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초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두 흐름
Download
Report
Transcript 1960년대 초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두 흐름
1960년대 초 한국의 경제개발 전략에서
기술정책의 채택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세미나
2012년 2월 22일
홍성주 (STEPI)
목차
1. 연구의 질문, 선행연구, 방법
2. 선행연구 검토와 본 연구의 방법
3. 前史: 195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 상황
4. 1960년대 초 경제개발전략에서 기술정책의 채택
5.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의 질문, 관점, 주장
• 국가의 성장, 경제개발과 과학기술 발전의 관계에 대한 의문
질문
• 60년대 한국에서 ‘과학기술’이 중요해지는 대내외적 환경과 조건은? 당
대의 맥락에서 경제개발과 과학기술 사이에 관련은?
• 과학기술사, STS(과학기술학, 과학기술과 사회연구)의 흐름 중 비교과
선행
연구
학사 연구 (Solingen, 1993)
• 혁신체제 연구 흐름 중 국가혁신체제론(Lundvall, 1988, 2007)과 개도
국의 기술발전론(김인수, 1979; 이근·임채성, 2001)
본
연구
관점
• ‘국가’의 시선에서 60년대 한국 경제와 과학기술의 관계를 조망
• 경제-과학기술을 연결시키는 의제형성, 의사결정이 작동하는 구조, 주체에 대한 연구
• 특히, ‘개발국가’ 이전의 ‘원조의존 국가’의 시선으로 탐구
• ‘과학기술자 사회’의 형성 측면 – 집단적 담론(의식), 행동(국가에의 대
응), 정체성, 특성…
2. 선행연구 검토 1) STS, 비교과학사
과학기술 발전의 본질에 대한 문제제기
• 과학의 내적 발전론 : <과학혁명의 구조> (Kuhn, 1962)의 Paradigm Shift
• 과학기술과 사회? 이 중 비교과학사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 과학기술
이 그 나라가 처한 국제적 환경과 국내적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 형성
국가 과학기술
• 국가는 과학기술활동의 주요 후원자이자, 연구영역을 제한하는 등의 관리자
• 과학기술자 상당수가 국가기관에 고용되고, 국가 R&D 사업에 참여할 기회를
가지며, 국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보상과 인정을 받음
• 자유주의 가치가 팽배한 국가에서 조차 과학기술만큼은 국가에 의존적!
국내외 변수가 과학기술에 미치는 영향
• 대외적 환경과 국내 정치경제 구조가 그 나라 과학기술의 규모와 특성에 영향
• 기초와 응용연구의 배분/분야 선택에 관여하는 정도
• 어느 곳(대학, 공공기관, 민간기관)을 국가의 성장엔진으로 삼을 것인가
• 과학기술자 고용 및 보상의 패턴과 인력 유동성…
참고) 각국의 정치경제구조를 이해하는 관점
정치경제 구조에 따른 국가 분류 (Lindblom, 1977)
정치체제
구분
경제
구조
Pluralist
다원주의/자유민주주의
Noncompetitive
비경쟁적 정치체제/독재, 권위주의, 군
사정부
Market-oriented
시장 지향형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한국(1993-)
브라질(-1985), 한국(-1993)
이집트/튀니지 등 아프리카 주요국
중국(1978-)
Centrally-planned
중앙 계획형
인도
이스라엘
북한, 소련(-1988), 중국(-1970s)
경제체제에 따른 국가 분류 (Chalmers Johnson, 1982)
Market-rational
Plan-rational
Centrally-planned
국가
미국, 시장경제
일본, 개발국가
구)소련, 사회주의
특징
국가는 규제정책 위주
민간부문은 시장에 의해 작동
의회의 정책결정기능 강함
국가가 특정 부문의 발전을
전략적으로 선정/지원
다만, 국가개입은 수단으로
서만 기능
생산수단 국유화
국가계획은 그 자체로 완결성
을 지니는 목표이자 귀결점
정치경제와 과학기술의 관계(Solingen, 1993에서 재작성)
국가
대외적 환경
국내 정치경제 구조
과학기술의 일반적 특징
미국
High security
High economic
Pluralist
Market-oriented
(market-rational)
국방 R&D 비중 큼
비국방 공공 R&D 활발(국가 개입은 비교적 작음)
민간 R&D 활발(연구의 상업화 빠름)
프랑스
한국(현)
High security
High economic
Pluralist
Market-oriented
(plan-rational)
국방 R&D 비중 큼
공공 R&D에 대한 국가의 개입 큰 편
민간 R&D도 활발
일본
Low security
High economic
Pluralist
Market-oriented
(plan-rational)
민간 R&D 비중이 큼
국가정책이 민간/공공 R&D에 미치는 영향 큼
구 소련
구 중국
High security
Low economic
Noncompetitive
Centrally-planned
국방 R&D 비중 큼
공공 R&D (연구 상업화 시차 큼)
브라질
(6-70s)
Low security
Low economic
Noncompetitive
Market-oriented
(plan-rational)
대부분 공공 R&D
민간 R&D 취약
산업과 공공연구기관의 연결고리 약함
한국
(6-80s)
중국(현)
High security
High economic
Noncompetitive
Market-oriented
(plan-rational)
국방 R&D 비중 큼
국가 주도의 공공 R&D
민간 R&D 증가 추세
하지만, 이러한 거시적 변수만 가지고는…
정태적 Taxonomy에 그침!, 그렇다면 Dynamism은 어디서 찾아야 하나?
2. 선행연구 검토 2) 혁신체제론
국가와 경제의 성장, 경쟁력의 원천은?
• NIS의 시각: “the Core + the Wider Setting”,
기업(산업)의 혁신활동은 그 기업(산업)을 둘
러싼 국가적 조건들, 즉 금융, 노동, 교육, 시장,
지재권, 법체계, 복지체계 등의 영향을 받는다
(Lundvall, 1988, 2007) ‘Learning Economy’
Dynamism의 비밀 : 개발도상국 기술발전
• 김인수·이진주 모델: 기술도입 및 구현 도
입기술 소화 개선 기술창출
• M.E. Porter(1998, 2005)의 경제발전 단계 : 요
소주도형, 투자주도형, 혁신주도형
• 이근 모델 : ‘추격의 경제학’
그렇다면, 국가는?
당초의 질문이 풀리는가?
2-3) 본 연구의 관점과 대상
비어있는 연구 영역
• Lundvall이 ‘the Wider Setting’으로 구분한 국가, 사회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
• Solingen이 남겨놓은 국가적 조건에 따라 과학기술이 결정되는 양식과 그 변화
‘국가’의 시선
• 선행 연구들이 ‘국가혁신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국가, 또는 개발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춘 ‘개발 국가’의 시선으로 보았다면,
• 본 연구는 개발 이전단계의 국가, 한국의 경우 ‘원조의존 국가’ 단계에서 시작
• 국가가 처한 상황과 조건에서 나타나는 특정 문제(경제-기술 문제)의 포착, 그
문제를 둘러싼 의제, 대안의 형성, 의사결정체계, 정책수단의 선택 등을 분석
사회적 수용성, 사회 역량
• 국가적 조건, 특정 의제와 의사결정에 ‘사회’가 반응, 대응, 참여하는 양식
• 특히, 국가의 기술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동시에 과학기술자 사회에 형성되는
지배적 담론과 의식, 정체성, 사회적 지위 변화를 추적
3. 前史: 195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 상황
국제적인 환경의 영향
• 냉전체제와 군사경쟁 심화, 분단국가로서 한국은 미소 군사경쟁의 영향 받음
• 국제전 성격의 6.25전쟁 발발
• 한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이 상당한 상황 (미 원조기구, 미군을 통해)
국내 정치경제 상황
• 이승만 정부는 국가재정을 미국의 원조에 전적으로 의존, 내정의 의사결정권
취약 (이승만을 두고, 외교에는 귀신, 내치에는 …)
• 전쟁과 전후 복구기간 주요 국정 관심사는 국방, 농림수산 분야
• 원조의존 경제 : 삼백산업 중심의 산업구조, 미약한 시장경제 작동
과학기술과 혁신
• 국공립 연구기관들(주로 농림계, 식민지 유산) & 국방부 과학연구소(‘50 설립)
• 과학기술계 대학 중심으로 고급 과학기술자 분포하나, 영세한 연구환경
• 과학기술 활동이 혁신으로 이어질 연계고리 취약
• 이 당시 스타 과학자? (
)
• NIS 관점에서 보자면, core와 setting 모두 취약한 원시적 단계, Unformed NIS
변화의 바람~
국제적 차원
• 냉전 지속
• 대미 의존도 여전
• 국제시장 경쟁력 취약
미국의 대한
무상원조감축
• 내자비축/외화확보
• 산업사회로의 전환 모색
• 정부의 강력한 자립 정책 추진 예고
국가 차원
• 과학기술은 대외의존도를 낮추고, 경제자
립 및 산업사회로의 이행을 이루는 수단
• 도구적 관념 강화
과학기술계
4. 60년대 초 경제개발전략에서 기술정책의 채택
1) 변화의 시작, ‘의제’의 부상
국제적인 환경
• 미국의 상호안전법 개정(‘57), 군사원조는 증여, 경제원조는 차관방식으로 분리
• 미국의 대외 무상원조 감축 미국의 대한(對韓) 경제원조 감축 예정
국내 정치경제
• 정치사회적 변화
•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하야, 장면 민주당 정부 수립(다원주의 실험)
• 1961년 5.16으로 박정희 군사정부 등장(비경쟁적 정치체제로 환원)
• 국가적 문제의 부상 : 한국경제 및 국가재정의 원조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과업
내자 비축, 외화 확보 뭔가를 만들어 팔아야 함 공업화!
• 이승만 정부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1960 “경제개발 3개년계획, 1960~1962” : 기존의
농림수산업 중심 정책에서, 그와 더불어 광업, 제조업, 건설업, 교통, 전력 등 공업 확대 구
상
• 2공화국 장면 내각, 1961 “경제개발 5개년계획” : 전략부문으로 전력, 석탄, 비료, 시멘트,
화학섬유, 정유, 철강, 농업 채택
국가적 의제의 명료화 :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의 이행!
박정희 군사정부, 1961 “경제개발 5개년계획”
참고)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업화 전략
4. 2) 국가적 의제(공업화)에 대한 ‘사회’의 반응
‘과학기술계’의 형성
• 1959년 원자력연구소(원자력원) 설립 후, ‘원자력학술회’의 결성
• 원자력학술회의는 과학기술계 대학, 학회, 연구기관 + 경성전기 등 공업계 일부,
내무부 토목국 등 관료계를 대표하는 600여 과학기술자 모임 (핵심은 10여명)
• 그 외 공업기술계 인사들의 결집이 두드러짐 (한국 산업기술인 구락부)
• 이러한 그룹들은, 과학기술이 자립적 경제발전, 공업화의 주요 수단임을 강조
도구적 과학기술 담론 강화
예) 1960 한국과학기술진흥협회 결성
• 원자력학술회의를 계승한 한국과학기술진흥협회 결성
• 대정부 “건의문” 제출
• 종합적인 원자력정책 수립 (실상은, 과학기술 진흥정책)
• 과학기술진흥법 제정
• 대학과 연구소에 대한 연구비 지원
예) 한국산업기술인 구락부
• 1960년 오원철, 박승엽, 주리회 등 산업기술인 중심으로 결성된 그룹 (10여 명)
• 당시 상공부와 연계되어 상공정책 수립에 영향
참고) 한국산업기술인 구락부(‘60-61)
4. 3) 대안과 의사결정구조의 형성(A) 재건회의-문교부-과학기술계 교수들
국가재건최고회의, “과학기술의 종합관리”안
• “과학기술의 종합관리” 주장: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수십억 불의 자재와 기술을
원조받으면서도 경제재건을 이루지 못한 까닭을 과학기술의 부족에서 찾음
• 과학기술 의제가 국정 논의의 하나로 진입
• 누가 주도? 문교사회위원회 위원장 홍종철 : 1950년 육사8기, 미 육군포병학교,
제9사단 포병대령, 5.16 이후 교육정책가, 문교부 장관
• 50년대 한국 사관학교 교육: 과학기술교육이 비교적 충실 (이학사 학위 취득)
‘과학기술원’ 체제 설계(’61)
• 홍종철 등 군인관료+ 권녕대 등 과학기술계 교수들
• 과학기술원 중심의 연구 및 행정체계 설계
• 과학기술원은 기초, 응용, 개발의 전 과정을 포괄한 연구소이자 중앙행정기구
• 기존의 국공립 연구기관은 산업발전을 위한 시험연구 기관으로 역할 분리
하지만, 경제기획원의 반대로 무산
• 과학기술과 경제, 국가 발전 사이에 상관성이 강하다고 인식하는 분위기는 조
성되었으나, 담론/의제 차원에서 그 관계의 명확성을 짚어내는 데는 한계
4. 4) 대안과 의사결정구조의 형성(B) 경제기구의 기술정책관료들
미국의 대한(對韓) 기술원조 정책에 문제제기
• 미국과의 기술협정 성격: SH&G가 한국의 경제, 산업 부문의 기술용역 총괄
• 사업계획작성부터, 기술타당성 검토, 설계, 시설품목선정, 공사 진척상황 점검,
시설관리유지에 필요한 기술훈련, 완공 후 시험가동까지...
• 한국인 관료들의 문제제기
• SH&G, “구성인원이 일류기술자가 아니었고, 단일회사가 산업 전 부문의 기술
조사를 수행한 관계로 신빙성있는 전문적인 것이 되지 못하였다.”
• 미국의 대한(對韓) 기술원조는 지나치게 “Buy American Policy”
• 미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 효과 미미하다!
•기술정책 관료들의 대안은,
- ‘연구소’가 아니라, 기술원
조 자금의 한국적 활용
- 하지만 미 원조당국의 반
대로 무산됨
- 그럼 다음은?
하지만, 미 원조당국은 한국의 상기 요청에 반대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추진 차질
4. 5) 경제개발을 위한 기술정책 및 그 추진체계의 형성
• 경제기획원은 1962년 제1차 기술진흥 5개년계획 수립
• 기술진흥계획에 따라 1962년 기술관리국 설치 (초대국장 전상근)
• 기술관리국을 중심으로 기술진흥5개년계획 추진 (부처간 종합조정 계획의 성격)
• 그 중 문교부가 고등, 중등 교육에서 과학기술교육 강화
이 계획의 성격
• 이 계획은, 의사결정구조
의 두 축을 이룬 집단들의
입장을 종합한 듯 보이나,
• 최고회의-문교부-과학기
술계 교수들 입장은 극히
일부 반영되는 수준
• 경제기구 기술정책 관료
들의 입장을 더 많이 반영
• 기술관리국 설치는 한국
에서 테크노크라시의 형
성을 의미
다만, 역할이 크지 않은 농림부, 상공부 등의 역할은 생략
4. 6) 경제개발을 위한 기술정책 선택 (A) “기술공” 양성
미 원조정책의 방향 전환 실패 국내 기술자원 활용
• 국내에서 활용가능한 기술자원은 기술인력뿐, 제1차 기술진흥5개년계획의 핵
심은? ‘기술수급계획’ (=기술인력수급계획)
• 특히, 중간기술인력 ‘기술공’의 국가적 중요성 부상
4. 5) 경제개발을 위한 기술정책 선택 (B) “기술사” 제도
그럼에도, 외국기술(공장, 설비, 생산기술 등)을 들여오려면,
• 의무통과지점 존재: 미국 기술용역회사의 까다로운 ‘기술타당성’ 검토!
• 미국 기술자의 보수적이고 까다로운 심사로 한국정부의 기획이 번번이 무산
• Buy American Policy의 핵심
• 만약에, 한국 기술자들이 그 ‘기술타당성’ 검토를 대체한다면?
• 외화 절약 & 사업 수행 원활 ‘기술사법 제정’, 기술사 제도 성립
(4절) 요약
미국의 무상원조 감축이라는 대외적 변수
& 취약한 국내경제의 자립 강화라는 국가적 과업
경제자립 문제를 풀기 위한 과학기술의제, 대안들의 경합
경제개발을 위한 제1차 기술진흥5개년계획 수립
외국기술 도입문제에 대한 해법
미국에 대한 기술의존도를 줄일 전략, 기술사 제도 성립
과학기술인력의 국가자원화 , “국가의 일부가 된 과학기술”
과학기술자들의 정치세력화, ‘공복화’ 동시진행
그 다음은? 과학기술과 국가의 동맹 체제 만들기
한국 최초의 NIS 구축...
5. 결론 및 시사점
60년대 초 한국의 경제개발전략에서 기술정책은,
• 국제정세의 변화와 그에 조응하는 국가적 의제의 등장,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들간의
경합 속에서 만들어졌다.
• 과학기술자들을 1) 경제개발사업의 공장설립계획에 활용(기술공 정책), 2) 기술타당성
검토를 위한 기술용역단, 즉 두뇌(기술사)로 활용한다는 목적이 있었다.
• 미국에 대한 기술의존(경제의존)에서 벗어나는 출구전략이었다.
• 기술의존 뿐만 아니라, 미국으로부터 한국정부가 국책사업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돌파
구였다.
시사점1) 혁신체제론에서,
• The Wider Setting에서 일어나는 국가-사회-과학기술의 변동도 The Core의 혁신과정
만큼 중요하다. 가장 이상적인 연구는 양쪽의 변동이 연동하는 양상을 드러내는 것.
시사점2) STS에서,
• STS 연구들이 혁신체제론에 영향을 주었듯, 혁신체제론의 관점들을 도입하여 실제로
과학기술-사회 시스템이 변화하는 동학을 경험연구로 풍부하게 풀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