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및 발전 방향
Download
Report
Transcript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및 발전 방향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및 발전 방향
사)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회 장 추 용
I.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진행 경과
◦ ’94년부터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정책이 수립된 이후 10 여 년에 걸쳐 많은 시
행착오를 거치면서 분리 배출, 수집·운반 및 처리에 대한 자원과 체계가 정립되었으
며, 지자체별로 공공 혹은 민간에 의한 자원화 시설의 설치 등이 활발히 추진 되었음.
◦
대도시 지역의 지자체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설의 건립이 한계에
부딪치면서 시작된 민간 업계의 참여는 초기 양돈 농가에서 배합사료를 대체하기
위한 습식 사료를 시작으로 10 여 년에 걸쳐 기술 개발 및 사업 영역이 구축되었음.
◦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자원화 시설은 220 개소(시설검사 통과된 곳 기준)이
며, 이중 민간 시설이 146개소 이며, 전체 민간시설 처리용량은 9,184톤/일 로 대부
분 사료화·퇴비화 위주로 처리되고 있음.
I. 자원화 사업 현황
진행 경과
◦ 2005년부터는 직매립이 금지되었고, 올해부터 처리 시설에 대한 정기검사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처리 시설의 설치·운영에서의 표준화, 계량화, 합리화
가 요구되어 지고 있음.
◦
또한, 2007년부터는 해양오염방지법 개정 등에 따른 음식물류 탈리액 처리
도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고 있음.
◦ 그간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왔으며, 수집·운반 체계 및 처리기술에 대한 인프라가 구
축 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직시한 관련인
들의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라 할 수 있음.
I.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음식물류 폐기물 1일 발생량은 13,028톤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약 25%를 차지
'04년도의 1일 발생량(11,424톤) 대비 약 13.6% 증가 ('05년말 추정치)
단위 : 톤/일
구분
'98
'99
'00
'01
'02
'03
'04
‘05
(추정치)
발생량
(%)
11,789
(▽9.8)
11,577
(▽1.9)
11,434
(▽1.2)
11,237
(▽1.7)
11,397
(1.4)
11,398
(-)
11,424
(0.2)
13,028
(13.6)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량
'95년 종량제제도 실시 이후 ‘05.1월 직매립금지 실시 등으로 분리수거율은 대폭 개선되어 '05말 현재 96.6%
전국 발생량 13,028톤/일 중 재활용 12,215톤/일(93.8%), 매립 333톤/일(2.5%), 소각 480톤/일(3.7%) 으로
처리 ('05년 말 추정치)
- 매립량 : ʹ04년 1,607톤/일 → ʹ05년 257톤/일 으로 감소
단위 : 톤/일
구분
계
매립
소각
재활용
전 국
13,028
333 (2.5%)
480 (3.7%)
12,215 (93.8%)
시 지역
12,255
76 (0.6%)
451 (3.7%)
11,728 (95.7%)
군 지역
773
257 (33.2%)
29 (3.8%)
487
(63.0%)
I.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 설치 운영현황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은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을 합하여 256개소로 시설용량은 13,364톤/일 ('05년말 기준)
※ '06. 10 환경부 발표자료
단위 : 톤/일
구분
시 설 수(개소)
시설용량
처리량
생산량
가동률
계
256
13,364
9,928
3,022
74%
공공
90
4,198
3,839
664
91%
민간
166
9,166
6,089
2,358
66%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 현황>
(단위 : 개소, 톤/일)
구분
'97
'98
'99
'00
'01
'02
'03
'04
‘05
계
46
(1,076)
167
(3,178)
231
(4,228)
233
(5,195)
225
(5,671)
249
(8,575)
262
(9,815)
253
(11,232)
256
(13,364)
공공
32
(547)
50
(1,007)
73
(1,223)
80
(1,905)
81
(2,099)
80
(2,598)
80
(2,945)
85
(3,239)
90
(4,198)
민간
14
(529)
117
(2,171)
158
(3,005)
153
(3,290)
144
(3,572)
169
(5,977)
182
(6,870)
168
(7,993)
166
(9,166)
◦ 256개 처리시설 중 가동중단시설은 13개소이며, 가동률(처리량/시설용량)은 74%임
- 공공시설은 90개(가동률 91%), 민간시설 158개(가동률 66%)
◦ 발생되는 음식물폐기물은 ‘05년말 현재 가동 중인 시설용량(13,088톤/일)으로 처리가능
I.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현황
□ 이용되고 있는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방식의 예
이물질 흐름
음식물류 폐기물발생
악취 발생
폐수발생
자원화 시설 반입
전처리시설
자원화 제품
파봉·파쇄·선별
폐수발생
악취발생
탈수시설
이물질 발생
멸균
혼합시설
미분쇄
혼합시설
건조 및 혼합
건조시설
산발효
1차발효
선별/저장
발효/후숙
메탄발효
지렁이 사육
포장시설
선별
저장
선별포장
포장설비
발전
퇴비화시설
혐기성소화 및
하수병합
사료화시설
지렁이사육
◦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기술은 10여 년간 꾸준힌 발전하여 왔음.
- 전기 : 가정용 처리기기, 업소용, 감량기기 등으로 시작
- 현재 : 사료화, 퇴비화, 하수병합처리, Bio-Gas화, 탄화처리, 지렁이 사육,버섯재배 등
◦ 각 방법 별로 장단점이 있으며, 처리 방법은 시설설치 지역의 여건에 따라 선처리 되어져야
하며 처리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 하고 있음.(현재는 사료화, 퇴비화가 보편적임)
2.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 문제점<해결과제>
□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사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
◦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사업이 짧은 기간에 양적으로 발전 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자원화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었고, 이로 인하여 시설의 가동율이 중단되고, 철거되
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
제품화 되지 않은 음식물류 폐기물이 일부에서 다시 매립하거나 사료 또는 퇴비로
이용되어 실패하는 사례가 발생되었으며,
◦
이러한 내용이 언론 매체를 통하여 보도되면서 음식물류 폐기물이 자원으로서 가
치가 없는 것으로 왜곡되었음.
◦
품질 기준의 미비
2.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문제점<해결과제>
□ 자원의 우수성에 대한 이해 부족 <제도적 보완 미비>
◦
음식물류 폐기물로 제조된 제품을 많은 부산물 퇴비장에서 원료로 공
급 받아 사용하고 있고, 그 품질의 우수성에 대하여 인식을 함께하고 있
으나, 사회의 부정적 시각 때문에 원료사용 표기를 꺼리는 등 문제 발생.
◦
최근, 농협중앙회 등에서 유기질 비료 우수브랜드 지정을 하면서 “음식
물 찌꺼기 사용금지” 라는 기준을 명시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임.
◦
“음식물 찌꺼기 사용금지” 보다는 성분 분석을 통한 품질 기준을 두어
야 할 것임.
2.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문제점<해결과제>
□ 탈리액 처리에 따른 문제점
◦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탈리액은 대다수 자원화 시설에서 해양배
출 하여 왔으며, 이러한 결과는 ’92년부터 해양배출을 허용하면서 처리 비용이 싼 해
양배출을 선호 하면서 발생 되었음.
◦
최근 이에 대해 음식물류 폐기물을 비정상적으로 또는 부도덕하게 처리 하였다는
비판이 있지만, 이는 법이 정해준 범위 안에서 경제적 논리에 따라 진행되어온 결과
라고 판단됨.
◦ 2007년부터는 음식물류 탈리액에 대한 해양배출이 함수율 95%로 규제되고, 점차적
으로 쿼터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어 육상에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고 있으며, 해양배출은 감소할 것으로 보임.
3.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발전방향
□ 유기적 시스템 구축
◦ 개별 자원화 시설은 입지적 특성, 시설규모의 한계, 사용 원료의 한계로 양질의 사료나,퇴비를 생산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음
◦ 개별 자원화 시설에서는 일정 품질의 원료(사료,퇴비 등)만 생산하고 생산된 원료를 재제조 공동 자
원화 사업장에서 양질의 자원화 제품을 생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필요가 있음 .
자원 순환형 유기적 system
정부 및 지자체
◦
◦
◦
◦
◦
수거체계구축
분리배출
주민홍보
수집, 운반
단위정책 수립
자원화시설(민간·공공)
재제조 공동 자원화 시설
농가·축산농가·농협
◦ 원료가공
- 이물질 선별
- 분쇄,탈수,건조등
- 품질 기준 준수
◦ 2차 오염물질 처리
- 이물질
- 악취
- 탈리액 등
◦ 완전한 자원화 실현
◦ 퇴비
- G·R인증
- 유기질 비료 생산
- 부산물 비료 생산
- 한국토양에 맞는 맞춤
비료 생산
◦ 사료
- 배합사료 제조
- 사료관리법 등 준수
◦ 철저한 품질 검사
◦ 자원화 제품 우선구매
- 농업 경쟁력 확보
- 경작토양보전
- 기타 등등
3.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발전방향
□ 음식물류 폐기물 탈리액 처리 방안
◦ 해양배출
육상처리
◦ 수도권매립지 탈리액 처리시설 활용(진행사항) ’97년 7월 부터
◦ 함수율 95% 준수를 위한 노력 (기술 개발 중, 시연회 등 개최)
◦ 하수연계처리 (가능한 지자체부터 협조 요청)
◦ 탈리액을 이용한 Bio – Gas화를 통한 에너지화 추진
3.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발전방향
□ 유기적 Net – werk를 통한 기대 효과
현재
제품의 활용기반 결여
- 재활용품 인식부족
- 제품 수요처 부족
품질 경쟁력 열악
- 분리배출
(이물질 함유)
- 사업의 영세성 및
전문인력 부족
가격경쟁력 결여
개선 추진 내용
제품수요 체계 확보
•제품의 안정성 확보(사료·퇴비관리법 준수) 및
품질향상
•양질의 배합사료 생산
•양질의 퇴비 생산
철저한 품질관리
•자동화 시스템으로 이물질 선별
•멸균처리, 제품의 과열방지,
제품의 입자도 조절 및 수분함수율 유지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품질향상
•원료의 성상분석 및 안정적인 자원화 제품
제조시스템 구축
품질향상으로 가격경쟁력 확보
•저렴하면서도 질 좋은 제품을 생산하여 농가에
공급함으로써 농업 경쟁력을 키워준다.
3.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발전방향
□ 유기적 System 구축의 당위성
현재 2005년 1월1일부터 남은음식물의 직매립 금지법이 공표됨에 따라 남은음식물의 안전한
처리 즉, 모든 물량의 자원화가 매우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그로 인해 직매립금지에 대한
대비와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많은 대안들이 운영되었고, 정부에서도 남은음식물 감량화와 재
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결과 재활용율을 현재 60%수준까지 높였다.
그러나 일부분 민간 시설운영업체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퇴비, 사료 시설 등이 악취발생, 잦은
고장, 공급업체부도, 관리부족 등으로 투자된 시설이 가동 중단되거나 방치되어 또 다른 환경오
염과 경제적 손실원인으로 자원화사업에 대한 비판이 가해지면서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사업
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 민간이나 공공부문 관련부서에서 남은음식물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새로운 투자와 기
술연구를 반복해 왔다. 그럼으로써 남은음식물 자원화가 실패할 수 밖에 없었던 중요한 원인과
경험을 터득하였고, 이제 지난날의 경험과 새로운 기술의 보완으로 친환경적인 남은음식물의 유
기적인 순환체계를 구축하여야 하는 교훈을 얻었다.
3.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발전방향
유기적 system 구축에 따른 최종 목표
친환경적 남은음식물 순환체계 구축
High Quality
System
Proven solution
환경오염 없이 남은음식물
처리
부가가치 높은
사료 생산
유기질비료(퇴비)
원료 생산
성공전략
검증된 자원화 기술 적용
전문가로 구성된 공공 및 민간 사업팀
4. 결론
□ 자원화 사업 성공을 위한 각 주체별 역할
영양자원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단지 순환되어지는 것으로 친환경적인 자원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연생태계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인 것이다. 점차 유기적인 농·축산업이 선진국으로부터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법률적인 뒷받침과 함께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윤이 감
소한다는 이유 때문에 친환경적인 농·축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
지 않다. 남은음식물은 자연환경에 직접 배출될 경우 생태계에 심각한 오염을 유발하
는 부정적인 물질이지만 자원의 선순환 체계에 적정하게 가공하여 공급되면 선순환자
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최종 목표가 될 것이다.
4. 결론
남은 음식물 자원의 순환
최고의 품질로
양질의
자원 획득
최대의
가치제공
철저한 분리배출
환경의식 고취
처리방법
건조
사료화
정부 · 지자체
남은 음식물
분리 수거
순환가치
획득
부가가치
창출
무항생제
양돈사료
생산
농가공급
양질의
돈육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