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Download Report

Transcript 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장애인을 위한
Computing
Team no.3
08th November 2010
최 원희
김 예은
Ⅰ. Prologue
Ⅱ. 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독서장애인을 위한 국내 IT
Ⅲ. 성
Ⅳ. 해외 IT 접근성
Ⅴ. 결론 및 제언
접근
Prologue
우리 주위에
책 한 권 마음대로
못 읽는 사람이
이렇게나 많았어!?
3
독서장애인♡
2
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4
장애인의 올바른 표기법
Q: 다음 중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영어 표기법은?(선물 있음 ^.^)
A:
1. Handicapped
2. Disability
3. Disabled
4. Challenged
Vertically
Challenged
Horizontally
Challenged
5
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장애인(障碍人)
장애인은 신체 장애와 정신 장애를 비롯해 여러 이유로 일상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는 장애를 가진 사
람들
144만 9496명(2000년)

213만 7226명(2008년, 보건복지부)
선천적 장애인 vs 후천적 장애인
: 4.9% vs 90%( 55.6% - 질병, 34.4% - 사고)
미래에는 우리도 독서장애인(2026년 초 고령사회)
다수의 장애인 관련 전문 법률들을 제정 시행하고 있지만, 제정 된지 얼마 되지 않아 실효성 미비
:’장애인 차별 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 복지법’, ‘특수교육 진흥법’ 등
“국민이 아닌 장애인”
10명 중 9명이
후천적 장애
“장애인은
도움 받을 대상”
“위험이 뒤따르는 사업대상”
But,
6
장애인에 대한 개념 및 인식
7
•장애인 IT 차별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국민
 언론매체 및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을 이용한 장애인
인식 개선 홍보 실시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
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
그램 개발
정부
 공공기관, 초중고 및 대학,
기타 단체 등 각 기관별 장
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실시
기업
 장애인용 컨텐츠 제작 시
이익단체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환경
마련
8
No.
1
3
독서 장애인을 위한 국내 IT 접근성
9
보조공학 기술
'브레인 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가전기구의 조작을 인간이 원거리에서도 생각만으로 조
작이 가능하도록 돕고 나아가 자동차 운전 등 이동장치 조
작을 생각만으로 할 수 있다. (위스콘신 대학)
일본 자동차 회사 혼다에서 개발한
아시모(ASIMO) 로봇을 감성으로 원
거리에서 조종하고 있다.
Eye writer
시선만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화가가 되고 싶은 장애인은 눈만으로도 꿈을 이룰 수
있고, 중환자는 손 하나 까닥 안하고 눈만으로 보호자나
의료진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10
보조공학이란?
보조공학기기
보조공학 서비스
장애를 가진 개인의
기능적으로 능력을
증진, 유지, 향상
장애인에 관련된 보조
기구를 선정, 구입, 사용
등을 직접적으로 보조
하는 모든 서비스
“보조공학은 능력과 환경에 대한 장애와 분리를 해소하는
기기와 서비스이다.”
11
독서 장애인의 보조공학 조사 이유
2008 장애인 정보 접근
실태조사
(%)
80
60
40
20
0
휴대전화
점자셀 키보드를 탑재한 PC
컴퓨터
인터넷
보급률
세계 시각장애인 연맹은 정보사회에 있어서 정보에의 접근은 사회에의 평등한 참여
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모두에 의해 향유되어야 하는 인권이라고 믿는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시각장애인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정보에 접근할 권리는 장애인의 기회
균등에 관한 유엔의 표준 규칙에서 국제 사회에 의하여 명시적으로 인정된 것이다.
(2003년 세계시각장애인연맹 선언문)
12
국내 독서장애인 관련 정책
관련 법/제도
-독서문화 진흥법 <제2조>에서 독서장애인을 처음 정의하였다.
-독서문화진흥법 <제5조>에서 '독서장애인, 소외지역, 소외 계층의 독서 환경
개선'을 포함해야 한다고 했지만, 그 이상의 구체적 조문은 없다..
독서장애인 관련 부서는 어느 곳 일까?
장애인?
독서?
13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 도서관 지원 센터
-장애인 정보누리터
국립중앙도서관을 방문하는 장애인이용자들
의 도서관 이용편의를 증진하고, 국내 도서관
의 장애인서비스의 조기 정착을 지원하기 위
하여 2008년 12월 준공됨.
14
산학연의 노력
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원
재활과학과 임상치료 연구 및 특수교육
및 재활과학 전문가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방면 재활 서비스 수행
학교
산업
천안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IEP 프로그램
보조공학기기들을 개발, 평가, 선택,
개조, 설치, 유지보수하며 또한 개인
에 맞는 맞춤제작 업무 수업
143개사 참가, 440개의 전시회 부스
를 설치하여 실버 복지기기 및 장애인
보조기기 1만여 점 이상 출품.
15
독서장애인 정보접근 기술 1-1
독서장애인용 특수 소프트웨어 기술
전용단말기의 제작 대신 특수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하여 보조 공학기기를 개발한다.
Ex) 독서확대기, 점자 디스플레이 등.
1. 음성합성기술
2. 후킹 기술
3. 점역/역점역 기술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 컴퓨
터 상의 정보를 음성
매체를 이용해 제공.
컴퓨터 화면으로 출
력되는 내용을 가로
채 시각장애인이 인
지할 수 있도록 음
성/점자로 출력.
컴퓨터에 입력된 문
서를 점자코드로 변
환하여 점자 프린터/
점자정보단말기로 볼
수 있음.
4. 광학문자인식 기술
스캐너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중 글자
만을 골라내 텍스트 코드로 전환해 주
는 것. 글자 인식률이 기술의 핵심.
5. 점자셀 기술
종이 대신 구멍이 뚫린 판에 전자적 신호에
따라 점자가 튀어 올라 점자 모양을 만드는
것. 점자지가 필요 없으며 100% 수입.
16
독서장애인 정보접근 기술 1-2
전자도서 기술
독서장애인이 독서 및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점자도서, 음성도서, 전자 도서
순으로 발전했다. 전자도서의 제작 보급률은 세계적으로 향상되는 추세이다.
1. 점자도서
2. 음성도서
3. 전자도서
• 용량 및 부피가 커
휴대, 보관이 어려움.
• 점자를 아는 장애
인은 2.7%(2008)
• 오랜 시간 보관 시
뭉개져 훼손
• 네비게이션 어려움
• 처음부터 끝까지 선
형적 재생
• 수학기호, 도표 등
인식 어려움
• 네비게이션 가능
• 음성파일과 함께 목
차, 페이지 정보, 텍스
트 등 통합 내장
• 점자도서, 음성도서
대비 제작시간 축소
DAISY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
독서장애인용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 포맷으로 시각장애인과 독
서장애인을 위한 국제 멀티미디어 전자책 표준
1. 네비게이션 가능 2. 제작시간 단축
3. 국제표
준
4. 음성, 점자 모두 가능
5. 유연한 사용자층
정부정책과 시각장애인 도서관 서비스의 충돌 사례
LG 상남도서관- 책 읽어주는 도서관
책 읽어주는 도서관은 세계 최초의 유비쿼터스 시각장애인 도서관으로 디지털 음성도
서를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전자 도서관
유비쿼터스 기술인 NFC/RFID 기술을
활용. 웹을 통해 원하는 음성 도서를
PC나 시각장애인 전용 휴대폰으로 내
려받아 언제 어디서나 저장된 음성도서
를 꺼내 들을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작된 휴대전화 무
상 공급.
서비스 수행의 어려운 점:
• 비영리 기관이므로 휴대전화를 장
애인에게 무상 공급을 해야 함.
• 독서장애인 중 노안을 가진 도서
관 이용자는 구입 의사가 있어도 비
영리기관으로써 판매 불가.
저작권법이 지정한 시각장애인에 한하
여 책을 읽어주는 도서관 서비스 제공.
휴대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
으나 현 국가 법에 가로막혀 더 많은 독
서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확대 곤란.
• 비등록 장애인 중 복지 카드가 없
으면 휴대전화 지급 불가.
18
국내 정보접근 기술의 장단점 1-1
국내 특수 소프트웨어 기술 Bad & Good
Bad
1. 개발비용 대비 수요가 협소하여 시
장 규모가 작다.
2. 장애인에 대한 기반연구(인체정보
등)가 부족하다.
3. 보조기기의 원천기술이 부족하다.
4. 연구개발 및 보급에 있어 제도적
지원이 부실하다.
Good
&
단발적 기술저력을
보유하고 있다.
S: 기술력
W: 원천기술 부재,
기술 응용력 부족
O: 시장규모 확대
T: 복지 선진인식
부족
Solution
정보화 지원 특수소프트웨어 기술의 효율성을 높이면 독서장애인의 생활
수단이 되어 경제력 능력을 키워 국가적 복지 예산의 절감을 가져온다.
선진복지 국가 입증.
19
국내 정보접근 기술의 장단점 1-2
국내 전자도서 기술 Bad & Good
Bad
1. 산발적인 연구로 표준으로써의 실
효성이 떨어진다.(제작/재생기술,
콘텐츠 등)
Good
&
대표기관의 발족으로
표준화 실현을 기대할
수 있다.
2. 양질의 콘텐츠가 부족하다.
S: 찾지 못함
W: 연구 기관 간
공유 및 콘텐츠 부
족
O: 연구의 필요성
인지 및 움직임
T: 해외와 다른 국
내 실정
Solution
현재 국내는 DAISY 도서 제작자와 사용자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선 콘텐
츠 대량 생산을 위해 보안 강화를 통한 제작자-출판사-유통업자 만족을 꾀하고
제작/재생에 불편이 없도록 국내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개선한
다.
20
4
해외 IT 접근성
21
해외 도서장애인 지원 현황
세계 최고의 복지국가, 시각 장
애인을 위한 새로운 기술
수요자 중심의 자료 공급,
시각 장애인이 원하는
서비스
도서관 간의 네트워크 발달.
편리한 서비스 제공
다양한 형태와 주재의
시각장애인용 도서 제공
시각 장애인의
문화활동 존중
정보 및 기술관련 활동으로
시각장애인의 기회를 제공
22
해외 도서장애인 인식
정상화와 통합
복지 선진국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 인식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학공업 발전과 전쟁으로 장애인 증가
•1948년: 국제 연합 세계 인권 선언 채택
•1972년: 정신지체자의 인권선언 채택
•1975년: 장애인의 권리선언 채택
•1981년: 국제 장애인의 해로 선포
영국
시민
정부
1995년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
에서 고용, 상품, 시설, 서비스 제공,
교육, 교통 수단 등에서의 포괄적
규정
버스 이용 시 장애인이
탑승자라면 5분을 기다려도
싫은 기색을 하지 않음
단체
(RNIB)
Lost and Found’캠페인
웹 접근성 인증 마크
23
RNIB 단체의 기업 CI(Royal National
Institute
of Blind: 영국 왕립시각
장애인 협회)
해외 도서장애인 인식
스웨덴
20세기 초반: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만연
 정부와 장애인 단체들의 적극적인 인식개선운동으로 획기적으로 변화
1960년 말: 정상화 이론 도입
1970년대: 정상화 이론이 장애인 정책의 핵심
대규모 시설을 없애고 지역사회의 소규모 시설로의 전환
시민
정부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대체
제작물들은 저자나 출판사의
허락 없이 제작 가능하게 하
는 저작권법 제정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똑
같은 생산활동의 주체
단체
(TPB)
스웨덴 국립녹음점자도서관
(TPB:Talboks-och
PunktskriftsBiblioteket)
장애인을 위한 대체
제작물을 생산
24
해외 도서장애인 정책
 강력한 정부정책에 의한 지원
부서체제 
Minister체제
UN과 통합
가이드라인 작업
대체 저작물의 구입과 무료 배포
(정부 예산 중 가장 큰 부분)
정보통신 기기의 구입 지원과 대여
Since 1892,
장애인 국립 점자 도서관
장애인의 정보
접근 문제 개선
25
해외 도서장애인 서비스
 디지털 도서 사업비
: 1400억 원(미국) > 156억 원(스웨덴) > 2억 원(한국)
 디지털 도서(점자 및 녹음) 제작 총 수
: 3,925종(미국) > 3,000종(스웨덴) > 111종(한국)
26
해외 도서장애인 서비스
보들리언 도서관(영국, 옥스퍼드)
퐁피두센터 내 국립도서관(프랑스)
• 40여 개 도서관의 협력
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
• Open mind
:신분증을 요구하지 않음
• 장애인을 위한 공통 가
이드 라인대로 운영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
제공
• OUIS: 접근성 보장
• 2시간 가량의 오리엔테이
션 진행(장비사용법, 다양한
정보
• ARACU: 전자도서, IT
서비스 사용 접근성 제공
우메오 지자체 도서관(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스웨덴)
• 장애유형별 세분화된 도서관
담당자
: 난독증을 위한 담당자
• 다양한 컨텐츠 보유
: Easy book, 오디오 북, 촉
각도서, apple book
• Resource room
: TPB에서 제공하는 카탈로
그를 통한 전자도서
• 오디오 인덱스 기술 수상
(비브리오텍 2007)
•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검색대
27
해외 도서장애인 기술
다양한 독서장애인을 위한 기기들
1
2
3
1,2 .아이트래킹- 눈동자의 움직임을 읽어서 마우스
포인터를 컨트롤 하는 기기
3. 탱고 – 문장을 자동 완성시켜주고 스피커로 문장
을 읽어주는 커뮤니케이션 기기
4. 북리더 – 색깔을 구분하지 못하는
장애인이나 작은 글씨체로 되어 있는
책을 읽기 힘든 사람들을 위한 확대기
4
5
28
5. 모토롤라 휴대폰 – 책의 사진을 찍으
면 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고 스피커로
읽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장착
해외 도서장애인 기술
해외 도서장애인 기술을 통한 국내 미래 모색
특수 소프트웨어 기술
전자도서 기술
사용 현황
사용 현황
도서관
- 특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
점자컴퓨터, 문자인식스캐너 등 다
양한 지원 장비 이용
대학
- 특수 소프트웨어 사용 대학 교육에
적용
- 보조기기들을 이용하여 전자도서
등의 자료를 열람
•
•
•
기술력 및 연구현황
•
기술력 및 연구현황
•
국가 차원의 연구 지원으로 탄탄한
인프라
•
성공적인 산학 프로젝트
- ‘2007 오디오 인덱스 프로타입’
DAISY도서는 학교, 도서관 등
어디에서든 이용 가능
출판사들은 자발적으로
DAISY 도서 제작
우편으로 단말기를 대여하는
서비스를 통해 독서 지원
한국의
Future
29
정부 지원으로 큰 규모의 연구
인력
-TPB는 DAISY개발과 관련하
여 여러 부서로 나누어 심층적
인 연구 진행
•
표준의 실효성
-DAISY 파이프라인
5
결론 및 제언
30
해외 조사 후 국내 분석 - 인식
Q:
우리나라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복지 선진국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도움 받을 대상” VS “사회의 구성원”이라는 정반대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인식 차이가 날까? 그 이유는 무엇일까?
GDP:
15위
PPP기준:
12위
할애 하지 못한 시간만큼 우리의 장애인
에 대한 인식 수준은 뒤떨어져 있다.
복지 선진국만큼
많은 시간을 장애
인 인식 개선에
할애하지 못했다.
무역규모:
10위
-장애인을 위한 기본법 제정은 걸음마 단
계
-장애인 인식 개선 프로그램 미흡
외환 보유액:
6위
31
해외 조사 후 국내 분석 - 정책
차이점이 뭘까?
해외
국내
독립적인 여러 기관
중앙기관
도서관
도서관
복지관
RNIB, TPB,
프랑스
국립 도서관
복지관
VS
기타
기관
협회
협회
국내와 해외의 차이점은
독서장애인 지원을 위한 모든 정책을 총괄하는 단독 부처의 여부이다.
32
기타
기관
해외 조사 후 국내 분석 ( 서비스 )
1] IT기술을 가진 우리나라, 서비스를 가진 해외
[그림]장애인 도서관 서비스 매체의 발전 방향
[그림]LG상남도서관 협력 개발 모델
2] 콘텐츠 확보, 그것이 문제이다.
-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의 종류 7가지
-대부분의 장애인이 전자도서를 통해 독서 가능
[그림]대체 자료의 유형
[그림]장애유형별 대체자료의 유용성 비교
3] 통합자료관리시스템 보급 필요성
-대체자료 중복 제작
-독서 장애인이 대체 자료 대출 시 많은 도서관에 직접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
4] 출판사의 이윤 창출을 통해 콘텐츠 저작과 보급 활성화
5] 이용장소, 장애유형별 차별화된 IT 서비스 제공
33
해외 조사 후 국내 분석 ( 기술 )
•특수 소프트웨어 기술
•전자도서기술
•컨텐츠
34
최종 제안
솔루션 – 정부, 기업/학교, 도서관의 협력
정부
No.
1
정부소외 문제를 단일 부처로 통합하여 체계적인 정
책과 제도를 수립, 실행해야 한다
콘텐츠 제작사를 위한 혜택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범 국민적 인식 개선 운동에 앞장서야 한다
기업 &학교
기업과 학교간의 산학 연구 협력을 통해 기술 개선에
앞장서야 한다
도서관
중앙기관을 중심으로 여러 기관이 통합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한다
35
최종 제안 모델
정부 및 기업과 기관간 협력 체제
36
References
[논문 및 연구자료]
[1]Daisy Consortium, Specifications for the Digital Talking Book, NSI/NISO Z39, 86-2005, 2005
[2]Robert Wedgeworth, World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1993
[3]보건복지부 외, 제2차 장애인 복지 발전 5개년 계획, 2003
[4]변용찬 외,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중장기 발전 방안, 2002
[5]정병국 외, 독서장애인도서관진흥법안, 2009
[6]임원선, 독서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제고를 위한 법적 연구, 2007
[7]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해외 주요국가 장애인 정보격차해소정책 현황, 2007
[8]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전국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실태조사, 2007
[9]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독서장애인 독서활동 지원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2009
[10]이해균 외, 장애인 독서환경 개선 방안 연구, 2006
[11]장보성 외, DAISY 포맷 기반의 디지털 음성도서 개발 및 서비스 방안 연구, 2009
[12]오선경, 시각장애인의 정보요구 및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수성도서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2010
[13]전재봉,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구성요소분석, 1993
[14]윤희윤,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 지원방안 연구, 2008
[15]육근해, 국립시각장애인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2006
[16]국립중앙도서관 외,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매뉴얼, 2009
[17]국립중앙도서관 외, 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기준 및 지침제정 연구, 2007
[18]한국정보문화진흥원 외, 한국, 미국, 일본의 정보통신 보조공학 산업 동향 연구, 2006
[19]이진현 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의 사용과 현황에 대한 연구, 2006
[20[전영환, 미국의 보조공학 정책, 2008
[21]배경재 외,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2006
[국내 웹사이트]
[1]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i.go.kr
[2]한국점자도서관, http://infor.kbll.or.kr
[3]실로암 시각장애인복지관, http://www.silwel.or.kr
[4]LG상남도서관, http://www.lg.or.kr
[5]함께 걸음, http://www.cowalknews.co.kr
[해외 웹사이트]
[1]DAISY Consortium, http://daisy.org
[2]RNIB, http://www.mib.org.uk/pages/Home.aspx
[3]TPB, http://tpb.se/english
[4]The library of Umeo, http://umea.se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