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간호의 역사 조신시대의 간호 근대적 간호의 시작 일제시대의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 간호의 역사 조신시대의 간호 근대적 간호의 시작 일제시대의

한국 간호의 역사
조신시대의 간호
근대적 간호의 시작
일제시대의 간호
한국간호의 성장기, 발전기, 성숙기
조선시대의 간호
웃어른에 대한 공경, 어린이에 대한 돌봄, 아픈 사람
에 대한 간병- 우리 민족의 전근대적 간호, 여성이 일
차적으로 책임을 지고 직접적 행위
 조선시대의 문헌에 나타난 간호-’간호’, ‘간병’, ‘호시’,
‘간시’, ‘간심’
 ‘내훈’, ‘계녀서’, ‘규합총서’ 3권을 통해 조선시대의 간
호에 대해 엿볼 수 있다.
 내훈: 부녀자의 훈육에 대한 내용, 7장으로 구분, 제
1장’언행’에서는 부녀자의 말과 행실에 있어서 주의
점, 식사예절 및 청결관념이나 위생에 관한 내용, 제
2장’효친’은 어버이에 대한 올바른 효도방법, 제 5장
‘모의’는 어머니로서의 예의범절로 주로 아동교육,
태교에 대한 내용

조선시대의 간호
계녀서- 수신제가에 대한 20개조 수록. “부모 섬기는
도리라”편에서 “질병을 걱정하지 않는 것도 불효”라
고 언급. “종요로운 경계라’편에서는 부녀자들이 자
신의 건강관리에도 유념하는 내용이 담김. “질환 모
시는 도리라”편에서는 웃어른이 편찮을 때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조심하고 병구완에 정성을 다하도록 교
훈. “ 자식 가르치는 도리라”편에는 태교와 훈육에 대
한 내용
 규합총서- 집안살림에 필요한 의술로 ‘청낭결’에는
태교 및 아기 기르는 요령과 여러가지 병 치료하는
법, 구급처치법, 약물금기등이 수록
 이 책 3가지는 조선시대 가정에서 여성이 가족의 건
강을 책임지는 사람이자 간호인으로 간주되었으며
그 역할수행이 여성 교육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였

조선시대의 의녀제도
조선정부가 의녀제도를 마련한 배경- 유교적 여성관
즉 남녀유별관과 열녀는 불갱이부한다는 절열관에
입각한 구체적 실천으로써 내외법과 수절을 지향. 내
외법은 여성의 진료에서도 예외일 수 없었다. 남의에
게서 진료를 받는 것 조차 허릭되지 않음.이를 해결
하기 위해 새롭게 여성 의료인을 양성할 필요가 대두.
그리하여 의녀제도를 신설하고 제생원에서 소녀들
에게 의술을 가르침.
 의녀를 둔 직접적인 이유- 1)여성에게 의술을 가르쳐
서 궁중과 사족 여성의 병을 구료, 2)유학의 ‘군자학’
의 추구로 인해 생긴 잡학에 대한 천시의식, 3)의약
제민 정책(백성의 생명을 구제하고자 보건사업에 관
한 관심을 일정하게 표명)으로 인해 남의에게 자신의
환부를 보이기를 꺼려하여 죽음에 이르지 않도록 여
성의료인 양성

의녀의 양성
의녀의 신분은 관비, 선발의 기준은 나이와 총민함
 관비에게 의학교육을 시켜 의녀로 만든 이유-1) 관비
는 국가소유 2) 천민이기 때문에 부녀와는 달리 쉽게
남성의사로부터 교육을 받을 수 있음 3) 국가에서 지
정하는 곳이면 어느 곳이든지 보내져서 의료행위를
할 수 있음 4) 일정 실력에 도달한 후에 일을 그만두
지 못하도록 국가에서 규제할 수 있음
 의녀를 가르친 교육자는 제생원의 훈도, 세조 6년 5
월에 제생원이 혜민서에 합쳐지자 의녀의 교육도 혜
민서에 관장. 의녀에게 먼지 ‘천자’, ‘효경’, ‘사서’를 가
르침. 이후 의서를 익힘. 혜민서 의녀는 매월 일종의
시험을 통해 합격과 불합격 여부 평가

의녀교육




의녀를 시험성적에 따라 내의, 간병의, 초학의의 3등급을
나누고, 매월 능력평가에 따른 점수를 연말에 통산하여
불합격이 많은 자는 봉족을 빼앗는 벌을 주게 됨.
의서를 통해 의녀에 대한 교육내용 – 진맥, 침구, 명약등
의학의 기초부분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부인병관계의 전
반적인 기초지식
의술을 정밀하게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습, 침술은
의녀들끼리 실험을 해가면서 익힘, 의술의 정밀도를 제고
하기 위해 1:1의 개인교숩, 내의원의 의녀는 내의원 소속
의 의관 12인이 나누어 가르침
의료인으로써 자격을 부여하는 성재여부-지방출신 의녀
의 경우 지방에서 여성 의료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
내의녀를 대상으로 자격이 있다고 판명되면 차비대령 의
녀 또는 사환의녀, 어의녀가 될 수 있는 자격
의녀의 분화
내의녀 중 차비대령 의녀는 일반 내의녀보다 상위의
위치에 있음, 사환의녀는 차비대령 의녀의 하위에 심
부름, 어의녀는 내의녀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정원이
없이 운영되었고, 산실청 의녀로 선발
 혜민서, 내의원 외에 의녀가 소속되어 의료일을 하는
관청은 산실청, 시약청, 치종청
 조선후기에 이르면 의료상의 전문성에 관련하여 침
의녀, 맥의녀, 약의녀로 분화

의녀의 활동
간호, 조산, 진찰, 침구, 명약
 일반적으로 의녀가 궁중의 여성을 진맥하여 증후를
전언하면 의관이 의녀의 말에 입각하여 치료방법을
논하여 병을 치료하거나 언문으로 상세히 기록하여
전하여 의료상의 정밀을 기하기도 함.
 의녀는 진찰정도 수행할 뿐 병의 원인까지 파악하지
는 못했음
 명약은 의녀의 임무 중 하나지만 주로 의관의 영역이
고, 의녀는 의관이 조제해준 약을 시약하고 그 과정
에서 약의 정지 여부를 판단함
 의녀는 남성을 대상으로 의료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의녀가 관비라서 남녀유별의 도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다고 볼 수 있다.

의녀 활동의 다양화
기생활동, 술을 따르는 행위. 이러한 의례담당은 조
선말까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 여성을 수색하는 일도 수행, 혼례에 사치를 범하는
풍속을 금단하는 조처를 강구하는데 임무가 책정되
기도 함
 이렇게 의녀가 본래의 목적에 더하여 다양한 역할을
맡게 된 것은 사회의 발전과 국가 기능의 확대에 따
라 나라에서 필요로 하는 여성 인력은 많아지는 반면,
통치 이념으로 유교를 유지하는 한 그에 활용할 수
있는 여성 인력은 제한.

의녀의 특전
일반관비와는 다른 특전
 조선의 신분제도는 종모법을 따랐으므로 관비 출신
인 의녀의 소생자도 천인이 되어야 했다. 그러나 그
중 가축자에 한해서는 양인이 됨을 허락했다.
 다른 관비와는 달리 치장이 허용
 조선 후기에는 차비대령 의녀와 내의녀에게 쌀과 좁
쌀을 매달 급료로 제공, 혜민서 의녀 중에 능력있는
사람에게는 쌀과 좁쌀을 제공
 국가가 호에 부과하는 요역의 부담을 감면
 출역하지 않은 장정을 출역한 집에 지급하여 그 집의
일을 도와주게 하는 봉족 수여
 의녀가 사회활동을 하면서 국가로부터 공로를 인정
받을 경우에는 국가가 의녀에게 상을 내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