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통계

Download Report

Transcript 보건통계

13 장 . 보건통계

1.

보건통계의 개념

1) 통계학 자료의 수집 , 분석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불확실한 상황을 분석하 고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는 연구 2) 보건통계학 인구의 특성을 연구하는 일 , 보건의 관련된 현상과 대상물을 측정 , 계측 , 정리 , 분석하는 통계학의 응용분야 3) 보건통계학의 목적     보건사업 결과의 평가 ,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지수 결정 보건사업의 우선순위 결정 , 보건행정활동의 자료를 제공 보건 사업의 필요성 강조 , 보건사업의 성패평가 보건 입법 촉구하는데 중요한 자료

4) 통계학의 종류 (1) 기술통계학  자료를 수집 .

분류하여 표나 도표로 정리 (2) 추측통계학  모집단의 일부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얻은 자료를 모집단 전체로 추정

2.

보건통계의 이용

      지역사회나 국가의 보건수준 및 보건상태의 평가와의 비교 보건사업 필요성의 결정을 위한 자료 보건사업에 대한 국가의 지원이나 보건입법의 제정의 당위성 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 , 보건사업 수행상 지휘 , 관제에 활용 보건사업의 행정활동에 대한 지침 보건사업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

3.

보건통계의 자료원

① 국세조사자료 ② 출생 , 사망 , 결혼 , 이혼 등의 법적 신고자료 ③ 법정전염병의 신고 및 조사자료 ④ 의료기간 , 보건기관 , 학교 , 산업체 등의 의무기록이나 신체검사기록 ⑤ 각종 연구자의 연구결과나 실태조사 자료

4.

모집단과 표본

1) 모집단 대상의 총 집단 2) 표본 전체 조사단위 중 일부의 조사단위만 추출하였을 때 얻는 모집단의 일부 , 표본조사 (1) 표본의 종류 ① 확률표본 -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아낼 때 통계단위가 똑같은 확률로 뽑힐 수 있는 상태 ② 비확률표본 - 표본을 뽑는 사람의 뜻이 작용하여 선택적이며 편견적으로 뽑힌 표본

3) 표본추출방법 (1) 단순무작위추출법 가장 단순 , 일반적 , 기본적이며 , 모집단의 구성요소 하나하나가 뽑힐 확률 이 똑같은 방법 (2) 층화표본추출법 모집단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부분집단을 나누고 각 부분집단의 무 작위 추출 (3) 계통적 표본추출법 모집단에 일련번호를 부여한 후 추출간격을 정하고 단순임의추출법으로 뽑은 후 표본추출간격으로 표본을 뽑는 것 ( 전화번호부 이용한 여론조사 ) (4) 집락표본추출법 행정구역 단위로 조사

4) 변수측정 척도 (1) 명목척도 대상자의 특성이나 성질을 나타내는 척도 예 ) 남자 =1, 여자 =2 (2) 서열척도 어떤 특성의 상태적 크기에 따라 순서로서 측정 대상을 구분하는 척도 ( 좋 음 , 보통 , 나쁨 ) (3) 간격척도 순서를 정할 수 있는 구분 이외에 서로 이웃하는 순서간에 간격을 알 수 있는 척도 (4) 비율척도 가장 높은 수준의 척도 ( 명목 , 순서 , 간격척도의 구분을 가능 )

5.

통계자료의 정리

1) 도수분포표 ① 변량: 개개인의 측정자료(신체, 체중) ② 중앙치: 변량의 범위를 몇 개의 급으로 나누어 최소와 최대의 평균치 ③ 도수: 각각 값이 나타난 횟수 ④ 누적도수: 도수의 누적치 ⑤ 상대도수: 관측한 총수에 대한 각 변수 값의 도수가 차지하는 백분율 ⑥ 상대누적도수: 급의 도수집단의 총 개수에 대한 백분율 ⑦ 도수분포: 각 급에 해당하는 도표의 계열

2) 도표 (1) 막대도표 (2) 점선도표 (3) 원도표 (4) 상관도표 (5) 기타도표 ① 지역분포도 ② 비율변화도표 ③ 대수눈금도표

6.

자료의 측정

1) 대표치 (1) 평균값 ① 산술평균(가장 대표적) ② 기하평균: 중앙치가 한쪽으로 몰릴 경우 이용 ③ 조화평균: 속도에 이용 (2) 중앙값: 측정값을 크기 순서대로 배열 (3) 최빈치: 양적 대표 값으로 도수분포에서 그 변량의 측정치 중 최다치 2) 산포도 (1) 표준편차: 평균에서 흩어진 정도 (2) 평균편차: 평균치의 편자에 대한 절대값을 평균 (3) 변이계수: 산술평균 100, 표준편차가 산술평균 100에 대한 얼마나 크 기인가 보는 것

3) 정규분포 (1) 정의 (2) 특성 평균을 중심이 좌우가 대칭 평균치 = 중앙치 = 최빈치 (3) 정규분포의 신뢰구간과 신뢰도 통계학의 기본 , 주요한 분포

4) 상관관계 (1) 상관계수 상관의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 (2) 상관도표 두 변수의 관계를 직교좌표에 표시한 것

7.

보건통계에 이용된 지표

1) 측정치의 종류 (1) 비 분자의 분모에 대한 대비 ( 영유아 대 노인 수 ) (2) 비율 분자의 분모에 대한 비율 ( 지역주민 중 특정질환 수 ) 2) 질병통계에 사용되는 비율 (1) 발생률 : 일정기간에 새로 발생한 환자 수 (2) 발병률 위험에 폭로된 인구 이차발병률 병된 2 : 100 명당 별병자수 최초환자와 접촉자 차 발병자 100 명당 최초 환자로부터 접촉하여 발 (3) 유병률 지역주민 중 특정 질병이나 건강문제에 이환된 사람의 비율

(4) 이환율 일정한 시점에 살고 있는 인구 중에서 특정질환을 가진 환자의 비율 (5) 치명률 특정질병에 이환된 자 중 사망한 자 (6) 감수성 지수 접촉감염지수 , 전체 감수성 자에 대한 발병인자 급성호흡계통 전염병 3) 인구통계에 사용되는 비율 (1) 출산통계 모자보건 , 가족계획 등과 관련된 중요한 의미 , 일정인구에 대한 출생수 (2) 보통출생률 ( 조출생률 ) 인구에 대한 연구 출생아수 ( 정상출생 )

① 일반출생률 - 가임여성(15-49세) 인구의 출생률, 생식가능 여성 1000명당 출생률 ② 연령병 출생률 - 특정연령의 여자인구 1000명당 같은 연령의 여자가 출생한 수 (3) 인구의 재생산 통계 ① 합계 생산율 - 가임여성이 출산한 출생수의 크기 ② 총재생산율 - 15-49세 동안 1인당 출산한 딸의 총수 ③ 순재생산율 - 15-49세 동안 여자 1인당 출산한 딸의 총수

4) 사망통계에 사용되는 비율 (1) 보통사망률 ( 조사망률 ) 인구 1000 명당 1 년간의 발생 사망수 (2) 영아사망률 연간 총 출생아 1000 명당 0 세 사망을 비율 국가의 보건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3) 신생아 사망률 연간 총 출생아 1000 명당 연간 신생아 (28 일 미만 ) (4) 모성사망률 연간 출생아 1000 명당 사망 모성의 총수 임신 중 전염병 , 교통사고는 불포함 사망수

(5) 사산율 연간 총 출생수 ( 사산수 + 출생수 ) 1000 명당 그 해 총 사산수 ( 임신 후 ) (6) 주산기사망률 연간 총 출생아수와 사산아수 의 총사망아 수 1000 명당 그 해 사산아수와 생후 원인 : 임신중독 , 난산 , 조산아 , 무산소증 , 조산소증 등 28 주 이 1 주 사이 (7) 1-4 세 사망률 그해의 1-4 세 인구수 보건수준의 지표 (8) 사인별 사망률 연중 1000 명당 그해 1-4 10 만명당 특정사인에 의한 사망수 세 사망수 여러가지 사인군으로 나눔

(9) 출생사망지수 연간 사망수에 대한 연간 출생수 (10) 사망성비 연간 여자사망수에 대한 남자사망수

(5) 병원통계에 사용되는 비율 (1) 입원율 대상인구에 대한 대상인구수 중 연간 입원 수 (2) 병상 점유율 대상 인구 중 1 일 평균 병상 점유수 (1000 명당 ) (3) 평균재원일수 일정기간 충 퇴원 환자수에 대한 퇴원자의 총 재원일 ( 사망포함 , 신생아 X) (4) 병상이용률 병상수에 대한 (5) 병상 회전율 1 일 평균 재원환자수 일정기간내 사용가능한 평균 병상수에 대한 퇴원환자수 ( 사망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