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바이오센터

Download Report

Transcript 경기바이오센터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과학기술 전략
- 제30회 경기도 경제활성화 대책회의 -
2010. 8. 26
이원영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원장
1
Agenda
Ⅰ. 신성장동력의 범위
1. 성장동력의 변천 과정
2. 중앙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3. 경기도 신성장동력
Ⅱ. 경기도 접근 전략
1. 정책추진의 기본시각
2. 지역혁신거점 육성정책 추진현황
3. 산학연 협력지원 추진현황
Ⅲ. 향후 추진과제
경기도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의 기본구도
과제 1 – 과제 8
과제 9 – R&D투자 증대와 효율화
2
Ⅰ. 신성장동력의 범위
1. 성장동력의 변천 과정
2. 중앙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3. 경기도 신성장동력
3
신성장동력의 범위
1. 성장동력의 변천 과정
10대 차세대성장동력
6대분야 22개 신성장동력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전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디지털 TV/방송
차세대 이동통신
지능형 홈네트워크
디지털 콘텐츠 /
SW솔루션
바이오 신약/장기
노무현정부(2003년)
차세대성장동력 선정위원회
민간 기획단(2008년)
단장: 서남표 KAIST총장
무공해 석탄에너지
해양 바이오 연료
태양전지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원전 플랜트
Green Car
선박ㆍ해양 시스템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 무선통신
LED 조명
RFID/USN
로봇
신소재ㆍ나노융합
IT융합 시스템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바이오 신약 및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디자인
Healthcare
문화 콘텐츠
3대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에너지•환경
수송시스템
New IT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에너지
고도 물처리
LED 응용
그린수송시스템
첨단 그린도시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시스템
로봇 응용
신소재∙나노 융합
녹색기술
첨단융합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융합신산업
바이오
지식서비스
고부가 식품산업
글로벌 헬스케어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 금융
콘텐츠∙소프트웨어
MICE∙관광
고부가
서비스
이명박정부(2009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이명박정부의 신성장동력은 고부가서비스산업 분야, 첨단융합산업 분야 및 소프트웨어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업 및 IT산업 중심으로 구성된 과거 성장동력과 크게 차별화되는 점임
4
신성장동력의 범위
2. 중앙정부 신성장동력 정책
국무총리 산하 신성장동력 Task Force
 3대분야 17개 신성장동력을 동력, 기능별 정책으로 나누고 세부추진계획, 기술전략지도, 인력양성
종합대책, 중소기업 지원방안 등으로 세분화
 ‘선택과 집중’을 통해 62개 분야의 스타브랜드를 선정
신성장동력 TF
(국무총리실)
녹색기술산업
(지경, 교과부)
첨단융합산업
(지경부)
• 기술전략지도TF(지경부)
• 인력양성 TF (교과부)
• 중소기업 지원방안(중기청)
고부가서비스산업
(재정부)
• 신재생 에너지 TF
• 방송통신융합산업 TF
• 글로벌 헬스케어 TF
• 탄소저감 에너지 TF
• IT 융합시스템 TF
• 글로벌 교육서비스 TF
• 고도 물처리 TF
• 로봇 응용 TF
• 녹색금융 TF
• 신소재 ∙ 나노 융합 TF
• 콘텐츠 ∙ 소프트웨어 TF
• 그린수송 시스템 TF
• 바이오제약∙의료기기 TF
• MICE∙관광 TF
• 첨단 그린도시 TF
• 고부가 식품산업 TF
•
LED 응용 TF
5
신성장동력의 범위
예산 계획
 17개 신성장동력에 ’09년부터 ’13년까지 24.5조원 투자
 기능별로는 인력양성에 2.1조원, 중소기업지원에 6.0조원 투입
(단위 : 개, 조원)
예산
구분
녹색기술
산업
첨단융합
산업
고부가
서비스산업
합계
과제수
79
62
59
200
R&D
3.7
8.8
1.6
14.1
비R&D
3.0
3.4
3.9
10.4
소계
6.7
12.2
5.5
24.5
※ 비R&D 분야 : 재정사업, 제도개선, 시장창출 등
신성장동력 추진의 기대효과
 부가가치 생산액 : ‘13년에 387조원, ’18년에는 694조원 증가 예상
 수출 : ‘13년에 4,342억불, ’18년에는 9,200억불 달성 전망
 고용 : ‘18년까지 352만 명의 효과를 기대
6
신성장동력의 범위
단계별 발전전략
구분
단기(3~5년)
중기(5~8년)
장기(10년 내외)
- 신재생(태양ㆍ연료전지)
성장동력
- 신재생(조력ㆍ폐자원)
- 고도 물처리
- 신재생(해양바이오연료)
- 방송통신융합산업
- 탄소저감에너지(원전플랜트)
- 탄소저감에너지(CO2 회수활용)
- IT융합시스템
- 고부가 식품산업
- 그린수송시스템
- 글로벌 헬스케어
- LED 응용
- 로봇응용
- MICEㆍ관광
- 글로벌 교육서비스
- 신소재ㆍ나노
- 첨단 그린도시
- 녹색금융
-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 콘텐츠ㆍSW
시기별
목표
- 응용 기술 개발
- 핵심기술 선점
- 제도개선ㆍ투자환경 조성 등 - 시장창출 등
- 기초원천기술 확보
- 인력양성 등
7
신성장동력의 범위
3. 경기도 신성장동력(GRI, 2009년)
목표
방향
신성장동력 클러스터의 글로벌 거점화
신성장동력 중심의
첨단산업과 신성장동력의
시장수요 창출을 위한
클러스터 구축
융복합화
제도 개선
녹색
신재생 기술투자
LED 기술개발 및
차세대 융합
글로벌 첨단
기술
및 산업활성화
시장확대
교통체계구축
그린도시 조성
IT융합 기업의 최적
신소재
바이오제약
인프라
나노융합부문의
의료기기산업의
구축
기술역량 확보
글로벌 허브구축
콘텐츠생산
인프라 확충
SW성장거점의
전략적 육성
혁신적이고,
경쟁력을 제고하는
경쟁력 있는 창의적
전시컨벤션
콘텐츠 문화 진흥
도시 구현
첨단
융합
고부가
경쟁력 있는 글로벌
서비스
헬스케어 육성
글로벌 융복합형
식품기업 육성
8
신성장동력의 범위
국가 및 경기도 신성장동력 비교
국가 신성장동력
경기도 신성장동력
신재생에너지
신재생 에너지
탄소저감 에너지
LED 기술개발 및 시장확대
고도 물처리
차세대 융합교통체계구축
LED 응용
녹색기술
녹색기술
글로벌 첨단그린도시 조성
그린수송시스템
첨단 그린도시
방송통신융합산업
IT융합시스템
IT융합 기업의 인프라구축
로봇 응용
신소재∙나노 융합
신소재 나노융합
첨단융합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바이오제약/의료기기
첨단융합
글로벌 융복합형 식품
고부가 식품산업
글로벌 헬스케어
글로벌 교육서비스
녹색 금융
콘텐츠∙소프트웨어
MICE∙관광
이명박정부(2009년)
콘텐츠/SW
고부가
서비스
글로벌 헬스케어
창의적 콘텐츠 문화진흥
고부가
서비스
전시컨벤션 도시구현
GRI(2009년)
9
Ⅱ. 경기도 접근 전략
1. 정책추진의 기본시각
2. 지역혁신거점 육성정책 추진현황
3. 산학연 협력지원 추진현황
10
1. 정책추진의 기본시각
경기도 접근 전략
경기도의 한계
 중앙정부에 비해 경기도 R&D 지원 규모가 작고 정책수단이 제한적
 중앙정부는 경기도에 1.4조원 투자, 경기도는 약 2천억원
 수도권 규제로 경기도 정책선택의 폭이 좁음
 그 동안 경기도는 신성장동력 육성보다 중소/중견기업 혁신역량 강화에 주력
 지역특화형, 중소기업형 산업에 대한 집중지원
신성장동력 정책 추진방향
 산업 입지조성, 테크노밸리 조성은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핵심정책으로 활용
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R&D투자 확대
 중앙정부와의 협력강화와 상호보완적 역할 정립
11
경기도 접근 전략
중소기업지원은 계속하되 신성장동력 육성 정책 강화
 입지, 클러스터, 교육, 연구 등 통합적 정책 수단 강화
클러스터 정책
입지조성정책
신성장동력 육성
교육/훈련정책
중소/중견기업
역량강화
장비∙인프라 지원
R&D 투자정책
: 향후 강화 필요
12
2. 지역혁신거점 육성정책 추진현황
구 분
광교테크노밸리
판교테크노밸리
경기도 접근 전략
안산사이언스밸리
위치,면적
광교신도시내 택지개발지구
269,404㎡
판교신도시내 택지개발지구,
661,925㎡
안산시 (서울 서남부 30km)
1,320,000㎡
추진목적
수원남부 민간연구소, 대학
등과 연계하여 첨단기술혁신
의 중심지로 육성 목표
IT관련 융합기술 중심으로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 집중 육성
산학연관 기술혁신 근거리
네트워크 구축
중점분야
복합기술융합거점(IT, BT, NT)
기초원천기술 개발 및 사업화
거점
IT, BT를 중심으로 한 융복합기술
첨단지식서비스 산업 전진기지
IT, 전자부품 등 지식기반제
품 생산, 인력양성, 시험인증
등
입주기업
160여개
300여개
170여개
대표적
입주기관
/기업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차세대융합기술원, 나노소자
특화팹센터, 경기과학기술진
흥원, 경기바이오센터 등
글로벌 R&D센터, 산학연R&D센터,
삼성테크원, SK케미칼,
안철수연구소 , NHN 등
경기테크노파크, LG이노텍,
LG마이크론, 한국생산기술
연구원, 한양대 등
13
경기도 접근 전략
광교테크노밸리
 최고의 접근성 : 영동고속도로(동수원IC), 용서고속도로(광교IC), 지하철 신분당선 연장개통(’14년)
 광교명품신도시 핵심지역 : 쾌적한 주변환경(녹지율 41%), 비즈니스 지구, 컨벤션 센터 인접
 글로벌 기업 및 유수대학 인접 : 삼성전자, 현대차 남양연구소, 성균관대, 아주대, 경희대 등
14
경기도 접근 전략
판교테크노밸리
 IT관련 융합기술 중심으로 세계적 혁신클러스터로 집중 육성
 판교공공지원센터 : 혁신클러스터 조성, 산학연 네트워킹, 기업 지원 전담
 산학연 R&BD센터 : 오픈 랩(Open Lab) 형태의 산‧학‧연 협력공간으로 활용
 글로벌 R&D센터 : 혁신을 선도할 세계적인 글로벌 연구소 유치
판교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15
경기도 접근 전략
안산사이언스밸리
 한양대와 경기테크노파크 중심의 과학기술단지
 산학연관 기술혁신 네트워크 구축 :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기술이전 지원 등
 글로벌 기업, 연구소 및 대학 : LG마이크론·LG이노텍 연구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양대 등
16
경기도 접근 전략
경기도 혁신기관 현황
구 분
(위치)
주요역할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광교테크노밸리)
경기도 과학기술정책 연구
산학연지원센터 운영
경기바이오센터 운영
과학기술정책 전략/기획/연구
중점
추진분야
경기도기술개발사업 지원
바이오 첨단 인프라장비 지원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구 분
(위치)
주요역할
중점
추진분야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나노소자특화팹센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광교테크노밸리)
(광교테크노밸리)
첨단 나노기술 지원기관으로
글로벌화 대응하는 융합기술
연구지원 기술정보 제공
연구 선도 및 네트워크 형성
첨단장비(팹) 활용지원
대학, 기업 공공기술개발을
통한 나노기술 제품화 추진 등
경기테크노파크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을 통해
융합산업의 활성화
산학 연계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경쟁력 선도
경기대진테크노파크
(광교테크노밸리)
(안산사이언스밸리)
(포천시)
창업기부터 중소기업 성장의
경기 서남부권 중심 산학연
산·학·연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전주기적 지원, 특화산업 지원
연계 및 허브 역할
경기북부 기술혁신 촉진
우수 첨단기술 사업화 지원
기업의 기술경영지원
녹색산업 “Green-All” 지원체제
통합 플랫폼 시스템운영
맞춤형 기업지원
신재생 에너지 제조기술 지원
기술경영 인력육성 지원 등
기술이전 및 사업화 지원 등
창업에서 글로벌 비즈니스까지
One-Stop 통합지원 정보 제공
경기북부 특화산업 지원
17
경기도 접근 전략
3. 산학연 협력지원 추진현황
경기도기술개발사업
전략산업
기술개발
기업주도
기술개발
산업기술사업
 경기도 산업정책목표에 맞추어 사전 기획된 전략과제
공공기술사업
 환경/보건/교통/복지 등 공공성이 높은 과제
산업혁신
클러스터사업
 경기도 지정 IICC가 공동으로 기획한 과제
연구비·과제 현황
구
분
 자유공모를 통한 단기 현장수요 중심의 기술개발 과제
기업개방형사업
(단위 : 억원, 개)
2008년
2009년
2010년
도지원금
138
190
(193)
민간부담금
152
181
총연구비
290
과제수
88
참여기관별 지원 현황
2008년
2009년
2010년
대학
36
25
13
(242)
연구소
28
13
5
371
(435)
기업
111
117
62
121
(91)
계
175
155
80
※ ( )안은 하반기 신규 사업 예상치 포함
구
분
(단위 : 개)
※ 2010년은 하반기 미정으로 불포함
18
경기도 접근 전략
“경기도기술개발사업” 주요성과
 짧은 사업기간에도 불구하고 기술개발을 통한 중소기업의 사업화 성과 다수 확보
 매출액 수억원 규모의 중소기업이 기술개발 사업화 성공으로 수백억원 매출 기회 확보
 유네코개발(주) : “다용도 복합 수 처리 기술
 지원효과 : 종업원수 5명, 평균매출액 20억원의 작은 기업이었으나
경기도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하여 R&D 성과 사업화 성공
 영업성과 : LH공사의 신기자재 인증과 함께 60여건 공사 수주계약
 향후매출 : 2010년 50억원 , 2013년까지 220억원
 인디링스(주) : 차세대 디지털기기 저장장치“SSD 콘트롤러”
지원효과 :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하여 대규모 시설 투자하였으나 반도체 경기
악화로 R&D 위축된 시기에 경기도기술개발사업 지원받아 사업화 성공
영업성과 : 2010년 상반기중 6억원 매출(시장 초기단계), 세계 시장 점유률 40%
 향후매출 : 2013년까지 180억원
 (주)하드램 : 미세정밀“레이저 스캔 용접시스템”최초 개발
 지원효과 : 경기도기술개발 사업 지원으로 신규제품 및 신규 R&D 추진 기회,
신제품 최초 개발로 사업화 성공
 영업성과 : 상용화로 2010년 상반기 10억원 매출
 향후매출 : 2013년까지 수출을 포함 125억원
19
경기도 접근 전략
GRRC(Gyeonggi Regional Research Center) 사업
 13개 대학, 1개 연구기관 등 14개 센터를 R&D Hub로 지정하여 운영 중
 원천기술연구개발, 지역산업 사업화 또는 응용기술개발, 기술인력 양성 등 센터별로 특성화
번호
기관명
센터명
비고
1
한경대학교
고품질친환경농축산물생산기술센터
안성시
2
경희대학교
영상정보 소재기술 연구센터
용인시
3
아주대학교
세포사멸조절 신약개발센터
수원시
4
전자부품연구원
지능형센서설계 및 소재공정연구센터
성남시
5
중앙대학교
농식품신소재개발센터
안성시
6
한양대학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연구센터
안산시
7
가톨릭대학교
생체의약선도분자연구센터
부천시
8
경기대학교
콘텐츠융합소프트웨어연구센터
수원시
9
한국외국어대학교
바이오산업용 단백질 연구센터
용인시
10
성균관대학교
친환경·에너지 자동차 부품소재 연구센터
수원시
11
한국항공대학교
차세대 방송미디어기술 연구센터
고양시
12
단국대학교
광 에너지 소재 연구센터
용인시
13
수원대학교
U-City 보안감시 기술협력센터
화성시
14
경원대학교
바이오나노센서 연구센터
성남시
20
경기도 접근 전략
사업예산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예산액
8
15
15
28
28
28
47
62
70
78
(억 원)
추진성과
 국내외 논문 1,055편, 특허출원 308건, 특허등록 85건, 제품개발 286건, 기술이전 234건
 박사 98명, 석사 578명 배출
※ 성공사례 : 참살이탁주(한경대)
 “고품질친환경농축산물생산기술센터” 한경대(학)와 글로벌외식사업단(산)이 협력하여 출시한 제품
 국내최초 친환경탁주 개발(‘07), “한식세계화 국제심포지엄” 공식 오찬주(‘09), 대한민국전통주품평회 금상(‘09)
학
GRRC(한경대)
글로벌외식사업단
양산 기술 지원
대중화 기술 지원
전통 주 제조법
산
21
Ⅲ. 향후 추진과제
경기도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의 기본구도
과제1. 소프트웨어 삼각벨트 육성
과제2. 과천을 교육∙과학∙연구 중심 도시로 조성
과제3. 경기도 지정 과학산업단지
과제4. 혁신클러스터 육성∙지원 기능 강화
과제5. 개방형 이노베이션 역량 강화
과제6. 수요자 중심의 인력양성 체제 구축
과제7. 수요∙공급 연계형 혁신네트워크 강화
과제8. 중앙정부와의 연계강화 및 투자유치
과제9. R&D투자 증대와 효율화
22
향후 추진과제
경기도 신성장동력 육성정책의 기본구도
 신성장동력 산업에 적합한 입지 공급
 선택과 집중을 통한 핵심사업 발굴
 선도주자 육성
 파크형 소형 클러스터 → 벨트형 대형 클러스터
입지정책
 중앙정부 투자 유치
R&D투자
신성장동력
육성정책
인력양성
 기존인력 재교육 프로그램 확대
 Open Innovation 역량 강화 교육
 기술 수요 공급간의 매칭서비스 제공
 수도권 및 광역권으로 네트워킹 확대
네트워킹
활성화
23
향후 추진과제
과제1. 소프트웨어 삼각벨트 육성
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이 집적화된 거점 지역을 구축 후 벨트로 확장
 성남·판교 중심, 안양·과천, 광교·수원을 핵심거점으로 네트워크 활성화
지식서비스 기업
(정보통신,
츠)교육·컨텐
글로벌기업, 선도
기업(게임, 컨텐츠)
판교 성남
과천지식정보타운
판교테크노밸리
광교테크노밸리
R&D·생산 기반기업
(모바일기기, 융합
SW)
 파크형 소형 클러스터에서 벨트형 대형 클러스터로 확대
 광교/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이 경계가 확정된 파크형 단지로는 집적효과 불충분
 파크형 단지를 거점으로 하되 주변으로 외연을 확장하여 대형 벨트화 지향
* 벨트형 클러스터의 예
서울디지털산업단지 : 지식기반서비스업 중심으로 2009년 11월 현재 9,493개 기업 입주
실리콘밸리 : 애플을 비롯한, 휴렛팩커드, 인텔, 페어차일드, 텐덤 등 4천여개 기업이 입지
24
과제2. 과천을 교육∙과학∙연구 중심 도시로 조성
향후 추진과제
 서울 인접, 교통편의성, 주변에 서울대, LG연구소 등 최우수 교육/연구기관, 쾌적한 주변환경
 유치 산업분야 :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사업서비스, 교육/문화 콘텐츠 등 지식기반 서비스업
 정부종합청사 세종시 이전에 따른 부지 활용 가능
고용효과 53,000명
고부가가치 산업 거점화
• 교육, 과학기술, 연구개발의 산실
•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및 R&D 허브
• 지속 가능한 녹색 친환경 도시
25
과제3. 경기도 지정 과학산업단지 추진
향후 추진과제
경기도 산업기술혁신을 선도할 지역거점 조성
 연구개발, 네트워킹, 생산, 마케팅 등이 함께 하는 복합R&DB단지 지향
 단지 조성은 시·군이, 경기도는 이를 지원하되 기술혁신 역량 우수 지역을 우선 지정 검토
진행 중 연구단지
조성계획 연구단지
경기도 주도 연구단지
조성완료 연구단지
26
과제4. 혁신클러스터 육성∙지원 기능 강화
향후 추진과제
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은 전주기적 관리가 핵심
 단지 조성부터 기술개발, 사업화 등 전주기적 기술혁신이 가능하도록 지원 필요
 개별 기관/기업이 아닌 단지 전체의 통합 지원 기능 강화
 전체 단지 차원의 홍보, 마케팅, 인프라 조성 등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전
략
적
연
계
성
전략적 클러스터
혁신지원
전담관리
• 도 혁신정책/전략과 연계성 강화
• 타 혁신거점과 네트워킹 강화
• 글로벌 혁신클러스터화
• 클러스터 전담관리
• 입주기업 체계적 관리
단지구축
클러스터의 진화
27
향후 추진과제
혁신클러스터의 전략적 운영·관리
 혁신클러스터 운영·관리의 시스템화
 개별입주기관이 아니라 단지 전체 차원에서 전담관리 조직을 통한 통합관리
 혁신클러스터 조성과 운영 전반에 경기도 정책 방향 및 의지를 반영
 단지의 글로벌화 추진 및 타 혁신거점과 네트워킹
 판교테크노밸리
 계획된 통합 운영·관리 체계인 “판교공공지원센터” 운영조직을 조기 추진
 판교테크노밸리의 홍보, 마케팅, 인프라 조성 등의 사업을 판교밸리 조성과 병행
 판교가 글로벌 R&D 허브로 발전하도록 핵심 역할 담당
 광교테크노밸리
 단지 조성 1단계(4개 혁신기관 건립구축) 완료 이후에도 통합관리 체계 구축 미비
 광교테크노밸리의 잠재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홍보, 마케팅 등 소프트웨어형 관리 기능 강화 추진
28
과제5. 개방형 이노베이션 역량 강화
향후 추진과제
MOT(기술경영) 교육 프로그램 신설
 기술사업화 역량이 취약한 도내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의 연구개발성과 사업화 프로세스와 연계한 융합기술사업화 과정
 IICC(산업혁신클러스터협의회)와 연계하여 경기도 산업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
 예: 경기북부 섬유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섬유기술경영전공』
이노베이션 코칭(Innovation Coaching) 프로그램 도입
 단순 문제해결 컨설팅이 아닌 창의적 혁신역량 루틴화를 통한 혁신체질 강화
 취약한 중소기업 연구개발 성과의 획기적 증대를 통한 중견기업 육성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양성
 『산(産)』 과 『학(學)』의 특성을 동시에 이해하고 관련 전문지식을 갖춘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양성
 효율적 산학연계 능력을 갖춘 인적 자원 확보
 산학협력 실무담당자 교육을 통해 산학협력사업의 효율성 제고
29
과제6. 수요자 중심의 인력양성 체제 구축
향후 추진과제
중소기업 연구인력 절대 부족
 도내 기업연구소의 94.5%인 중소기업 연구원 비중(48%)은 전국(60.1%) 보다 낮은 실정
 이공계 대학원생 비율도 경기도 산업수준에 비해 크게 저조
중소기업 연구인력의 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확충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경기도 연구인력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통합 조정
 산학연지원센터 : 산학협력 및 성과확산을 위한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양성
 경기바이오센터 : 전문교육 및 세미나를 통해 바이오 분야 연구 인력 양성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 융∙복합 산업 분야 인력 양성
 나노소자특화팹센터 : 정기∙비 정기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나노 분야 연구인력 양성
 경기테크노파크 : 창업교육 및 IT전문인력 양성교육
전주기적 인력활용 시스템 구축
 우수 퇴직인력 및 미취업 이공계 인력을 도내 중소기업과 연계하기 위한 DB 구축
 경기도 산업 맞춤형 이공계 대학(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이공계 대학(원)생 일자리 창출 및
만성적 중소기업 고급 연구개발인력 부족 완화
30
과제7. 수요•공급 연계형 혁신네트워크 강화
향후 추진과제
혁신 수요자(기업)와 공급자(대학교, 연구기관)의 연계협력 네트워크 강화
 주요 혁신기관과 대학, 기업 등을 연계하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
 기술/경영 지식 교류, 기술지원 및 사업화 공동 추진
31
향후 추진과제
13개 주력 분야에서 IICC(산업혁신클러스터협의회) 구성 운영 중
 협의회 별로 연계협력 촉진 및 공동과제 발굴을 위한 교류 프로그램 운영 (IICC당 1천2백만원(’10년))
연천
• 섬유소재 IICC(한국섬유소재연구소)
• IMT IICC(부천산업진흥재단)
• 패키징 IICC(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포
• 신재생에너지 IICC(경기대진TP)
동두천
파주
포천
가평
양주
• 가구 IICC(경기중기센터 북부지소)
의정부
고양
• PCB IICC(한국산업기술대학교)
광
• 자동차부품 IICC(경기공업대학) 부천명
과천 성남
시흥 안양 의
군포
왕
안산
수원
• 로봇 IICC(경기TP)
• 의료기기 IICC(한국전기연구원)
• IT모바일 IICC(성남산업진흥재단)
구 남양주
리 하
남
화성
평택
오
산
양평
광주
여주
용인
이천
안성
• 제약 IICC(경기바이오센터)
• 나노 IICC(나노소자특화팹센터)
• 바이오신소재 IICC
(경희대 피부생명 공학센터)
32
과제8. 중앙정부와의 연계강화 및 투자유치
향후 추진과제
1) 경기도의 Seed 투자로 중앙정부의 R&D 투자 유치
2) 경기도 주도로 R&D사업을 기획하여 중앙정부의 역매칭 유도
3) 중앙정부 신성장동력 추진의 Test-bed로 경기도 활용 제안
사례1 . 글로벌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교과부) 투자 유치
 경기도는 게놈정보 상용화를 위해 R&D지원 - “게놈상용화 지원사업”
 주관기관(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선정, 향후 ’13년까지 총 70억원 지원
 게놈정보를 활용한 약물검색 기술과 질환모델 구축의 필요성을 중앙정부에 제안(‘09~’10)
고효율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제안
 중앙정부 “2010년 글로벌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투자 유치(‘10.8.3)
 “R&D과제 : 혁신형 의약바이오 컨버젼스 기술”의 주관기관(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선정
 향후 년간 100~300억 원씩 9년간 총 1,500억원의 R&D사업 투자 유치
33
향후 추진과제
사례2 .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지경부) 투자 유치
 경기도는 ’06년부터 IMT광역클러스터 추진 준비
 수도권을 중심으로 IMT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협력체계 구축
 서울대, 연세대 등 수도권 5개 대학을 중심으로 IMT-R&BD사업단 설립(’08.12)
수도권 IMT산업협의회 MOU 체결(’09.8)
 광역경제권 연계협력사업(지경부)에 “IMT산업 혁신클러스터 육성 사업”을 제안/ 최종선정(‘10.7)
 수도권-동남권이 연계한 IMT산업 혁신클러스터 육성 사업을 제안하여 국비 30억원 지원 확정
 경기도가 주도하여 서울시, 인천시, 창원시 등 4개 지자체의 지방비 13억원 출자 유도
사례3 . u-Transportation사업(국토해양부)의 Test-bed로 경기도 선정
 경기도를 “수도권 버스정보 연계시스템 구축사업”의 주관 지자체로 선정
 국토해양부가 권역단위 광역 BIS(버스정보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는 사업
 경기도는 22개 지자체로 BIS 확대 시 국토부의 BMS센터 통합을 위한 Test-bed 역할
 남양주시는 BIS사업의 세부사업인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구축사업”의 사업자로 선정
 전도로의 교통지능화를 통한 저탄소 녹색 도시 건설 추진을 목적, 사업비(26억원)
 “도시부 간선도로 첨단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사업(’09)”
※ 타 지역 사례 : 광주광역시 ‘빛(Laser, LED)산업’, 서울특별시 ‘LED 조명산업
34
과제9. R&D투자 증대와 효율화
향후 추진과제
도 예산대비 경기도 과학기술 투자 확대
 S/W 투자(기술개발)가 증가하였으나 H/W 투자(기반구축) 감소로 2009년, 2010년 R&D예산 총액 감소
(단위 : 억원, %)
35
향후 추진과제
타 지자체의 경우 과학기술 예산 비중이 꾸준히 증가 중
 울산, 경북, 충북 등은 과학기술 예산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경기도는 2006년 이후 감소 추세
(단위 : %)
※ 출처: 2009 지방과학기술연감, 경기도 자료는 내부데이터 활용
36
향후 추진과제
중국∙독일도 과학기술 투자에 매우 적극적
 중국 ∙ 독일의 지자체 R&D투자가 경기도보다 높은 수준
 상해는 5.11%,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RW) 4.5% 등 연구개발을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
(단위 : 억원, %)
구 분
총예산(A)
경기도
상 해
북경시
NRW주
가나가와현
13조 198억원 38조 490억원 22조 4,281억원 82조5,532억원 22조 1,609억원
R&D예산(B)
1,874억원
1조 9,462억원
1조 452억원
3조7,310억원
2,299억원
총예산대비
R&D예산 (B/A)
1.42%
5.11%
4.66%
4.5%
1.03%
(환율 : 1 Yuan=172.58원, 일본 1엔=13.7원, 1 Euro=1,550원)
※ 출처: 2007 중국과학기술통계데이터(중국과학기술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정부 통계테이더
37
향후 추진과제
신성장동력, 경기도가 선도하고 대한민국이 발전한다
 신성장동력 산업 태동은 혁신역량이 높은 경기도에서 시작하고
 성장기에는 경기·수도권 지역으로 확장되며, 전국으로 확산이 시작
 성숙기에는 전국으로 확산되어 국가 전체적으로 파급효과
지역
전국 확산
전 국
일부지역
수도권
일부지역
수도권
수도권
태동기
수도권
성장기
성숙기
신성장동력의
Life-cycle
38
감사합니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