이후 폐기물의 위생적, 안정적 처리에 주력 소각시설, 위생매립시설 건설 폐기물 에너지화 미흡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미실시 등으로 에너지화 추진기반 미비 바이오매스 수거 · 운반비 과다로 산림자원 바이오매스 수거 저조 건벌재는 산림에, 볏짚은 퇴비화, 소각 또는 방치 저유가로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유인 미흡 정책 및 지원체계 각 부처별 바이오매스 업무에 대한 정책적 관계부처간 협조 · · 재정적 지원 소홀 지원체계 미흡으로 효율적인 추진 곤란 12 - 12 -

추진방향

정부투자의 효율성 및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단계적 접근 단기적으로 조기성과 창출, 비용 효과적인 폐자원 에너지화 우선 추진 장기적으로 에너지 순환림 조성 · 해양 바이오매스 활용 추진 부처별 에너지화 정책 강화 및 범부처적 협조 구축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거점 확보 및 보급 확산 수도권 ‘ 환경 · 에너지 종합타운 ’ 시범시업 우선 추진 전국 10대 권역 확대 · 발전 및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국가 新 성장동력으로 육성 기술개발(R&D), 전문인력 양성, 환경산업 육성 및 수출 전략화 13 - 13 -

7 대 중 점 과 제

14 - 14 -

과제1. 단순 소각•매립되는 폐자원의 에너지화

가연성폐기물 고형연료화

’ 07년 기준 에너지화 가용폐기물(470만톤/년)의 1.2%만 고형연료로 제조 ’ 12년까지 39%를, ’ 20년까지 100%를 고형연료화 생활폐기물을 고형연료(RDF)로 제조 쓰레기 종량제봉투로 배출, 매립장에 매립되고 있는 가연성 폐기물을 고형연료 제품으로 제조하여 에너지 회수 현재 원주시에서 RDF제조시설(80톤/일) 설치•가동중 수도권매립지에 RDF제조지설 200톤/일 설치중 충 ’ 12년까지 RDF시설 20개소(5,840톤/일), 전용보일러/발전시설 10개소(2,800톤/일) 확 15 - 15 -

사업장폐기물을 고형연료(RPF)로 제조 건설현장, 산업체에서 발생되는 폐플라스틱류를 고형연료 제품으로 제조하여 에너지 회수 ‘07년 말 현재, 전국적으로 사업장폐기물 RPF 제조업체 35개소 설치 •가동중 (3만4천톤/연간) ’ 20년까지 370톤/일 규모의 RPF시설을 확충 RPF 제조사업 활성화를 위한 예산(국고, 융자) 지원검토 16 - 16 -

유기성폐자원의 바이오가스 및 고형연료화

현재 해양투기 되고 있는 유기성폐자원을 ’ 12년까지 25%. ’ 20년까지 100%바이오가스화 또는 고형연료화 ※ 런던협약에 의하여 하수슬러지 • 가축분뇨는‘12년까지, 음폐수는‘13년부터 해양배출 금지 음식물쓰레기 에너지화 를 음식물쓰레기(488만톤/년)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331만톤) 중 54%(178만톤) 해양에 투기하여 처리 현재 부산 생곡매립지(200톤/일, 2MW 발전) 및 광주 광산구(160톤/일, 보일러연료)에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설치•운영 중 현재 사료•퇴비로 재활용되는 음식물쓰레기 중 수요가 미흡한 일부를 에너지로 전환 <부산 생곡 음식물 처리 시설> 17 - 17 -

가축분뇨 에너지화 총 발생량(4,515만톤) 가운데 83%는 퇴•액비화 되고, 12%는 공공처리시설 등에서 처리되며, 5%(202만톤)는 해양투기로 처리되어 에너지화 필요 현재 충남 청양, 경기 이천에 실증설비를 설치•운영 중 하수슬러지 에너지화 전국 347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278만톤/년) 중 69%(191만톤/년)를 해양투기로 처리 하수슬러지 고형연료화 기술은 실증실험을 끝내고 상용화 단계(전남 광양 10톤/일) 전국 347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278만톤/년) 중 69%(191만톤/년)를 해양투기로 처리 ‘20년까지 약 88%(168만톤/년)를 바이오가스 또는 고형연료화 유기성폐자원 병합처리 에너지화 바이오가스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 필요 현재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 병합 바이오가스 처리시설은 부산 동래, 경남 사천 등 6개소(300톤/일)에 설치•운영 중 경기 파주에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 병합처리 시설이 설치•운영 중 ’ 12년까지 12개소(1,580톤/일)의 음식물쓰레기+가축분뇨 병합처리 시설 확충 18 - 18 -

기존 소각로의 여열 회수

중•대형 소각시설에서 미회수 되고 있는 여열을 ’12년까지 65%, ’20년까지 100%회수하여 발전, 지역난방의 열원으로 공급 중•대형 소각시설의 여열 회수•이용이 미흡 지자체의 중•대형 생활폐기물 소각시설(43개소)에서 발생된 여열(644만Gcal/년)중 91.8%(591만Gcal/년)를 회수•이용하고 있음 민간 사업체의 사업장 폐기물 소각시설(54개소)에서도 여열을 회수, 자체 사용하고 있으나 회수량이 미미 소각여열 회수를 적극 독려하고, 시설 개•보수시 지원 강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여열회수시설 확충(42개) 신규 17개 시설, 보완 25개 시설 민간 소각시설(54개소)은 여열 수요처 확보가 우수한 27개 시설에 대하여 융자 등 지원 19 - 19 -

매립가스 및 폐가스 에너지화 확대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 12년까지 95% 회수하여 발전 및 도시가스, 자동차 연료로 공급2 산업공정 폐가스를 ’50년까지 전량 회수하여 발전 및 인근 산업체에 공급 매립가스 에너지화시설 확충 전국 매립장(250개) 가운데 15개소에는 민간투자 방식으로 매립가스 자원화시설을 설치 •운영 중이며, 소규모 매립장은 경제성 부족으로 매립가스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12년까지 27개, ’ 20년까지 41개 매립장의 매립가스 에너지화 폐가스 에너지화 신재생에너지 총 생산량 523만TOE 중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의 에너지 이용량 은 181만TOE로 34.6% 차지 현재 미활용되고 있는 약 30%의 폐가스를 ’ 50년까지 전량 에너지화 20 - 20 -

과제2. 목질계•초본계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

부산물의 이용

농업 부산물, 숲가꾸기, 부산물, 폐목재 등을 목재칩, 펠렛 형태로 가공하여 ’ 12년까지 1,560㎥, ’ 20년까지 3,100천㎥ 에너지화 농업부산물(볏짚, 과수목, 유채줄기) 대부분 유가로 판매되고, 가축사료나 퇴비로 이용되며, 일부는 소각처리 미곡 7.9백만톤/년, 과수 150만톤/년 발생 ’ 10년부터 기술개발 및 시범사업 실시 후, 단계적으로 확대 ‘12년까지 총 255만톤/년을 열에너지로 활용 산림 부산물 공급가능 잠재량은 최대 13백만㎥/년이나, 수집•운반비 과다로 안정적 공급 곤란 ’ 12년까지 수집체계정비로 1,560천㎥(12%)에너지화 추진 ‘20년까지 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 및 제조시설 16개소 설치 지원 21 - 21 -

새로운 경작

부산물 바이오매스 만으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에 한계가 있으므로 산지, 유휴 농경지, 수변구역 등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 방안 강구 바이오순환림 조성 ’ 60~ ’ 70년대 82만ha에 조성한 연료림은 농촌에 화석연료 공급 이후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도로접근이 용이한 야산지역을 ‘ 바이오 순환림 ’ 으로 개발, 속성수 식재•활용 ‘08년에 국유림을 대상으로 바이오 순환림(50ha) 시범사업 실시 ‘12년까지 1만ha,‘20년까지 4만ha 바이오순환림 조성 계획 유휴농경지 유채단지 조성 ’ 06년 현재 전국에는 전체 농경지의 7%에 해당하는 12만ha의 유휴농경지 존재 연구용역과 시범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확대 ‘09년 ‘유휴농지의 바이오에너지원 발굴’기본방향 설정 ‘10년 시범사업 실시 22 - 22 -

수변구역 바이오순환림 조성 상수원 수질개선 도모를 위해 지정된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주변지역 수변구역을 바이오매스 경작지로 전환 현재 전체 12만ha 중 3,000ha 매립(향후 지속적 매입 예정) 전체 수변구역은 전국 그린벨트면적(39.6만ha)의 30%에 해당 시범사업을 통해 단계적으로 확대 ‘10년부터 시범사업 실시(2년간) ‘12년부터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확대 금강 한강 영산강 낙동강 23 - 23 -

과제3. 해양 바이오 에너지화

미세조류, 해조류는 원천기술 및 대량 생산공정 확립을 통하여 바이오연료 상용화 추진 폐기되는 어류 가공 부산물은 시범사업을 통하여 ’ 20년까지 전량 에너지화 육상농업의 한계에 따른 해양식물 자원의 활용 확대 추세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어류뢀용 및 해조류 양식에 천혜의 조건 구비 해양식물은 원료의 생산주기가 단기간으로 원료확보 용이, 에너지 전환 수율 높음 미세조류는 대량 배양기술을 확립하여 상용화 ’ 11년부터 시범사업(50ha), ’ 20년까지 1,000ha 규모의 배양장 조성 해조류 양식은 연구개발 초기단계로 시범사업 실시를 통해 단계별 추진 ’ 09년 마스터플랜 수립 ’ 12년까지 100ha에 시범시설 설치, ’ 20년까지 1,400ha 조성 어류부산물은 가공•처리 문제 해결과 기술확보를 통해 전국적으로 확대 어류가공시 연간 약 80만톤이 발생(대부분 폐기) ’ 10년까지 에너지화 기술개발, ’ 11년부터 부산, 경남, 경북, 전북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24 - 24 -

과제4. 수도권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 시범단지 조성

(국제적 브랜드화) 수도권매립지 총 부지면적 1,989만㎡, ’ 44년까지 매립 예정(향후 36년간 사용) 장래 매립예정 부지 약 700만 ㎡ 에 세계 최고의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건설 ’ 08년부터 ’ 20년까지 455.5 만㎡에 세계적 환경명소로 조성(4개 테마) 폐자원에너지화, 바이오에너지화, 자연력을 이용한 에너지화, 환경•문화공간 조성 9,770톤/일 규모의 폐자원 에너지화시설 확충(33만㎡ ) 장래 매립 예정부지 420만㎡에 30MW급 태양광, 및 풍력발전, 우드칩, 바이오디젤 생산시설 설치 <인천국제공항, 인천경제특구(송도, 청라, 영종) 및 종합연구단지(생물자원관 등)와 연계> 25 - 25 -

과제5. 10대 권역별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전국을 10대 권역으로 구분, 권역별 1~2개소의 “ 환경•에너지 종합타운” 조성 - 폐자원 에너지화시설, 매립가스•소각여열 회수시설, 태양광, 풍력 및 비아오매스 시설 등 설치 전국 광역시 “ 광역쓰레기 매립장 ” 부지를 종합타운으로 건설 ’ 12년까지 폐자원 에너지화 총 사업물양의 51%를 유치 고형연료(RDF) 제조시설 20개소 및 전용 발전시설 10개소 설치 슬러지 연료화 시설 4개소, 음폐수가스화시설 11개소 및 병합가스화 시설 12개소 등 폐자원 •바이오매스 에너지화시설 27개소 설치 26 - 26 -

과제6. “저탄소 녹색마을

600개 조성

’ 20년까지 농촌지역 에너지 자립도를 40~50%까지 제고 - ’10년부터 시범사업(4개마을)추진, ’20년까지 전국으로 확대 농촌지역의 바이오매스 이용 확대를 위해 자립형 바이오에너지 마을 조성 음식물폐기물, 가축분뇨, 농업부산물의 바이오가스화 산림 및 임업부산물을 열에너지로 공급(화목보일러) 금년(’08년)내 농가를 대상으로 화목보일러 750대 시범 보급 1사1촌 운동과 병행, 30대 대기업 등 기업 •민간분야에 자발적 참여 유도 및 점진적 확 대 유휴농경지를 이용한 유채재배(전국 12만 ha) ’ 09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조성방안 마련, 단계적으로 추진 ’ 10년부터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시범사업 추진 지자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4개 마을(중규모 2개, 소규모 2개) 선정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 20년까지 600개 조성 27 - 27 -

과제7. 기술개발(R&D), 인력양성 및 산업육성

기술개발 현재 국내 폐자원 분야 기술개발을 위해 에코스타 프로제트 추진 중 ‘30년까지 선진국의 90~95% 수준으로 제고 녹색산업을 선도할 산업 전문인력 및 연구인력 1만명 양성( ’ 13년) 바이오매스 에너지화를 위한 전문기술인력 절대 부족 ’ 13년까지 산업전문인력 9,300명, 고급전문인력 1,300명 양성 시장수요에 따라 필요인력을 산업전문인력 및 핵심고급인력 등으로 구분하여 양성 산, 학, 연 프로그램 마련, 환경 •에너지 전문대학원 설립, 특성화연구서 지정 환경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 전략 산업화 추진(동남아, 중국) 세계 환경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으나 국가차원의 환경산업 수출지원이 미흡 고부가가치 폐자원 에너지사업 발굴 육성 환경산업육성자금 조성 등 환경산업 육성인프라 구축 28 - 28 -

기 대 효 과

29 - 29 -

경제효과 ’ 12년까지 연 3조 2,800억원, ’ 20년까지 연 8조 4,300억원의 경제적 효과 일자리 창출 ’ 12년까지 5만 2천개, ’ 20년까지 14만 4천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효과 원유대체 및 온실가스감축 효과 ’ 12년 원유대체 2,407만 배럴, ’ 20년 5,525만 배럴 ’ 12년 온실가스 감축 1,533만톤, ’ 20년 3,201만톤 농촌경제 활성화 및 환경개선 효과 목질계 바이오매스 연료비용 : 화석연료의 약 ½ 수준 등유 120만원/년, 목재칩 60만원/년 지역단위 에너지 산업화 : 농가 소득증대 및 일자리 창출 기여 온실가스 배출량(CO 2 ) : 화석연료의 약 1/10 수준 30

소요 투자비 및 향후 계획

31 - 31 -

소요 투자비 및 향후 계획

소요 투자비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율 달성을 위해서는 ’ 12년 까지 6조 1천억원 소요(총 투자비의 21%에 해당) ’ 20년까지 총 29조 1천억원 소요 총 투자비 정부

23

1

천억원

22

3

천억원

6

1

천억원

4

1

천억원

'08~‘12

13 ~‘20

향후 계획 “ 관계부처 협의체 ” 구성 · 운영( ’ 08.11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포럼 구성 · 운영 ( ’ 08.11월) 부처별 실행계획 수립 ( ’ 08.11∼ ’ 09.5월) 32 - 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