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Slide 1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2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3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4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5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6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7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8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9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0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1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2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3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4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5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6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7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


Slide 18

한국 양록산업의 현황과
경영형태 분석

이해곤 회장 / 한국국제양록협력단장
(사)한국양록협회 부회장
월간양록 지사장협의회장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가. 사슴사육 두수 및 가구수
- 국내 사슴사육 두수는 1970년대 중반 북미 등지로부터 대형종 사슴수입이
이루어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1년 말 15만6천두로 최고를 이루었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2002년 정점을 기준으로 매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이같은 결과는 녹용시장 전면개방과 세계적 경기 침체에 따른 생산물의
판매 저하가 가장 큰 요인으로 사슴사육 의욕이 크게 떨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부가 발표한 양록관련 통계자료에 따르면 사슴사육 농가수는 2001년
최고 12,564호까지 늘었다가 2002년을 기점으로 2002년 12,337호, 2003년
11,501호, 2004년 10,874호로 매년 평균 800여 농가씩 줄어들었고 2005년
도에는 1996년이후 처음으로 1만농가 이하로 급감하다 결국 2008년에는
6,095농가로 크게 줄었고, 2009년 12월말 현재 5,996농가에 머물고 있
다.<표1 참조> 더욱이 2010년도 자료는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고 있지만 판매
저조와 질병발생 등의 상황에 비춰 볼 때 약 4천여 농가에 이를 것으로 추산
된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 사슴 마릿수 역시 2001년 156,076두까지 늘어났으나 2003년
144,926두, 2004년 138,302두, 2005년 125,653두로 매년 평균 9
천두씩 줄어들었다.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해는 작년으로 19,003두
가 감소해 2008년 78,853두로 집계됐으며, 2009년 말 현재 75,272
두에 이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표2 참조>
- 사육 규모별로는 10두 미만의 영세 부업농가수가 3,879호로
전체의 6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50두 이상의 전업성 농가는 전
체농가의 33%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나, 점차 규모화 되어가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1. 한국 양록산업 현황

나. 최근의 사슴농가 사육 현황 변화

-

한국양록협회 소속 회원 24농가를 표본 대상으로 사육현황, 녹
용 생산성, 녹용 판매가격, 수익성 등을 조사한 결과 사슴 사육
농가의 평균 연령은 58세이며, 경력은 19년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농가의 가구당 평균 사육두수는 56.2두로 조사되었는데
한국 가구당 사육두수 평균 12.3두보다 높게 나타났다.(농촌경
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가구당 사육두수가 전국 평균보다 높고, 엘크의 사육 비중이 꽃
사슴보다 높은 것은 부업 농가보다는 전업농가들이, 꽃사슴 사
육농가보다는 엘크 사육 농가가 협회에 많이 가입했기 때문으
로 판단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준, 김현중)

-

또 하나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비율로서 암컷 35 : 수컷 64로
수컷 비율이 높았다. 수컷은 녹용을 생산하기 위해 오랜 기간동
안 사육되지만, 번식용을 제외한 암사슴은 도축되어 녹중탕에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농촌경제연구원 2009. 우병
준, 김현중)

-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슴 수명은 암사슴이 평균적으로 10세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수사슴은 14세경에 도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꽃사슴의 마리당 녹용 생산량은 0.9-2.3kg이며, 평균 1.6kg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엘크 6.7-16.9kg으로 평균 11kg, 레드디
어의 생산량은 3.0-9.4kg으로 평균 6.0kgdls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간 녹용 생산량 차이가 매우 크고 엘크의 마리당 녹용 생산
량은 꽃사슴에 비해 6.7배, 레드디어에 비해 1.8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표4 참조>

-

엘크와 레드디어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녹용 생산량이 크
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연령별로도 엘크의 녹용 생산량이
꽃사슴보다 4.3-8.3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사슴산물의 유통구조

가. 한국의 주요 양록 생산물
-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양록 생산물은 녹용, 녹혈, 녹중
탕, 녹육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생산량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이는 양록생산물 소비의 대부분이 농가와 소비자
간 직거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액을
추정함에 있어서도 농가별 판매가격이 일정하지 않아 정확한
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나. 한국 양록산물의 시장구조 및 유통
- 국내 녹용 소비구조는 최대 소비처인 한의약 시장과 건강
식품 개념으로서의 농가 직거래 시장 그리고 가공제품 시장
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가) 한의약시장

- 한의약 시장에서 녹용이 소비되려면 약사업 규정에 따른 원료의약품 제
조자격을 갖춘 업소가 품목제조허가를 받아 생산한 규격품이라야 한다.
현재 수입된 녹용이 한약규격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 한의약 시장을 통해 소비되는 녹용 액수는 단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
는데, 한의원에 공급되는 단계에서의 가격을 기준으로 환산한다면 약 1천
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 건강식품 기능의 시장
① 농가 직거래 시장

- 국내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을 건조하지 않은 상태(생녹용 상태)
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형태이다. 이렇게 판매된 녹용
은 일반 가정에서 녹용 단품이나 녹중탕(한약재와 혼합)으로
가공하여 판매된다.
- 이에 따라 농가별 고객확보 능력에 따라 소득차이도 발생하는
데, 소비자와의 직거래로 높은 가격을 보장받을 수 있으나 반면
소비경제 침체 등 외부요인에 의해 소비량이 영향을 받게 되는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소비되는 녹용시장의 규
모는 5천억시장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② 가공제품 시장

- 양록가공품므로는 국내에서도 드링크제, 원료의약품(캅셀)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대부분 외국산 녹용을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국산녹용을 이용한 녹용차,
녹용젤리 등이 생산, 시판되고 있으나 판매량은 저조한 편이다.
- 90년대 중반부터 상품화되기 시작한 제약회사 제품의 사슴엑기스,
녹용대보탕 등은 한 때 큰 시장을 형성하기도 하여 국산녹용 소비에
기여하기도 했으나, 과당 경쟁 및 저질제품 양산 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 지금은 기반을 잃어버린 상태이다. 반면 농가에서
재래적으로 생산해오던 사슴중탕 및 녹용중탕, 녹용대보탕 등은
농장을 직접 차는 소비자 위주로서 지금까지도 주요 판매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 농가에서 생산된 녹용은 농가가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은 단순 평균시 74.2%를 차지하며,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비율은 21%를 차지했고 기타 수매를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
직접 판매 비율이 높은 것은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농가별 수사슴 두수 비중을 가중치로 할 경우 소비자 직판 비율이 64.4%로
줄어든 반면 중간상인 판매 비율은 31.5%로 늘어났고 이는 사육 규모가 커질수록
중간상인과의 거래 비율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규모가 큰 농가들은
소비자와의 직거래를 통해 녹용을 소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물량을
중간상인에게도 판매해야 한다는 것이다.

- 녹용 가격은 판매 방식과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자에게 직접 판
매할 경우 냥당 2만원을 농가에서 수취할 수 있지만 중간 상안에게는
7,725원에 판매된다. 일부는 수매되기도하는데 수매 가격은 1냥당 6,500
원이다. 또 소비자 직거래시 중간상인에게 판매하는 것보다 2.6배 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고객 확보는 농가 스스로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꽃사슴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녹용은 양은 많지 않은 대신 다른 품종보
다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소비자 직거래시 꽃사슴 녹용 판매 가격은 1냥
당 2만5천원으로 엘크에서 생산된 녹용보다 1.3배 높다. 상인 판매시에도
꽃사슴 녹용 가격이 엘크 녹용 가격보다 1.7배 높은 1만4천원이었다. 엘크
와 레드디어의 녹용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3. 양록업에 대한 대사슴농가 인식

- 국내에서 사슴을 키우는 70명의 양록인을 대상으로 양록업에 대한 인식로서 가장
애로사항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7.1%가 ‘사료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 증가’라
고 응답하여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22.8%는 ‘녹용 가격 하락에 따른 소득감
소’라고 답했다.
- 2008년 사료 가격의 급등과 또 경제 상황 악화에 따른 소득감소 등이 그대로 반영
된 것으로 판단된다.

- 앞의 조건으로 향후 사슴 사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줄이겠다’는
부정적인 의견보다는 ‘늘리겠다’와 ‘변동없다’는 다소 긍정적인 의견이
전체의 50% 넘게 나타나 한국 양록업의 미래를 밝게하고 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