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Download Report

Transcript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싱가포르의 역사와 문화
김성건
(서원대 교수/사회학)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 (1) 비서구사회의 정치경제발전에 대한 연구 경향
• ① 70년대: 남미 연구 ② 80년대: 동북아시아 연구
③ 90년대: 동남아시아 연구
• 최근 ‘아시아의 세기’를 맞아 세계 학계의 비교
연구 흐름이 ‘동남아시아’로 옮겨지고 있음
• 국내 관련 학회: 한국동남아학회, 한국아시아학회
등
• ⇛ 새로운 접근 : 보유자원, 식민역사, 정치문화,
정치체계 유형의 독특성 중시 - 특히, 식민역사와
정치문화 강조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 (2) 싱가포르
• ① 유교문화권 → 동아시아 혹은 동북아시아권에 속함
그러나 지리적으로는 동남아임.
• ② 비범한 역동성: 동남아시아 말레이반도의 끝부분에
자리 잡고 있는 것과 연관
• ③ 원자재를 가공하는 센터로서 기능 + 동남아시아
에서 움직이는 초국가적 기업의 지역 본부로서 최적지
→ 높은 경제성장
• ④ 물리적 척도 면에서 작은 사회지만 사회조직은
복잡함
• ⑤ 유교권 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 신생 도시국가인
싱가포르는 사회정치적 안정 속에서 급속도의 경제
발전 이룩(최근에는 홍콩보다 더 고속성장하고 있음).
문제의식과 기본 개념
• ⇛ 본 특강의 목적
• ① 싱가포르의 이념적 기반인 문화(종교와
민족 포함)의 특성을 역사학, (비교)사회학
및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포괄적이면서
심층적으로 밝히는 것
• ② ‘유교와 근대화’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흥미있는 사례로서 이른바
‘싱가포르 실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제공하는 것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1) 싱가포르 ① 영국의 식민 지배
• 무인도에 가까운 어촌 싱가포르 섬은 영국 식민지세력에
의하여 1819년부터 123년간 통치 받음 → 그 뒤, 2차
세계대전 기간 중 약 3년 간 일본 군정의 지배를 받은
이후 복귀한 영국의 식민지배를 받음 → 1965년 말레이
시아연방으로부터 독립 → 급속한 경제발전 이룸
• 싱가포르 이민(1819년) - 영국, 중국, 인도인들이 돈을
벌기 위해 옴
• 영국의 말레이반도 통치 - 식민경제의 급속한 발전 +
중국 남부와 인도 남부로부터 대규모 이민자 유입 →
복합사회 → 중국인이 가장 큰 인종집단이 됨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 식민지 통치자들과 유럽인, 중국인, 인도인이
원주민인 말레이인들 보다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
(Socioeconomic Status, SES)성취
• 민족적 경계 (기타인들 즉, 유럽의 백인들→
중국인들→인도인들→말레이인들 순)를 따라
고용지위, 교육수준직업지위 등에서 계층
(stratification)이 뚜렷이 존재
• WHY? 영국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싱가포르의
다양한 민족 집단을 경제적으로 차이가 나도록
유지시킨 당시 식민 지배 유산이 남긴 결과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② 일본 제국주의
• 123년간 영국 통치가 지난 뒤 1942년 일본 군정이
통치 → 싱가포르 이름이 ‘쇼난’ (Syonan)으로
바뀌게 됨.
• 중일전쟁 → 일본인들이 중국인들 증오하게 됨 →
싱가포르 중국인들 탄압, 대량학살
• → 말레이인들은 말레이 인종 장래가 개선될
것이라는 일본측 선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임
• 근대적 교육 시행, 인도네시아어 표준화 노력 →
말레이인들 공동체 지향의식 높임 + 자신감 상승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③ 독립 후 싱가포르
싱가포르의 초대 지도자가 된 리콴유(客家, Hakka 출
신) 같은 중국계 지도자들은 일본 군정 지배시대의
경험을 통해 이른바 ‘포위를 두려워하는 멘탈리티’를
갖게 됨 → 위기 속에서 싱가포르는 무엇보다도 그
자체 자원에 의존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화됨
• 아시아의 유태인, ‘객가’(커쟈)
• 客家人이란「외지에서 온 사람들」이란 의미이다.
커쟈라는 말은 이들이 고향을 등지고 타향으로 이주한
사람들, 즉 Guest People 이란 뜻이므로 본토박이의
‘本’ 字와 반대 대는 개념이다. 다른 한족으로부터
이들이 구별되는 가장 큰 요소는 언어와 풍속이다.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중국 대륙과 홍콩, 대만, 해외 화교를 포함
하여 이들 客家人들은 모두 5천 백만에
달한다. 세계 각지의 화교 약 3천만 중 10%
인 3백만명 가량이 客家人이며, 6만여명의
재일 화교 중에서도 5천-6천명이 客家人이다.
• 중국의 역사에 일획을 그은 ‘태평천국’(타이핑
티엔궈,太平天國)도 客家人들이 주도한 운동
이었다.
• 또 커쟈인들은 중국근대사의 가장 중요하다
고도 할 수 있는 사건 즉 공산혁명 특히
대장정 과정에서 상당한 역할을 했다.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객가는 금융과 무역, 군부의 실세로 ‘客家 土樓’ 를
짓고 살았다
• 客家는 산 속에 집단주택을 짓고 살기 시작했다.
당시의 원루(円樓) 라는 가옥형태는 지금까지
남아있다. 客家는 어떻게 보면 중국이라는 사회
속에서 끊임없이 박해를 받아온 민족인 것이다.
• 그러나 그 시절이 지금의 客家를 있게 한 밑거름이
되었다. 박해가 있었기에 재산보다 교육에 투자
하여 경찰, 군인, 정치가, 교사가 되었고, 점차 실력
을 키워온 것이다. 중국인구의 4%에 불과한 소수
민족인 客家가 이 정도로 힘을 가지게 된 것은
그런 그들의 인생관과 무관하지 않다.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덩샤오핑(鄧小平)이 커쟈(客家,하카)였던 것은
너무나도 유명한 이야기다. 신해혁명(辛亥革命)을
일으킨 중국의 국부인 쑨원(孫文)도 커쟈(客家,하
카)였다.
• 후야오빵 등 중국공산혁명의 주역들, 싱가포르의
리콴유, 타이완의 리덩후이, 아시아 최고의 갑부
리카싱,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중국의 한족 가운데
서도 가장 순수한 혈통의 한족이라고 할 수 있는
커쟈(客家 광똥어 발음인 ‘하카 hakka’)라는 것이다.
• 이쯤 되면 중국의 근,현대사는 커쟈(客家)가
만들어낸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④ 싱가포르의 일반 상황
• 중국인 + 말레이인 + 인도인 + 기타인종으로
구성됨
• 네 가지 공식 언어(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
- 각 민족 집단과 연관
• 싱가포르 전체인구의 약 78% 차지하는 중국인들
중 절반이상은 소외계층
• 싱가포르: 말레이인이 소수, 중국인들이 다수
(cf. 이웃 국가 말레이시아: 말레이인이 다수, 중국
인이 소수)
•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는 갈등관계
3. 역사적 배경과 민족 및 종교의 구성
• 싱가포르의 경우 이 같은 특수한 민족 구성 상황이
‘체제 내 사회불평등’에 대한 중국인 하층 계급의
계급적 의식을 억눌러서 결과적으로 중국인들의 지배
체제에 대한 ‘동조적’ 성격이 나타나게 됨.
• 다시 말해서, 중국인 하층계급은 싱가포르의 다수
집단인 중국인의 한 일원으로서 ‘실용적 기초’위에서
체제에 저항하기보다는 대체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음
• 말레이인들: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사회적
형식, 직업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존재 → 현재
싱가포르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은 민족 집단
• 말레이인들: 경제적 불이익, 교육 기회의 상대적 부족,
정치적 영향 결여, 민족적 ‘소수지위’ 차지 문제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1) 실용주의(Pragmatism) (영국 + 중국)
• ①정치적 영역: 아시아적 민주주의,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 ②사회적 영역: 질서의 문제
• ③ 1965년 이후 싱가포르공화국시대를 지배한
이념은 경제제일주의, 생존 등과 결합된 이념
• 싱가포르 독립 당시 열악한 경제상황으로부터
비롯 → 자본주의 길로 진행함.
• ④ 인민행동당(PAP)은 국가라는 개념을 교묘하게
활용하는 전략 하에 실용주의를 강조
• - 매스컴을 통해 대중에게 일방적 의사전달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 '실력사회(실력주의)'(meritocracy) 이념 +
경쟁적인 교육제도를 통해 국민에게 실용주의
이념을 내면화 시킴.
• - 중국인들이 3/4를 차지하지만 인종 간 결속은
국가적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
• → 다인종주의: 다양한 인종들의 능력에 따른
동등한 지위 부여
• → 다언어주의: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를
동등하게 취급
• → 이중언어주의: 영어(시장에 접근하는 수단)+
자신의 母語(정체성 보전)를 강제로 배우게 함.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⑤ 교육 = 인간자본에 대한 투자 → 개발,
향상 추구
• - 시험(exam)의 문화: 도구적 실용주의에
근거하여 조기(8세)부터 실시되는 경쟁적
시험을 통해 개인 능력상의 차이를 획정
• ⑥ 실용주의의 역설(패러독스): 엘리트
계층의 정치적 무관심 경향 (돈에 대한
인식만 강함)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2) 사회적 오염에 대한 합의
• ① 사회적 오염: 사회질서에 反하는 바람직
하지 못한 침범 ex) 마약, 포르노, 매춘 등
• (최근에는 리콴유, 고촉동에 이어 세 번째 수
상이 된 리콴유의 아들인 젊은 지도자 리센룽
에 의해 싱가포르의 개방 정책이 실시되어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 - 예:
나이트클럽, 카지노 도박장 등이 허가되어
개설됨)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② 싱가포르에서는 법으로 ‘사회적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요소를 엄격히 금지 - 정부,
국민 대다수가 상당한 ‘보수적’ 성향을 띠게
됨. [예: 흡연에 대해 정부 당국이 강력한 제재
를 가함으로써 중국 등 주변국들보다 매우
낮은 흡연율(15%)을 보이고 있음]
• ③ 종교담당형사: 교리상 국가를 부인할 수
있는 종교와 반(反)사회적 종교(예: 여호와의
증인, 통일교, 급진적 가톨릭의 해방신학 등)
는 탄압, 추방 혹은 금지 – “종교조화유지법”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④ 리콴유: “사회발전을 위해 각 나라는
적합한 특수한 체제가 필요하다” → 정부는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대해 미세하게 통제
(cf. 김대중 전 대통령)
• ⑤ 합의의 원인: 강제(무력)(맑스가 강조한
요소) + 가치(뒤르케임, 베버가 강조한 요소)
• ㄱ. 다인종주의(multiracialism)
• ㄴ. 국가 크기가 작고 전체 인구수가 상당히
적다
• ㄷ. 전쟁을 경험한 세대의 두려움과 생존에
대한 집념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ㄹ. 인민행동당의 정치적 정당성 제고(대중의
복종)(*노동당의 약진을 초래한 지난 2011년 5월
총선을 계기로 현재는 여당인 인민행동당의 지지
기반이 상당히 흔들리고 있음)
• ㅁ. 유교에 바탕을 둔 ‘동조적’ 정치문화
• ㅂ. 확장된 공동체의식(싱가포르 거주 중국인들의
경우, 본래 중국 대륙 - 특히 남부 지방 - 으로부터
싱가포르로 미혼 남성 단신의 이민이 이루어진
결과 말레이 본토 여성과의 결혼 – ‘페라나칸’- 이
많았고 그 결과 혈통 및 유사가족을 뛰어넘는
‘확장된 공동체 의식’이 조성됨)
• ㅅ. 정부의 엄격한 벌금 정책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3) 핵심적 국민가치
• ①국민가치: “개인주의로의 이행은 싱가포르의 국가
경쟁력을 낮추는 원인이므로 ‘공동체주의’를
이데올로기로 보전해야 한다”(고촉동)
• ②독립이래 계속 집권하고 있는 여당인 인민행동당
정부의 다양한 정책의 성공: 예) 공공주택정책, 국방의
의무, 이중언어정책 등
• 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시
• - 긍정적 영향: ㄱ. 싱가포르는 주요 인종 사이의
사회적 통합이 존재한다.
• ㄴ. 앞으로도 인종간의 조화가 있을 것으로 합의한다.
• - 부정적 영향: 특정 인종 및 종교적 의식을
증대시킨다. (과거 유교교육의 무리한 강조)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③ 다인종의 동질성에 초점을 모으기 위해서,
싱가포르 정부는 ‘4가지 핵심가치’를
만들었고, 싱가포르 국립대학 정치학자 존 쿼
가 이를 검토한 후 ‘6가지’로 보완하여
싱가포르인을 위한 ‘국민가치로 제시
• ④ 싱가포르에서 오늘날 전 국민이 공유하는
가치 덕목으로서 비정치적, 비종교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주장되는 이 ‘국민 가치’는
사회질서 유지와 사회통합에 일정한 기능을
하고 있다.
지배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가치
• 1. 인종간, 종교간 이해, 안정 및 조화를 제고하는
것.
• 2. 정직한 행정부의 전통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것.
• 3. 개인의 이익을 전체로서 공동체의 이익과 조화
시키는 것.
• 4. 사회의 기본제도로서 가족을 강조하는 것.
• 5. 사회에서 불우한 사람들을 위해서 동정을
보이는 것.
• 6. 가능한 한 합의를 통해서 주요한 쟁점들을
해결하는 것.
종교적 부흥과 아노미(anomie)
• 1) 도교는 교육수준이 낮은 중국인 위주로
신봉 → 점차 쇠퇴
• 2) 소승불교와 일본의 신종교인 ‘니찌렌쇼슈’
와 개신교를 받아들임
• 3) 기독교(개신교)와 ‘무종교’는 계속 증가
• * 싱가포르에서 기독교(개신교) →‘수입된’
종교로 모든 민족에게 ‘중립적’ →신도의
다수는 고학력, 고수입, 명예가 높은 직업 →
사회정치적 영향력이 큼 → 종교적 부흥 →
아노미(개인의 절망과 무기력-소외) 감소시킴
유교와 근대화 문제
• 다음 5가지 전통적 동아시아의 가치는 보전되어야
한다고 싱가포르 지도자들이 인식
• ㄱ. 집단정신과 온정주의적인 고용자-피고용자의 관계
• ㄴ. 상호부조와 공동체 생활
• ㄷ. 부모-자식관계와 가족생활
• ㄹ. 우정의 패턴
• ㅁ. 지성인의 규범적 역할
• 근대화되는 상황에서 전통 문화적 가치의 위상과
서구화의 근대화 사이의 문제 대두
• →1982년 도덕교육의 일부로 중등필수과목으로 ‘유교
윤리’의 도입을 시도했으나, 당시 이슬람 진영을 위시
하여 많은 반발이 일어나 결국 실패하게 됨.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민족관계
• 싱가포르: 총 약 140년간의 영국의 지배를 거쳐 말레
이시아로부터 1965년 독립하여 건국된 다인종
이민 사회 → ‘인종 간 결속’은 국가 존립 및 사회 질서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였다.
• (1) 영국의 divide & rule (분할 통치) 정책
• ① 중국인: 중국인의 근면, 검약으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우호적으로 판단
• ② 인도인(타밀인): 유순함으로 종속관계가
쉬우므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우호적으로 판단
• -인도인은 보호받는 것에 만족함으로써 자신들이
열등하다는 이데올로기를 생성
• -인도인에 대한 중국인의 경멸을 가져옴.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 ③ 동남아시아의 원주민(자바, 버어마, 말레이): 체질적
결함, 통제하는데 어려우므로 영국의 식민지배 세력이
‘부정적’으로 판단
• ④ 영국 식민정부가 만든 사회적 진화론(적자생존,
우생학)으로부터 비롯한 인종의 분류는 이후 하나의
흔들릴 수 없는 강고한 ‘위계’(hierarchy)로 여겨짐
• ⑤ 영국 식민정부가 다양한 인종을 각기 그들의 거주
공동체 속으로 분리시킴 → 이 같은 민족분류의 패턴
은 싱가포르에 뿌리내려 발전하여 1965년 싱가포르
독립 후에도 ‘민족 간 경계’가 지속됨
• ⑥ 사회적 다윈주의(Social Darwinism)가 이를 정당화
함.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 (2) 1942-45년 까지 싱가포르를 일시 지배한 일본
의 차등 정책 (2차 세계대전 이후)
• ① 중국인=혐오: 싱가포르 군대는 중일전쟁에
참여하여 중국인을 잔인하게 탄압, 대량학살
자행함
• ② 말레이인=우호: 일본은 식민통치를 위해
중국인이 아닌 이슬람교도들의 협력을 얻어내기
위해 말레이인에 대해 우호적→ 그 결과, 말레이인
들의 공동체 지향의식을 높여줌
• ③ 인도인=우호적: 일본은 인도 군대의 정보망을
이용하고자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운동을 지원함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 (3) 1965년 독립 전후 수년 간 정치적 격동기
에 나타난 중국 vs 말레이인의 민족갈등
• ① 싱가포르에서 말레이 공동체(약 14% 소수
민족)는 중국인(다수집단)과 비교해 낙후,
무시당하였지만 열등한 지위를 감내
• ② 1964년 2차례 폭동: 말레이시아 수립 후
싱가포르 내 말레이인들이 권리 주장 시작
• ③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싱가포르의
인민행동당(PAP)은 ‘다인종적 이상’을 강조함
• ④ 하지만, 말레이인은 이를 의심한 후
PAP의 정책을 비판
싱가포르의 근대 정치사에 있어서 인종 및 민족관계
• ⑤ 1966년 7월 중국인과 말레이인의 충돌을
일으키고 싱가포르 독립기념일에 혼란을 일으키려
는 두 개의 말레이 극단주의 지하조직의 음모가
싱가포르 정부당국에 의해 발각
• → 이 사건은 싱가포르에서 약간의 불똥이 인종적
충돌을 끌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
• 결론: ‘제도화된 다민족모델’의 사회문화적 요인
(원인) → 일본 군정이 싱가포르에서 민족 간 분열
을 자아내는 방향으로 3년 반 동안 지배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 이후 싱가포르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정치적 갈등이 없는 기이한 현상을 보임(결과).
다인종주의 정책
• ① 다인종주의: 복합사회(plural society)의 인구집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인종들의 문화와 민족
적 정체성에 대하여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이데올로기
• ② CMIO 카테고리의 싱가포르화 - 싱가포르는 각 인종
의 이질적 성격은 덜 강조하는 반면에 이른바
‘CMIO’(Chinese, Malay, Indian, and Others)로 크게
넷으로 나뉘어진 다인종제를 추진함
• - 그 결과 오늘날, 모어(母語)외에 제2의 언어를 선택하
는데,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HDB(Housing &
Development Board, 주택개발청) 아파트를 신청하는데,
정치적 지도자를 뽑는데, 국민적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토론하는데 등에서 “인종”이 명백히 쟁점이 되고 있다.
• 싱가포르 국민의 ID(일종의 주민등록증): ‘인종’이 명시.
다인종주의 정책
• ③ 대표적 예 - 주택개발청이 주도하는 새로운
주택단지에 건설된 공공주택의 배분정책
• - 목적: CMIO 집단이 각기 차지하는 비율과 거의
같도록 주택을 배분해줌으로써 인종 간 물리적으
로 근접하도록 접촉을 증대시켜 결국 인종 간 결합
을 도모하려는 목적을 이루고자 함.
• - 그러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의도하지 않은 결과
로서 ‘인종 집단의 재결합’이 발생함.
• - 정부의 대책: HDB 근린지역과 HDB 단지에
대하여 인종적 제한 설정→ 그렇지만, 이 같은
‘인종적 할당’은 말레이인들이 다수가 되지
못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비판받음.
다인종주의 정책
• ④ (요약) 지난 40여 년 동안 싱가포르 정부는
• ㄱ. 국민 문화, 국가적 정체성, 민족문화, 민족 정체성
을 매우 의식적으로 구별하려고 노력
• ㄴ. 다인종정책은 서로 다른 인종의 존재를 인정하면
서도 동시에 이 같은 인종 구성의 ‘정치적 효과’를
극소화하는 것.
• ㄷ. 따라서 정부는 결국 개별 민족문화 정체성의 발전
을
적극적으로 억압함.
• ㄹ. 그 동안의 산업화의 결과로 물질주의적 지향이 지
배하게 된 뒤, 현재 싱가포르인들 속에서 자신의 민족
문화 쪽으로 복귀 경향 → 그런데 이것은 문화적 통
합이 아닌 ‘문화적 혼란’을 초래하였다는 비판
• ⑤ (결론) 싱가포르의 다인종주의의 사회문화 정책 속
에는 어느 정도의 패러독스가 존재하게 되어 결국
‘인종적 경계’의 중요성은 증대됨.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
•
•
•
•
•
•
•
•
(1) 인종(민족)과 계급
① 싱가포르는 '민족의 라인(line)'에 따라 계층이 형성됨
→ 대학졸업인수, 상위 공무원수, 수입: 중국인>말레이인
→ 하위공무원 수: 말레이인> 중국인
② 저임금과 미숙련 직업으로 인해 가난이 집중된 말레이인들
의 불만 증대 → 불평등이 ‘제도화’ 되고 있음
③ “말레이인들은 경제적으로 열등하다”는 이데올로기→
'도덕적 열등성'을 경제적 실패의 원인으로 인식
중국인의 富: 산업, 검약, 근대적 방식에 대한 적응력의 자연적
결과로 인식
말레이인의 가난: 나태, 낭비, 보수주의의 자연적 결과로
믿게 됨 → '인종적' 열등감 형성
④ 1965년 이후 지배적 이념은 경제제일주의, 생존과 밀접하
게 결합된 '실용주의'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 (2) 인종(민족)과 종교
• ① 싱가포르= 본래 말레이민족에 기초하여 국가를
정당화한 이슬람교가 지배
• ② 중국은 중국민족에 기초하여 부계자손에 의해
정당화된 국가수립 → 단일의 종교적 제도가 결여
• ③ 현 싱가포르의 말레이 민족은 이슬람교를 종교
로 갖고 있음
• ④ 인도인은 상대적으로 종교의 자유를 갖고 있음
- 예: '힌두교도 인도인', '회교도 인도인',
'기독교도 인도인'
• → 따라서, 다인종국 싱가포르에서 인디언 사회가
민족/언어/종교와 관련하여 가장 다양함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 ⑤ 특정 민족 집단과 종교관계를 설명할 때
전체적으로 '언어‘(language)의 요인이 중요
•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말레이인들은 회교도
(이슬람교도)가 됨
• →타밀어 사용하는 인도인들은 힌두교가
되는 경향
• ⑥ 즉, 싱가포르에서는 종교, 언어, 인종 이
세가지 요소가 기본적이며 본질적인 '사회적
동맹'을 이루고 있음
싱가포르의 사회변동과 인종(민족)문제
• (3) ‘소수집단’의 문제: 싱가포르의 말레이 사회
① 인종(중국인의 지배)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
• ② '민족'은 역사적으로 문화적 요소들과 구조적
요소들로 인해 형성된 것
• → 말레이 사회의 제반 민족적 특성의 많은 부분이
외적 상황에 대한 반응의 결과
• 곧, 영국의 식민정책과 최근 인민행동당 정부의
근대화, 도시화를 급속도 추구한 외적 상황에 대해
중국인들은 사회변동을 수용한 반면 말레이인들은
전통적 사회의 직업유형을 유지함
‘싱가포르 실험’의 역사를 통해 드러난
‘사회문화적’ 특징(결론)
• ◎ ‘확장된’ 공동체 의식
• ◎ ‘보수적’사회: 사회적 오염에 대한 합의가
단단히 형성되어있음
• ◎ 종교=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제도로서 믿는
사람의 ‘문화적’소속을 규정하는 일종의 ‘인종적
경계 기제’로 기능
• ◎ 근대화와 관련된 제반 사회정책: 다인종주의
문화정책, HDB의 주택정책, 종교교육도입 및
유교교육도입, 산아제한 정책 등
• ◎ 위로는 인민행동당에서 아래로는 일반서민들
중에서도 모두 전략적인 ‘실용주의적 가치’가
강하게 지배함
싱가포르의 민족문제(결론)
• ◎ '다인종주의'와 함께 '사회정의'(분배, 가치 배분 등)가 공존
해야 함을 시사한다.
• ◎ 싱가포르 정부가 민족을 사회문화적 분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권위주의적 문화와 보수적인 사회적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 ◎ 다민족의 권위주의적 국가들의 ‘민주화’는 긍정적 측면
보다 자칫하면 문제가 더 많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 ◎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상황에서 인종 간 긴장완화를 위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필요가 있음을 드러낸다.
• ◎ 싱가포르가 인종 및 민족문제 측면에서 현재까지 큰 마찰
없이 지내오고 있음은, 무엇보다도 청렴한 국가 기관과
공무원들이 주도한 고도의 경제성장이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성건,『싱가포르의 사회와 문화』(문경출판사,
1997).
• 김성건, “도시국가 싱가포르의 사회인구 정책과
그 시사점,”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 유인선, “싱가포르 150년사(1819-1969),”
『아세아 연구』, 제36권 제2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93).
• C. M. Turnbull, A History of Modern Singapore
1819-2005 (Singapore, NUS Pres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