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 Env1

Download Report

Transcript 슬라이드 - Env1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지도교수 : 김 준 현
춘천시의 수환경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GIS 및 DB 분석 시스템의 개발
2001. 6.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환경시스템연구실
발표자 : 최 윤 호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연구 목차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연구의 목적

문헌연구 및 이론 연구

연구 방법

연구 내용

연구 결과

결론

응용 및 제언
I.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단순형태의 환경정보 수집 및 관리

체계적인 DB 구축 및 네트워크를 통한 수집 체계

속성자료와 도면정보의 결합한 환경지리정보 구축

통합시스템 및 정책지원시스템으로 발전
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정보 및 정책지원시스템은 성격이 다른 여러 기관으로 분산된
자료의 수집, 구축되기 때문에 수집기간 장기화와 시스템 유지 보수 비용 소모 등의
문제가 발생될 요지가 있어 시스템의 제 기능을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음






웹 상에서 문자 형태의 단순 정보 제공
공간 분석의 부족
사용자 요구의 다양한 정보 자료 제공 부족
분산된 자료 수집 구축으로 인한 수집 문제
정부와 지방정부와의 유기적 정보 교환 문제
자료 수집과 갱신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요구되고 있음
II. 연구의 목적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수환경 관리를 위한 웹 기반 GIS 및 DB 분석 시스템 개발
 웹 기반의 GIS 를 이용한 수질환경정보시스템 구현
- 동적인 이미지 제공
- 인터넷 을 통한 자료 수집 및 관리
- 사용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정보 제공
- 정부와의 정보 공유 관계 유지
 Web GIS를 이용한 오염원 관리 응용
III. 문헌 및 이론 연구
국내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국외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국내 웹 기반의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국외 웹 기반의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웹 기반 GIS 구현 방법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국내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국외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국내 웹 기반의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컴포넌트를 활용한 순천시 생활정보서비스
-예측적 공간정보 모형을 이용한 웹 기반의 환경관리시스템 개발을
대한 개념 설계
-웹 기반의 환경관리를 위한 지표수, 지하수, 해수, 상하수도 시설 등의
수환경 문제에 대한 적용 연구
-인터넷 상에서의 농업 토양에 대한 자료 제공을 위한 토양
환경정보시스템
국외 웹 기반의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사례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인터넷 GIS를 이용한 병충에 대한 정보의 빠른 수집 및 분석과 효율적인
정보 공유에 대한 연구
-웹 기반의 GIS를 이용하여 수질이 도시에 미치는 영향 평가
-Ohio의 생태 수질에 관련된 환경자료들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브라우저 상에서 이용하여 정보 획득
-Moxi Media 사의 인터넷에서 맵 기반 데이터베이스 관리에 접근하여
어획량에 대한 정보 검색(캐나다 해양수산부에서 진행되고 있은 연구)
웹 기반 GIS 구현 방법
1.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의 현황
- 웹 GIS는 인터넷 구현기술을 GIS와 결합한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입력, 수정, 조작, 분석, 출력 등의 작업을 처리 네트웍
환경에서 GIS 데이터의 서비스 제공을 할 수 있게 구축된 GIS 를 말함
- 인터넷과 GIS의 결합은 지리정보와 관련된 데이터와 GIS를 통해 처리한
결과를 효율적으로 고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음
-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별도의 GIS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실행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적절하게 인터넷 환경에서 구현 할 수 있고 사용이
용이하며 쉽게 접근 할 수 있다는 장점과 유지 보수 및 비용이 절감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2. 웹 GIS 특징
1.
C/S 시스템의 통합적 형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서버 프로세스로 분리한 서비스 기반을 말함
2.
동적인 이미지 제공: 분석, 확대, 축소 등의 질의 등을 말함
3.
데이터 분산형 : 분산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에 접근하여 분산처리 가능
4.
기종간에 접속이 용이함
5.
다양성 시스템 : 다양한 환경의 데이터나 기능에 접근이 용이함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3. 웹 GIS 구축을 위한 인터넷 상호작용의 시스템 설계 기술
1.
서버중심의 인터넷 GIS
2.
클라이언트 중심의 인터넷 GIS
3.
혼합방식의 인터넷 GIS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4. 웹 GIS 구현에 이용되는 기술
상업용 제품에는 Intergraph의 gomedia web map과 esri 등이 있음
1.
MO IMS
2.
ArcView IMS
3.
ArcIMS: 맵 서비스 제공, 맵 서비스와 관련된 상호 통신을 위한 맵 페이지를
개발할 수 있으며 사이트를 관리하는 작업들을 간단히 할 수 웹 GIS 기술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5. 웹 GIS 구현 기술 분석 방법
1.
WWW
2.
CGI
3.
CORBA
4.
ASP: 기존의 HTML과 CGI등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서
클라이언트 요구에 동적으로 작동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쉽고
안전하게 상호작용하며 서버 측면에서 작동하는 스크립트 환경을 가지는
도구임
IV. 연구 방법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웹 상에서의 시스템 개발 방법
- 웹 GIS 구현에 이용된 기술의 비교 분석
 웹 GIS를 이용한 수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구현 방법
-연구대상지역 선정
- 자료수집 및 자료 구축 : 도면 자료, 속성자료
 웹 상에서의 시스템 개발 방법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웹 GIS 구현에 이용된 기술의 비교 분석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수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구현 방법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연구대상지역 선정과 자료수집 및 자료 구축
1.
연구 대상지역 선정
- 지역 : 춘천시
- 행정구역 : 102개의 읍 면 동 리를 포함
- 인구 : 249075명 (1999년 기준, 시가화와 비시가화)
- 오염물질의 유입 증가로 수질 오염 저감 대책 정책 추진
: 맑은 물 보전 대책, 폐수배출 방지시설관리, 환경 GIS 구축 등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2. 자료 수집 및 구축
- 속성자료 : 오염원, 환경기초시설, 수질현황, 유량현황, 기상현황,
용수현황, 부하량
- 도면자료 : 지형도, 배수구역도, 행정구역도, 토지이용도,
녹지자연도, 수변구역도, 토양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V. 연구 내용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1. 환경 GIS 정보 구축
-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도형정보 구축
- 토지이용현황도 및 현황
: 1:25,000, 학교, 주거지역, 공장지역, 상업지역, 공원녹지지역,
임야로 분류
: 지목별 현황(대부분 임야가 차지)
: 용도별 현황(농림지역-도시지역-자연환경보호지역-준농림지역)
- 수변구역도
: 수변구역지정은 수질악화 개선을 위한 1998년 말에 팔당호 등
한강수계 물관리종합대책 수립
: 춘천시 수변구역(서면의 안보리, 당림리, 의암리, 덕우원리와
남산면의 서천리, 강촌, 백양리, 방하리, 관천리)
춘천시 수변구역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춘천시 토양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데이터베이스 정보
: 오염원정보
: 환경기초시설정보
: 폐수배출업소현황정보
: 수질정보
: 용수정보
: 댐 및 호소 정보
: 오염부하량 정보
: 기상자료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2. 웹 기반의 환경정보 구축
- 웹 기반의 ArcIMS 을 이용한 정보 구축
: 행정구역, 하천도, 수변구역도, 상수원 보호구역 등의 도면자료
: 수질측정, 유량측정, 강우측정, 댐, 호소, 매립지, 하수처리장 위치
등의 속성자료에 대한 정보를 ArcIMS을 이용하여 구축
- 웹 기반의 수환경정보시스템
: 공간정보와 속성정보 제공(오염원 현황, 환경기초시설현황,
배출시설현황 등)
- 인터넷을 통한 Picture Web 정보 제공
: 환경문제 유발지역에 대한 사진과 내용을 제공, 주민들 의견 수렴
: 환경영향평가시 주민의견 수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웹 기반의 환경자료관리시스템
: 자료 수집 체계 단순화
: 자료의 분석 및 구축에 소요되는 인력과 노력의 최소화
: 웹 상에서의 자료 수집, 입력, 검색
: 자료검색시스템은 자료를 도면정보와 연결하여 덱스트와
공간정보의 양방향 검색 가능
: 자료입력시스템은 관리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자료 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
ArcIMS을 이용한 수질환경정보시스템 수행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기반의 자료검색시스템 모형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기반의 자료 수집 입력 시스템 모형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기반의 자료 관리 시스템 모형도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3. 웹 GIS와 데스크탑 GIS의 비교 분석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VI. 연구 결과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1.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
- 웹 GIS 정보 검색
- Picture Web 정보 검색
- 수질환경정보 검색
- 자료관리시스템
- 기능적 시스템 구현 : 사용자, 관리자, 공간정보, 지도 Display 가능
춘천시 수질환경정보 시스템 의 Index 화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검색을 통한 수질환경정보 시스템 의 초기화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정보 검색을 통한 지역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정보 검색을 통한 수질측정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정보 검색을 통한 소양호 호소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GIS 정보 검색을 통한 춘천호 호소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수질환경정보 검색을 통한 오염원 현황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수질환경정보 검색을 통한 환경기초시설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수질환경정보 검색을 통한 배출시설 현항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상에서의 상수원 보호구역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상에서의 하수처리장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웹 상에서의 매립지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Picture Web 정보 검색을 통한 댐 및 호소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Picture Web 정보 검색을 통한 상수원보호구역 정보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자료관리시스템을 통한 웹 상에서의 수질 정보 관리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VII. 결론
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수질환경정보스템의 모델을 춘천시에 적용
: 정책입안 및 환경영향평가에 따른 적극적인 주민 참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웹 상에 구현
: 웹 GIS 정보, 수질정보, 이미지 정보, 효율적인 웹 상에서의
자료관리의 시스템을 구현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유기적 관계에
따른 정보 공유의 원활한 상호관계 의 가능성 제시하고 함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1.
정적인 자료가 아닌 동적인 자료가 제공하기 위해서 웹 GIS 기술인 Arc/IMS와
웹 GIS 구현 기술인 ASP(Active Server Page)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환경정보에
대한 자료 입력 및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2.
인터넷을 통한 자료수집 및 지리정보시스템 분석과 웹 기반 GIS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수질환경정보시스템의 모델 제시로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정책입안 및 환경영향평가시 적극적으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웹
상에서 구현하였다.
3.
시스템 사용자는 인터넷상에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지도 확대, 축소, 이동이
가능하고 환경정보를 지도와 함께 전송하여 지도 Display가 가능하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4.
지도상에서 측정 지점의 오염정도와 오염 배출업소의 위치와 오염정도를
조회하여 각각의 오염원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5.
정보제공자가(Server) GIS를 통해 분석하여 웹 상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네트워크를통해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가(Client)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GIS 소프트웨어를 다를 줄 모르는 사람도 GIS 분석결과를 인터넷에서 얻어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강원대학교
환경시스템연구실

수자원 관리를 위한 웹 기반의 GIS 및 DB 분석 시스템 개발하여 춘천시의
수질환경정보시스템을 구현하고 이것을 통해서 춘천시 유역에 대해서
비점오염원 관리시 웹 상에서 우선 결정 지역을 선정 및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의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지역에 대한 오염원 정도를 쉽고 빠르게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