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혁신 속도에 걸맞는 지능로봇 기술인력 육성 방안

Download Report

Transcript IT 기술혁신 속도에 걸맞는 지능로봇 기술인력 육성 방안

정통부030828/EE807_KAIST_031205
IT 기술혁신 속도에 따른
지능로봇 교육 및 인력양성
2003. 12 . 5
KAIST
전자전산학과
교수 김종환
지능형서비스로봇
1.
2.
3.
4.
5.
6.
7.
목차
추진배경
현황 및 문제점
분야의 특수성
목표 및 추진방향
추진체계
단계별 추진계획
결론
[첨부1] 관련 학과/연구실 현황
[첨부2] MRDEC 추진 실적
[첨부3] CMU 로봇대학원 현황
1. 추진배경
1.1 지능로봇의 새로운 기회
•
자동차, 반도체에 이어 2만불 시대를 열어갈 차세대 미래전략산업으로
지능형 로봇 선정: 과기부, 산자부, 정통부 지원계획 발표
•
삼성, LG,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등 지능로봇 분야로 대기업의
본격적인 진출이 가시화되면서 안정적인 기술인력 수급에 대한 수요
증대 예상
•
정통부 9대 신성장동력
▲지능형 로봇 ▲포스트(Post) PC ▲디지털 TV ▲이동통신
▲디스플레이 ▲반도체(메모리/SoC) ▲텔레메틱스 ▲내장형 S/W
▲디지털 콘텐츠
•
차세대 10대 미래전략산업
▲지능형 홈 네트워크 ▲디지털 콘텐츠.소프트웨어 솔루션
▲지능형 로봇 ▲미래형 자동차 ▲차세대 반도체 ▲디지털 TV.방
▲디스플레이 ▲차세대 이동통신 ▲차세대 전지 ▲바이오 신약.장기
1.2 산업용 로봇 접근방식 한계
1. 추진배경
•
자동차, 반도체, 조선 등에 쓰이는 산업용 로봇 보유 세계 5위,
시장점유율 3.0% (’99. IFR 보고서)
•
현대, 삼성, LG, 대우조선 등 참여하였으나, 생산기술의 일환으
로 보고 기반기술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개발 없이 외국제품 도
입 및 단기적 응용기술에만 투자 (’99 산자부 자체 보고서)
•
CDMA도입이 개인휴대단말기 국제경쟁력 확보의 기폭제 역할
을 하였듯이, 지능로봇 분야의 세계적인 플랫폼 경쟁에 주도적
으로 뛰어들고 killer application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함
1.3 국가별 로봇판매 점유율(대수)
1. 추진배경
한국
3.0%
기타
10.0%
프랑스
3.8%
영국
1.7%
일본
43.7%
이태리
6.4%
독일
12.9%
' 99년 →
미국
18.5%
(1999. IFR 국제로봇연맹)
총 8 1 ,5 0 0 대
1. 추진배경
1.4 IT기술혁신과의 접
목
• 2003 미국 전자전 (CES) 및 유럽정보통신 전시회 (CeBIT)에서
삼성, 필립스, 소니 등 경쟁적인 비전 제시.
핵심 키워드: 디지털 컨버전스와 유비쿼터스
• 초고속인터넷과 무선기술, 디지털콘텐츠 등이 훨씬 직관적인 방
식의 가정 내 미디어 환경으로 바뀌고, 집안 내부의 기기들을 하
나의 네트워크로 연결
• 개인 정보생활의 도우미이자 인간과 가장 가까운 미래 가정의
비서로서 지능로봇의 Paradigm Shift 진행 중
(Software Robot = SoBot 또는 여타 지능형 환경에 이식 가능
한 모듈인 Robot Inside 통해 Ubiquitous Robotic World 실현)
• 2007년까지 홈네트워크 1,000만 가구 보급 등 빠른 시장진입
및 세계적 수준의 지능로봇 산업육성으로 2011년 15% 세계
시장 점유목표
1. 추진배경
1.5 Ubiquitous Robotic
World
At Home
SoBot
At Work
SoBot
SoBot
Cyber World
SoBot
At Car
At Play
2. 현황 및 문제점
•
2.1 관련 학과 및 연구실 현황
2007년까지 지능로봇 전문인력 (석박사급) 1,000명 필요
(2002 MRDEC 워크샵 발표자료, 삼성종합기술원)
•
몇몇 국가연구소, 대학연구실을 제외하고 지능로봇 전문 연구인력 부족
•
학부 수준에서는 동명정보대의 로봇시스템공학과가 유일, 충남대를 비롯한 13개
학교에서 전자, 기계의 복합학문으로 메카트로닉스 개설, 약 30여 대학의 로봇관
련 연구실과 동아리 활동 중 (첨부 1 참조). `
•
산학협동 프로젝트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공학교육 지원사업 (산자부) 20개교 실
시중
•
KAIST 마이크로 로봇설계 교육센터 사업 수행 (2000-2003 산자부 3개년 간 총
12억 지원) 결과, 대학생 이상 연구인력, 중소기업 기술인력 대상으로 1,000명
가량의 유료강좌수강 및 3,000여명의 온라인 회원 유치, 전문 교보재 개발 다수`
2. 현황 및 문제점
2.2 정책, 체계성, 전문성 미
약
•
정통부 2001년 인력양성사업에 3,577억원 투입하여 17,000명
의 IT분야 인력 양성 (자료: KIPA). 그러나 OECD 평가에서 높은
인프라 수준(4위)에 비해 인적자원(15위), 산업환경(16위)
(자료: 200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지능로봇 분야에 초점을 맞춘 종합적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정책,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태부족
•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확보 등 전문화, 특성화 미약
•
산발적인 기술개발, 단기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으로 방대한 기
반기술과 세계적인 기술혁신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움
3. 분야의 특수성
3.1 기술융합을 통한 진화
•
핵심 기술인 통신, 인공지능, 비전, 음성인식, HRI 기술 및 요소기술
(센서기술, Actuator 기술, 정밀 메커니즘, 모션제어기술, SI기술),
기반기술 (Micro Electronics, 기계설계기술, Software기술, 부품기
술, 소재기술) 등의 기술은 물론 산업육성 위한 산업디자인, 경영 등
총체적인 학문분야 연계 필요
•
기존 전기, 전자, 기계 등 기반 기술 위에 IT, BT, NT 등 기술융합 통
해 UbiBot, EmBot, HumanBot, BioBot으로 빠르게 진화 발전 예상
•
국가의 전폭적인 투자와 산, 학, 연 참여를 통한 집중적인 기술개발
필요 (미국, 일본 사례 참조)
•
이론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 기반 하에서의 시스템 통합 개발 경
험 중요
3.2 로봇의 진화
3. 분야의 특수성
Intelligence
BI
BioBot
AI
HumanBot
EmBot
CI
UbiBot
PR, SR,
FR
Text
Voice
Haptic
Bio-signal
Emotion
Interface
Wheeled
Embedded
Biped
Mobility
3. 분야의 특수성
3.3 로봇문화의 중요성
•
첨단기술력의 집합체인 로봇을 통해 국가적인 기술력 홍보와 동시
에 미래의 소비자들이 로봇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
•
혼다사의 ASIMO가 일본의 첨단기술력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주요
전시회 및 미디어를 통해 주목받고 있고 SONY는 RoboCup 대회
를 통해 AIBO를 보급하는 등, 유연한 마케팅 전략 구사
•
1995년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FIRA Cup을 통해 51개 회원국 네트
워크 형성 및 로봇축구 종주국으로서 최강의 실력 보유
•
창의적 과학영재 육성을 위하여 1998년 시작된 로봇올림피아드 역
시 12개국이 참가하여 1, 2위권 유지
•
국내 대표적인 휴머노이드로 자율이족보행에 강점이 있는 한사람
(KAIST), 지능화에 강점이 있는 AMI (KAIST) 활발히 활동 중이나
산업적인 연계 강화가 핵심과제
3.4 유형별 문화확산 방안
3. 분야의 특수성
Case 1: 경연대회 방식
Case 2: 전시회 방식
Case 3: 축제 방식
대회 조직위 구성
산학연 협의회 결성
산업 클러스터 형성
종목 및 로봇 스펙 결정
업체별 부스 전시
테마파크, 전시, 이벤트
언론 홍보, 학술연계
본격 제품 및 시장형성
지자체 지원, 정기•안정화
로봇 매니아 확산
일반인 참관
일반인참여, 관광객체험
기술개발 촉진
신제품 출시, 홍보
특성화산업, 이미지제고
4. 목표 및 추진방
향
•
4.1 시스템 통합 고급인력 양성
2007년까지 핵심기술인력인 시스템 통합기술 고급인력 위주로
1,000명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여 신속하게 세계적인 기술 수
준 따라 잡는 전략 필요
•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이 성과를 교육 커리큘럼으로 전환하는
방식 (Research & Education) 적극 활용, 또한 연구 프로젝트
를 마친 우수인력이 기업체로 활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
•
개별 대학이나 업체 단위의 지원으로는 한계, 사이버 로봇 아카
데미 형태로 커리큘럼 통합 및 실무교육 확산 노력 필요
4. 목표 및 추진방
향
4.2 인력양성 및 관련 인프라
2002. 삼성종합기술원 자료
인프라
인프라 사업
인 력
학사급 800명
학사급 1600명
학사급 2400명
석사급 200명
석사급 400명
석사급 600명
박사급100명
박사급 200명
박사급 300명
RT 전문학과의 신설 및 재편지원
RT관련 단기 기술인력 양성 프로그램
지능로봇 활용 관련 생산/서비스 인력 훈련 및 양성
RT보급 및 확산
을 위한 관련법
규 제정 및 정비
연구환경
특별소비세감면
및 소비자피해방
지 표준약관제정
지능로봇관련 응용 및 서
비스에 대한 규격, 성능
인증제도, 표준화
범국가적 로봇행사를 통한 대중화 확산
국내 연구소간
가상실험실네트
워크 구축
국외연구기관 교류확대 및 남북 협력체제구축
지능로봇 기술연구소 설립 운영
각 연구소의 분산
장비 공유
2002
2004
기술정보공유
시스템 구축
2007
통합 지능로봇 복합단지 형성
2011
5. 추진체계
5.1 인력양성 추진체계
산업정책 및 국제적인 협력
ITRC 기반
연구환경
워크샵
국제포럼
정부
지원정책
지능로봇
대학원
관련학과,
연구실
사이버
아카데미
산학연
네트워크
자격증, 인증체계
기술홍보,
문화확산
민간
협력기구
산업
클러스터
고급인력 배출,
영재교육
성과물 교육 컨텐츠화
6. 단계별 추진계획
산
업
화
기술수요예측 ,
시장조사 분석,
산업화 전략 제시
기반구축 단계
(2003-2005)
- 국내외 전문가 활용
기술개발 및 산업화 전
략 제시
인
력
양
성
- ITRC 중심으로 기반
기술 연구환경 마련 및
관련 학과 커리큘럼 재
편 유도
- 정기적 기술교류 워크
샵 및 국제포럼, 분야별
연구자 커뮤니티 운영
- 영재육성 방안 마련
6.1 단계별 추진계획(개요)
기술교류 및 이전,
핵심기술 인력 수급,
창업활성화
기술 상용화 단계
(2006-2008)
- 산학 공동프로젝트
통해 이론과 실무능력
을 겸비한 핵심기술인
력 양성 (캡스톤)
- 창업아이템공모, 취
업박람회 등 취업/창업
활성화
- 고급인력 확보 위한
전문교육기관 설립
- 연구성과물의 교육용
컨텐츠화
규격인증 ,
기술문화확산 ,
클러스터링
산업 성장확산 단계
(2009-2011)
- 세계적인
국제적인 수준의 연구
및 인력자질 확보 및 교
류 프로그램
- 수준별/분야별 자격
인증제도 마련
- 기업체 재교육 및 현
장맞춤교육 실시
- 산업클러스터 형성 통
한 정보, 기술, 인력의
집적 효과 극대화
6. 단계별 추진계획
6.2 ITRC 중심 기반 구
축
•
국내외 전문가 활용하여 산업적 특성과 국내의 경쟁력을 고려한
기술개발 및 산업화 전략 제시
•
국내외 신기술 및 특허동향을 수집, 가공하여 제공하는 정보네트
워크 구축 및 정기적인 기술교류 워크샵 및 국제 기술포럼 개최
•
ITRC 위주로 창의적인 학제간 연구풍토, 다양한 연구실험 장비
확보 및 관련 학과와의 연계 시도
•
영재교육에서부터 체계적인 교육 커리큘럼 마련
•
타부처 사업과의 원활한 연계 (과기부 프론티어 사업, ERC 등의
원천기술과 산자부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정통부 IT 로봇으로 빠
른 시장진입 전략)
6. 단계별 추진계획
6.3 교육 컨텐츠화
•
연구개발의 성과를 교육 커리큘럼으로 전환하는 방식 (Research
& Education) 적극 활용, 또한 연구 프로젝트를 마친 우수인력이
기업체로 활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
•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지능로봇대학원 및 관련 커리큘럼 확보를
통한 사이버 로봇아카데미 설립
•
IT 전문화,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지능로봇 추가 (Ex. 게임, SoC
분야) 및 기초인력양성, 고급인력양성, 산업인력 재교육, 잠재 인
력양성 등 정통부 기존 인력양성 사업과 연계
•
창업아이템공모, 취업박람회 등 취업, 창업 활성화 대책 마련
6. 단계별 추진계획
6.4 분야별 확산
•
국제적인 기술교류 프로그램 확산, 특허 및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활동 지원
•
사이버 로봇 아카데미를 지역별 거점 학교와 연계하여 실무교육
보강 및 수준별/분야별 자격 인증제도 수립
•
기업체 인력 재교육 및 맞춤형 교육 실시
•
산업클러스터 형성에 따라 기술창업, 기업체 재교육, 현장기술인
력, 고급설계인력, 국제협력, 산업정책인력 등 다양한 관련 정부/
민간 분야의 지원인력 육성
7. 결론
•
7.1 특성화, RIT, 로봇 문화
기존 IT 분야와 지능로봇기술과의 접목 통한 특성화 및 고급화 전략 추진 통
해 2007년까지 시스템 통합기술 위주의 1,000명 석박사 연구인력 양성
•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RIT)을 건립하여 고급 인력 집중 육성 및 국제적인
휴먼 네트워크 구축 필요
(cf.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의 Robot Institute, 첨부 3 참조)
•
로봇올림피아드, FIRA Cup, 지능로봇전시회 등 로봇 문화 확산 및 기술 성
과 홍보 등을 통해 조속한 산업인프라 구축에 기여
•
세계적인 IT 강대국 건설 자신감을 바탕으로 지능로봇을 Flagship기술로 하
여 IT산업의 고도화 및 지속적인 경제성장 주도
7.2 Flagship
7. 결론
컨텐츠
통신업체
인력
풍부한 교육오락용
컨텐츠 제공
다양한 플랫폼
연계 마케팅
체계적인
고급인력양성
정책
산업육성,
법제도정비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IT응용어플리케이션,
기술융합
지능로봇산업
준비된 사업환경
미래전략산업으로 IT 산업의 고도화 및 지속적 경제성장 주도
7. 결론
7.3 민중서림: 로
봇
7.4 알라딘 프로젝트
7. 결론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로봇
Technology will reach as far as
our imagination allows.
2002년 5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 중에서
J.-H. Kim
<첨부 1> 지능로봇 관련 학과 및 연구실 현황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강남대학교
전자공학과
이용현
Intelligent Sysytem Lab.(ISL)
제어계측관련 소프트웨어
강원대학교
전기전자정보통
이철희
지능형 시스템연구실
지능제어, 생체인식
강원대학교
전기전자정보통
최
Microwave Lab.
전자회로
강원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최명환
로봇공학 시스템 연구실
로봇제어, 제어이론 및 응용
경북대학교
전기전자컴공
이연정
지능로봇연구실
로보틱스, 지능제어분야
경북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권우현
컴퓨터응용제어연구실
전력전자, 모터제어
경희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박종국
자동제어연구실
자동제어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송재복
지능로봇연구실
햅틱스, 이동로봇, 병렬로봇
고려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이성환
인공시각연구센터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시스템
고려대학교
전자공학과
이성환
영상처리연구실
컴퓨터비전, 인공지능, 로봇축구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김은수
3차원영상미디어연구실
얼굴인식, 4족로봇, 자동제어
광운대학교
정보제어공학과
김진오
지능로봇 시스템연구실
서비스 로봇, Personal 로봇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이건영
지능제어연구실
두발 보행로봇, 퍼스널 로봇
광운대학교
정보제어공학과
임화영
디지털제어응용연구실
인공지능제어
광운대학교
정보제어공학과
조
메카트로닉스연구실
LMI를 이용한 로봇제어
경
황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국민대학교
기계자동차공
김정하
메카트로닉스실험실
메카트로닉스
군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이성룡
무량수
GPS, 관절로봇, 라인트레이서
대구가톨릭대
기계자동차공학부
윤병옥
응용역학실험실
자동차 제어
동국대학교
기계공학과
곽문규
MAC
자율이동로봇 형태 진공청소기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최부귀
지능제어시스템연구실
지능로봇
배재대학교
전자공학과
정재길
Digital System Lab. (DSL)
제어, 메모리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이민철
계측제어연구실
바이패드 로봇, 모바일 로봇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
이장명
지능로보트실험실
로보틱스, 응용분야, 제어
서강대학교
전자공학과
이쾌희
로봇비젼연구실
로봇비젼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박종우
로봇자동화실험실
로보틱스, Human modeling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설승기
SIGMA
로봇축구, 마이크로마우스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이범희
지능로봇연구실
산업용로봇, 제어
선문대학교
기계 및 제어공학부
고경철
지능로봇연구실
컴퓨터비전, 휴머노이드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국태용
ICON
KINGGO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이석한
나노지능시스템연구실
서비스화 지능로봇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전재욱
자동화연구실
모션컨트롤러, 제어기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최혁렬
메카트로닉스연구실
모바일로봇, 보행로봇
순천대학교
전자공학과
문용선
영상기반로봇 제어실험실
영상인식, 로봇제어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
한헌수
Vision Lab.
이동로봇, 센서개발응용, 로봇제
어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홍석교
로봇응용연구실
로보틱스, 제어이론
안동대학교
기계공학과
장봉춘
메카트로닉스
전쟁로봇, 응급구조로봇
연세대학교
전기전자학과
박민용
지능제어시스템연구실
Fuzzy, image Processing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최용제
기전 및 로봇공학연구실
Haptic Device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수홍
지능형마이크로설계연구실
지능형 CAD 설계
영남대학교
전기공학과
이석규
POWERSUPPLY
축구로봇, 지능로봇
울산대학교
전기공학과
노영식
로보틱스 및자동화연구실
로봇개발, 제어이론 연구
원광대학교
전기전자정보공
오성권
Fuzzy & Automation System
Lab.
퍼지이론, 인공지능
인제대학교
산업공학과
김만식
지능생산자동화 및정보기술연
구실
산업로봇, PLC
전북대학교
생물자원기계공
김성민
농업센서 및 로봇공학 실험실
응용농업 기술 및 기계연구
전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유범상
로봇생산자동화실험실
로봇공학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전북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
함운철
제어연구실
Step motor 구동기술
제주대학교
기계에너지생산공
학부
최경현
AMM (Advanced Micro
Mechatronics)
MEMS Robot Agent
조선대학교
제어계측공
고낙용
자율로봇제어시스템연구실
모바일 로봇, 초음파 센서
중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강
훈
Softcomputing & 3D System
Lab.
Fuzzy System
중앙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심귀보
인공생명 및 지능정보 시스템
연구실
로보틱스, 지능정보시스템
중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이홍기
제어공학연구실
로봇, 자동차제어
중앙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전홍태
지능시스템 및 휴먼로봇연구
실
제어로보틱스, 진화연상, 퍼지
충남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
정 슬
지능시스템 및 감성공학실험
실
지능형 자동주행이동로봇
포항공대
전기공학과
이진수
MASKARO
로보틱스, 자동화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정완균
로봇 및 의공기전연구실
각종제어이론, 유연한 로봇
포항공대
전자공학과
오세영
지능로봇 연구실
Autonomous Mobile Robot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원상철
Control Lab.
Robot compliance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오세영
지능로봇연구실
자율이동로봇, 얼굴인식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염영일
지능형 이동로봇연구실
매니퓰레이터, 바이오로보틱스
한국해양대
기계공학과
최형식
지능로봇 및 자동화실험실
이족, 다관절로봇. 배틀로봇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한양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서일홍
지능제어 및 로보틱스 연구실
센서기반 매니퓰레이터, 지능제어
한양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
박종현
메카트로닉스연구실
로봇제어, 초정밀 기계제어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공
양성일
음성신호처리연구실
음성인식로봇, 6족로봇
한양대학교
전자공학과
임준홍
ASER 연구실
로봇개발관련제어
한양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이병주
휴먼로보틱스연구실
로보틱스
KAIST
전자전산학과
박철훈
신경망 및 기계지능연구실
인간지능, 진화알고리즘
KAIST
전자전산학과
이수영
계산 및 신경시스템연구실
인간기능시스템, 음성인식
KAIST
기계공학과
권동수
Telerobotics & Control Lab.
Medical Robot, 엔터테인먼트
KAIST
전자전산학과
권인소
Robotics & Computer Vision
Robust Vision
KAIST
전자전산학과
김병국
실시간 제어연구실
Mobile Robot
KAIST
전자전산학과
김종환
RIT Lab.
한사람, 마이봇, 지능제어
KAIST
전자전산학과
문건우
APDL
전력전자, FACTS
박동조
정보처리시스템연구실
신호처리 및 네트워크분야
KAIST
전자전산학과
KAIST
전자전산학과
변증남
인간친화복지로봇시스템연구
센터
제어이론, Fuzzy & Intelligent 제
어
KAIST
전자전산학과
양현승
인공지능연구실
Human Robotics, Human Vision
학교
학과
담당교수
연구실
주요연구내용
KAIST
전자전산학과
오영환
음성언어연구실
음성확성, 음성인식
KAIST
기계공학과
오준호
기계제어 실험실
시각, 보행로봇 제어
KAIST
전자전산학과
유창동
멀티미디어신호처리연구실
음성인식, 음성코딩
KAIST
기계공학과
이두용
이산이벤트시스템 및 제어연구
실
Haptics
KAIST
전자전산학과
이주장
인공생명 미래연구실
우주로봇, 의료재활로봇
KAIST
기계공학과
장평훈
로봇제어 연구실
제어이론 및 응용, 로보틱스
KAIST
전자전산학과
정명진
Robotics Research Lab.
간호로봇, 서비스로봇, 로봇비전
KAIST
기계공학과
조형석
제어 및 자동화 연구실
Vision System, 지능로봇
<2003. 4. MRDEC 자체조사 자료, 총 35개 대학 83개 연구실, 가나다순>
<첨부 2> MRDEC 추진실적
1. 교육 (강좌) 실적 : 실습 강좌
1000명, 온라인 3,000명
- 로봇 강좌의 정규 커리큘럼 구축
(중소기업, 대학원생 위주)
- 온라인 강좌 강화
(http://MRDEC.kaist.ac.kr)
2. 로봇 관련 기업에 대한 직접적
인 지원 확대
- 현장 맞춤 강좌 확대
- 로봇 Database 및 멀티미디어
정보제공
3. 교육환경 구축 및 컨텐츠 확보
- 서울 / 대전 실습환경 구축 및 웹
사이트 통한 수강환경 제공
- 전문교재 및 학습교보재 개발
4. 기술교류 및 정책방향 제시
- 휴머노이드 워크샵, 국제 지능
로봇 기술포럼 등 개최
- 지능로봇 인프라 구축방안, 지
능로봇산업화센터 운영참여
선도적인 교육환경과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능형 로봇 분야의 견인차 역할
<첨부 3> CMU 로봇대학원 현황
O 카네기 멜론 대학의 School of Computer Science 소속으로 1979년
설립된 로봇분야의 선구적인 교육기관. (http://RI.cmu.edu)
O 2003년 7월 현재, 79명의 교수진과 다수의 참여연구인력, 석박사급
학생 94명 보유
Faculty = 52 / Adjunct Faculty = 27 / Post Doctoral Fellows = 13
Visitors = 32 / Research Staff = 111 / Support Staff = 21
Ph.D. Students = 81 / MS Students = 13
O 2002년 회계연도 소요비용은 $33.5 million이며,
DARPA (Air Force, Army, ONR), NASA, NSF 및
기타 정부기관, 회사, 민간으로부터 후원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