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호스피스 사례

Download Report

Transcript 가정 호스피스 사례

가정 호스피스 사례
신체상(body image)의 변화로
고통 받은 환자에 대한 돌봄
사례
 1972년생 여자
 1997년 3월 두경부 악성 종양으로 진단
 대체 요법으로 치료
 1998년 MRI 상 종양의 크기 증가
 수술 후 방사선 치료
 1998년 11월 폐에 다발성 전이
 항암 약물 치료 시작
 퇴원 후 대학 병원과 본원 외래 및 낮병
실에서 치료 받음
 안면 부위에 상처 아물지 않고 얼굴 모습
이 변형됨
 1999년 4월 안면 부위의 누공 복구 수술
->성공적이지 못함
 상처 감염 계속
 2000년 8월 이후 안면 부위의 통증 호소
 투여된 약물:
MS contin 150mg bid
Gabapentin
AAP
Clonazepam
항생제
 2001년 6월 다발성 골 전이
 좌측 상완골의 병적 골절 발생
 정형외과 전문의의 자문으로 팔 고정
 본당 사제와 정기적으로 면담
 2002년 12월부터 가
정방문 시행
 경구용 약물 복용하
기 어려운 상태가 되
어 Fentanyl patch
사용
 2003년 2월 집에서
사망
 사망 직후 사후 처치
환자의 말
“욕심인지 모르지만 항암 치료를 해서라도 오래
살 수 있으면 좋겠어요.”
“삶과 죽음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데 고
통 속에 숨을 못 쉬어서 죽을까봐 겁이 나요.”
“지금 제 소원은 얼굴에 반창고 안 붙이고 사는
거예요.”
“고통이 너무 길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고통의 본질
 고통은 개인이 경험하는 것
몸과 마음이 분리되지 않은 한 인간
 인간으로서의 온전함이 유지되거나 회복되지
못한다고 인식할 때 고통을 경험:
따라서 인간성의 통합이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까
지 고통이 계속된다.
 인간다움의 모든 측면에서 고통이 발생할 수
있다.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
의미
인간이 겪는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노력: 개인적, 문화적 차원

초월성
고통과 상실에 인간적 의미 이상의 뜻
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극복
가정 호스피스
 치명적인 질병을 앓는 모든 환자는 적절한
palliative care를 받을 권리가 있다.
 Palliative care가 필요한 환자에게 이를 제공
하는 것은 모든 의료인의 책임이다.
 Palliative care를 받는 환자는 그들이 선택한
장소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National Council for Hospice and Specialist
Palliative Care Services in the UK
Essential equipment for home care
 Firm mattress
 Anti-pressure sore mattress
 Commode
 Male urinal
 Wheelchair
 Subcutaneous infusor
 Portable suction
가족 중심적 돌봄을 위하여 해야 할 일(1)
 Key family member를 결정하고 그를 팀에 포




함시킨다.
가족 회의의 필요성을 평가한다.
문서로 작성된 안내문을 제공한다.
돌봄의 목표를 정기적으로 검토한다.
돌봄이 제공되는 장소의 적정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한다.
가족 중심적 돌봄을 위하여 해야 할 일
(2)
 Respite, 정보, 지지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평
가한다.
 가족이 환자를 최대한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기
술을 갖추도록 돕는다.
 죽음이 임박했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징후들
을 가족에게 설명한다.
 환자의 죽음 전에 사별 관리의 필요성을 평가
한다.
의뢰 받을 당시 고려할 점(1)
 환자와 보호자가 가정에서 돌봄을 받고 임종을




맞기를 원하는가?
가정에서 환자를 적극적으로 돌볼 사람이 있는
가?
Care를 담당할 경험 있는 의사와 간호사가 있
는가?
의료 기구가 준비되어 있는가?
생활 조건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재구성할 수
있는가?
의뢰 받을 당시 고려할 점(2)
 필요한 집안 일을 도와 줄 인력이 있는가?
 응급 상황시 대처할 수 있는가?
 Respite 자원(친구, 이웃, 봉사자, 가족)이 충
분한가?
 가족 상황이 조화로운가, 심리적인 도움을 받
아야 할 상태인가?
 환자와 가족이 치료 및 처치에 대한 설명을 이
해했는가?
 경제적인 문제는 없는가?
팀 접근
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수평적 관계 유지
정보 공유
상호 의존적으로 일하며 각자의 역할을 이해,
존중
 가족 중 주 보호자가 팀의 일원이 된다.
의사의 역할
 가정에서 제공되는 포괄적 hospice care
 유용한 응급 약물
Morphine (inj)
Dexamethasone (inj)
Midazolam
Metoclopramide
Diazepam
Lidocaine 2%
Lasix
Haloperidol
 정서적 지지
가정 호스피스의 장점
 편안함
 사생활 보호
 친숙함
 안전
 자율성
 가족, 친구와 가까이 있을 수 있음
 가족이 돌봄에 참여할 수 있음
사례의 환자로부터 얻은 교훈
 만성 통증의 특징
 환자에게 sense of control의 중요성
 Powerlessness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
“죽어가는 사람을 돌볼 때 돌보는 사람의 손이 텅 비어
있고, 모든 치료를 다 해 보았으며 위로의 말도 이미
다 해 버린, 그런 때가 온다. 그것은 돌보는 사람이 오
직 도망칠 수 있기를 원하면서 침대의 발치에 쓸모 없
고 무기력한 채로 서 있는 때이다.”
-Sheila Cassidy, Sharing the Dar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