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악기 - 고암중학교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국의 악기 - 고암중학교
고암 중학교 1학년 1학기
교과서 108페이지
국악과 서양음악을 비교해 보자
국악
서양음악
학습목표
1. 팔음에 의한 분류를 이해 할 수 있다.
2. 국악기의 종류와 특징을 알 수 있다.
연주 방법에 의한 분류
1. 현악기 –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2. 관악기 – 대금, 소금, 단소, 피리, 태평소,
나발
3. 타악기 – 장, 북, 징, 꽹과리, 박, 축, 어..
팔음(8가지 재료)에 의한 분류
1. 금부(쇠붙이): 편종,특종,징,나발 등
2. 석부(돌):편경,특경
3. 사부(명주실):가야금,거문고,해금,아쟁 등
4. 죽부(대나무):대금,소금, 피리,단소 등
5. 포부(바가지):생황
6. 토부(흙):나각, 훈,부
7. 혁부(가죽):장구,좌고,북, 소고 등
8. 목부(나무):박,축,어, 태평소
금부 (쇠붙이로 만든 악기)
편종
특종
금부 (쇠붙이로 만든 악기)
자바라
양금
금부 (쇠붙이로 만든 악기)
꽹과리
징
금부 (쇠붙이로 만든 악기)
나발
편종
편경과 함께 유율 타악기이다.
나무틀에 각각 8개씩 16개의 동종을 매달아
놓고 각퇴로 쳐서 소리를 낸다.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취타>등의 음
악에 쓰인다.
특종
황종(C)을 소리내는 큰 종 한 개를 매달아
연주한다.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등가에 편
성되어 제례악의 시작을 알린다.
양금 연주
양금
사다리 꼴의 울림통 위에 두 개의 괘를 받치고
있음
14벌의 철사줄을 채를 쳐서 소리를 냄
<구라철사금> 또는 <서양금> 이라고도 함
아라비아에서 덜시머(Dulcimer)라고 부르던 악
기임
자바라
<바라> 또는 <제금>이라고도 부른다.
서양의 <심벌즈>와 같은 모양의 악기로, 양
손에 하나씩 들고 맞부딪쳐서 소리 내는 타악
기이다.
<대취타>의 음악이나 절에서의 의식 음악에
쓰인다.
사물놀이 연주
꽹과리
<쇠>, <매구>, <깽매기>, <깽쇠>, <소금> 이
라고도 부르는 금속 타악기이다.
<풍물놀이>와 <사물놀이>에서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가락의 변화를 주도한다.
꽹과리 주자를 <상쇠>라고 부른다.
징
징은 놋쇠로 만든 금속성의 타악기이다.
<풍물놀이>나 <사물놀이>에 쓰인다.
장단의 첫머리에 연주하며, 가락의 단락을
지음
나발
국악기 중에서 유일한 금속 관악기임
한 가지 음만 낼 수 있음
행진 음악인 <대취타>에 쓰인다.
석부 (돌로 만든 악기)
편경
특경
편경
유율악기인 편경은 상하 각8개씩 모두 16개
의 경석을 매달아 놓은 악기이다.
각퇴라는 뿔망치로 쳐서 소리를 낸다.
관현악 합주시에는 기본음을 제시하는 악기
로 쓰인다.
특경
특종과 같이 한 개의 큰 경을 틀에 매달고
각퇴로 쳐서 소리낸다.
<문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등가에 쓰
인다.
사부 (명주 실로 만든 악기)
거문고
가야금
사부 (명주 실로 만든 악기)
해금
아쟁
거문고 연주
거문고
오동나무판에 6줄의 명주실로 만듦
술대로 줄을 밀거나 뜯어서 연주
소리가 깊고 무거운 남성적인 악기
고구려의 왕산악이 만든 고유 악기
가야금 연주
가야금
가야금
명주실의 12줄을 안족으로 받쳐 놓음
가실왕이 만들고 신라의 우륵이 유명함
손가락으로 뜯거나 퉁겨서 소리를 냄
음빛깔이 가볍고 아름다운 여성적 악기
정악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이 있음
해금 연주
해금
중현과 유현이라는 두 줄이 있음
두 줄 사이에 활대를 끼우고 문질러서 소리를
낸다
음역이 넓고 표현력이 풍부한 악기
서양 악기 중 바이올린과 비교되는 현악기
아쟁 연주
아쟁
아쟁
7줄로 된 현악기
활대를 이용하여 문질러서 소리를 낸다
국악기 중 가장 낮은 음역을 가진 악기
서양 악기의 첼로 역할을 한다.
대아쟁(궁중), 소아쟁(민속악)
죽부 (대나무로 만든 악기)
피리
단소
대금
피리 연주
피리
피리
고려때 부터 사용된 관악기로 대나무 관에
서를 끼워서 연주한다.
3가지 종류
당피리, 향피리, 세피리
퉁소, 단소 연주
단소
소리가 맑고 청아한 대중적인 관악기
독주용으로 널리 쓰이는 악기임
지공이 뒤에 1개 앞에 4개로 모두 5개임
병주로 많이 쓰임
대금, 소금 연주
대금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관악기
<저> 또는 <젓대> 라고도 부름
독주 및 관현악에 쓰이는 대표적인 악기
갈대 속의 얇은 막을 붙여 넣은 청공이 있다.
소금
대금, 중금과 함께 신라 3죽이라 불림
대금보다 작다는 뜻으로 소금이라고 함
가장 높은 소리가 난다
서양 악기의 피콜로에 비견된다
포부 (바가지로 만든 악기)
생황
생황 연주
생황
둥근 통위에 크고 작은 17개의 대나무관
을 꽂아 놓은 관악기이다.
국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낼 수 있는 악
기이다.
단소와 병주에 많이 쓰인다.(생소병주)
토부 (흙으로 만든 악기)
•
나각
훈
부
나발, 나각 연주
나각
소라 껍질로 만든 관악기로 뱃고동과 같은 소
리가 난다.
궁중 음악이나 군대 음악에 쓰인다.
나각은 <나> 또는 <소라>라고도 부른다.
부
점토를 화로 같이 만들어 구운 악기
9갈래로 쪼개진 대나무 채로 가장자리를 쳐
서 소리냄
<문묘제례악> 에 쓰임
훈
흙을 구워서 만든 저울추 모양의 관악기
두손으로 5개의 지공을 여닫아 소리를 냄
대체적으로 낮은음이 나며 칙칙한 소리를 냄
<훈>은 <지>라는 악기와 잘 어울린다고 하
여 <훈지상화>라고 한다.
혁부 (가죽으로 만든 악기)
장구
좌고
북
장구,좌고 연주
좌고
태극무늬 등을 그린 북을 나무틀에 걸어 놓
고 방망이 모양의 나무 채로 쳐서 소리내는
북 종류의 타악기
아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악기임
장구
일명 <세요고>라고도 불리는 우리 나라의
대표하는 반주악기
채편과 북편으로 구성되며, 채편은 복판과
변죽 부분이 있다.
소리북 연주
북
<풍물놀이>나 <사물놀이>에서 사용하는
풍물북과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소리북이
있다.
소고
북통에 손잡이를 달아서 만든 북 종류의 타
악기
작은 북 이라는 뜻에서 소고 라고 부른다.
<풍물놀이>와 각종 무용에 많이 쓰인다.
목부 (나무로 만든 악기)
박
축
목부 (나무로 만든 악기)
어
태평소
제례악 연주
박
6개의 나무조각을 엮어서 만든 제례악용
타악기
곡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지휘자의 역할
을 한다. <집박>
축
고려 때부터 사용 해 온 타악기이다.
나무로 짠 네모난 상자의 윗면 중앙에 꽂아
놓은 나무방망이를 내려쳐서 소리 내는 악기
이다.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같은 제례악에
서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데 쓰인다.
어
축과 함께 고려 때부터 사용한 타악기
백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양을 한 나무조각의
등 부분에 27개의 톱니를 길게 깎아 놓고 호랑
이의 머리 부분과 이 톱니 부분을 대나무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축과 함께 제례악의 음악에 쓰인다.
음악의 끝을 알리는데 사용하는 악기이다.
태평소 연주
태평소
쇄납, 호적, 날라리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는
관악기
군대의 <대취타>연주나 <농악> 등의 큰 음량
이 요구되는 음악에 쓰인다
국악기 중에서 소리가 제일 큰 악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