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영상산업진흥 5개년 계획

Download Report

Transcript 방송영상산업진흥 5개년 계획

나라를 키우는
방송영상콘텐츠 육성 방안(요약)
- 방송영상산업 진흥 5개년(’08~’12) 계획 -
2008. 7. 9
2008. 7. 25
1
목
차
1. 방송영상콘텐츠 진흥정책의 필요성
2. 방송영상산업의 진단과 정책방향
3. 5대 정책목표와 20개 중점과제
4. 주요 5대 정책과제
5. 기대효과
M i n i s t r y
of
C u l t u r e, S p o r t s
and
T o u r i s m
Chap.
1
방송영상콘텐츠 진흥정책의 필요성
방송영상산업 중요성과 디지털 융합
방송영상콘텐츠는 신경제 성장 산업
드라마를 대한민국 브랜드 콘텐츠로 육성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산업구조 선진화 시급
융합시대, 미디어 복지가 곧 문화 복지
3
1-1
방송영상산업의 중요성과 디지털 융합
방송영상산업의 중요성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
<겨울연가> 부가가치 3조원 (현대경제연구소 2004)
- 융합형 매체 IPTV의 대부분 방송 콘텐츠로 서비스
방송 한류로 국가이미지 제고: 경제성장, 가전산업, 융합서비스 핵심
’06년 LG전자시장점유율 1위
현대자동차 수출급증 (3,743대
국민 문화 여가활동 중 ‘텔레비전
시청’ 1위
)
<대장금> 대만 방영 후
※
18,527대
물질적 풍요에서 정신 감성적 풍요의 시대로, 지식기반경제에서 문화경제시대(Cultural Economy)로
http://www.mcst.go.kr
4
1-1
방송영상산업의 중요성과 디지털 융합
방송통신 융합과 콘텐츠 산업 패러다임 전환
디지털 융합에 따른 가치사슬 변화
- 제작주체, 콘텐츠, 패키징, 네트워크, 이용방식의 융합과 다원화
플랫폼에서 콘텐츠로 중심 이동 : 콘텐츠 확보가 플랫폼 경쟁력을 좌우
방송영상콘텐츠가 융합서비스, 원소스멀티유즈의 핵심
방
송
지상파 TV
• 디지털 지상파TV
• 지상파 DMB
케이블 TV
• 종합유선(SO)TV
• 중계유선(RO)TV
위성 TV
통
신
• 초고속인터넷
• 인터넷전화(VoIP)
• 디지털 케이블TV
(DMC)
• 디지털 위성TV
• 위성 DMB
• IP-TV
• VOD TV
유선 통신
• 유선 전화
• 인터넷 전화(VoIP)
• 초고속인터넷(DSL) • 인터넷 방송(라디오)
무선 통신
• 휴대인터넷(WiBro)
• 이동 전화(CDMA)
• 고속하향데이터전송
• 무선 랜(W-LAN)
(HSDPA)
• 위성 전화 (GMPCS)
http://www.mcst.go.kr
5
• 모바일 방송
• 4G 이동통신
-방송+통신
-유선+무선
-데이터+음성+영상
-TPS(방송+통신
+인터넷)
1-2
방송영상콘텐츠는 신경제 성장 산업
세계 시장규모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
주요 산업과 방송영상산업의 규모 비교와 한국의 점유율
(단위: 억달러)
2.6%
조선 35.2%
0
500
휴대폰 21.3%
1000
1500
2000
메모리 45.5%
2500
3000
3500
출처: 방송-PWC(2006) 지상파/유료방송, 조선-로이드사(2006)자료 환산, 휴대폰 –가트너 그룹 (2006)
http://www.mcst.go.kr
6
1-2
방송영상콘텐츠는 신경제 성장 산업
방송통신융합으로 신규 방송영상콘텐츠 시장 창출과 고성장 전망
- 세계 방송영상시장 2012년까지 매년 6.8~9.5% 성장 예상, 세계 시장규모 4,966억 달러
- 진흥정책 수행으로 2012년 세계 6위 진입 및 200억 달러 시장 확대 목표(4% 점유율)
- 인도, 러시아, 브라질이 한국을 앞지르고, 한국은 11위로 위축된다는 전망(2012)이 나오고 있음
세계 방송영상 콘텐츠 시장의 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구분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중국
이탈리아
프랑스
인도
러시아
브라질
한국
세계시장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136,607
21,772
23,604
17,227
11,119
11,884
12,362
5,090
4,690
6,226
7,796
335,843
146,582
22,764
24,535
17,961
13,414
12,701
13,721
6,109
5,887
6,963
8,408
364,952
152,764
24,234
25,213
19,033
14,835
13,947
14,536
7,506
7,514
7,716
8,413
390,382
164,952
25,723
26,066
19,969
16,716
15,517
15,428
9,404
8,814
8,813
8,825
427,444
170,789
27,304
26,821
20,703
18,511
16,711
15,996
11,346
9,931
9,623
9,081
456,615
183,081
29,130
27,750
21,725
20,549
18,049
16,632
13,325
10,859
10,710
9,659
496,613
출처: PriceWaterhouseCoopers(2008), Global Entertainment and Media Outlook : 20082012.
http://www.mcst.go.kr
7
1-2
방송영상콘텐츠는 신경제 성장 산업
방송영상콘텐츠는 높은 부가가치, 타 산업에의 폭발적 파급효과
- 해외 수출의 급증과 높은 부가가치: ‘07년 1억 6천 달러에서 ‘12년 4억 9천 달러로 매
년 20~30% 의 높은 수출 증가율
 <겨울연가>의 일본 수출액은 약 5억원이지만 일본 내 기타 매출은 2000억원
 국가이미지 홍보, 상품수출 견인, 외국인 국내 관광 확대 - ’04.4~04.10, <겨울연
가> 로 일본관광객 18.7만 증가, 3,328억원 수입
- 디지털 단말기 산업 활성화, 네트워크 산업, 기타 부가서비스 분야 성장 견인
해외 방송프로그램 수출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달러
백만$
490
500
400
300
200
148
163
255
213
306
368
100
0
http://www.mcst.go.kr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출처:한국방송영상산업
진흥원
8
1-3
드라마를 대한민국 브랜드 콘텐츠로 육성
 한국 -드라마, 미국-영화, 일본-애니메이션 : 디지털 전환, 방통 융합,
포스트 한류의 킬러 콘텐츠인 드라마는 한국 대표 콘텐츠
한국문화를 해외에 알리고 경제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드라마 한류
- 방송 한류 수출의 90%가 드라마임 : 한국문화 해외 전파에 적합
- 대한민국 국가이미지를 홍보하여, 상품수출 증가와, 관광객 유치에 기여
국민들이 가장 좋아하는 오락물인 동시에 공익적 문화수단
- 시청률 상위 20개중 드라마가 13개 차지,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장르
- 드라마의 공익기능 : 자신과 사회에 대한 성찰, 공동의 경험을 통한 문화 정체성
형성, 현대 문화유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붕괴 위기론 대두
- 제작비 상승, 저작권 배분 갈등, 제작비 수급문제, 신진 제작자 양성 시스템 약화 등
http://www.mcst.go.kr
9
1-4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산업구조 선진화 시급
 FTA, WTO 등 개방압력 증대, 방송영상 콘텐츠의 글로벌 유통
소비 확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업계의 대응미비, 국제 경쟁력 취약
방송영상산업 진흥법 제정
- 시장개방, 방통융합시대를 준비하여 방송영상콘텐츠, 융합형콘텐츠, 기타 뉴미디어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진흥하는 법률 제정 필요.
- 출판, 영화, 음반, 게임 등 주요 콘텐츠들은 별도의 진흥법 있음
방송시장규모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완화
- 광고제도 개선, 수신료 인상, 유료방송 이용료 정상화, 이용료 배분 합리화
- 소유규제 완화로 독립제작사, 미디어 그룹 대형화
글로벌 대형 미디어 그룹 성장환경 마련
- 소유제한 완화, 인수합병 장려
- 글로벌 5대 기업이 세계 콘텐츠 시장 10.2% 점유
http://www.mcst.go.kr
10
1-5
융합시대, 미디어 복지가 곧 문화 복지
 방송통신 융합은 국민들의 주요활동이 활동이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생태를 제공: 문화향유, 지식, 정보, 교육 등
융합으로 문화생활 양식이 바뀌고 있음 : 상호작용, 개인방송, 참여가 늘어남
- 디지털 유목민화: 가정, 직장, 이동 중 언제, 어디서라도 미디어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접하고, 경험을 공유
미디어 이용은 디지털 시대 중요한 문화 복지임 : 산업정책과 문화정책의 균형
- 미디어 이용 능력, 미디어 이용 정도, 소비자로서 콘텐츠 제작 능력 필요
- 미디어 이용 차이가 문화 불평등을 야기하는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 전망
- 디지털 전환과 방송통신융합으로 국민은 다양하고 좋은 품질의 콘텐츠를
싼 가격으로 이용 가능
http://www.mcst.go.kr
11
Chap.
2
방송영상산업의 진단과 정책방향
국내방송영산산업의 SWOT 분석
방송영상산업의 비전과 미션
12
Chap.
2
국내 방송영상산업의 SWOT 분석
1. 성장 잠재력을 갖는 다수 제작사
(독립프로덕션932개사, PP187개 사)
2. 방송영상 콘텐츠의 수요 증가
(IPTV, DMB 등 다양한 뉴미디어 출
현)
3. 다양한 창작 예비인력 확보
SWOT
분석
1. 디지털화에 따른 세계적 콘텐츠 부족
현상을
국내 콘텐츠 수출 기회로 활용
2. 한류의 성과를 활용한 포스트 한류 정착과
취약지역으로 수출 확대
3. 한류 계기로 방송영상의 해외수출 기회
마련
4. 새로운 디지털 매체(DMB, IPTV)의 선도적
http://www.mcst.go.kr
1. 국제 경쟁력을
2. 방송영상 유통
3. 방통융합 대비
미흡
4. 국민들의 해외
갖는 대규모 제작사 없음
시장의 미발달
지원제도 정비, 인프라구축
콘텐츠 선호 증가 추세
1. 미국 헐리우드 중심의 대형 콘텐츠 생산,
유통 시스템에 비해 국내 산업구조 취약
2. 인터넷 발달, 문화산업개방 압력 증대로
방송영상의 글로벌 유통이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관련 산업 및 콘텐츠의 경쟁력은 여전히
뒤떨어짐
3. 방송의 혐한류 및 항한류 확산 우려
13
Chap.
2
방송영상산업의 비전과 미션
2012년 디지털 방송영상 강국 BIG 6 진입
2012년
2007년
디저털 융합시대
방송영상콘텐츠
인프라 구축
http://www.mcst.go.kr
4억9천만 달러
200억 달러
5만 5천 명
시장규모
수출목표
고용
78억 달러
1억6천만 달러
4만 2천 명
디저털 신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제작 유통 활성화
국가브랜드
콘텐츠, 드라마
의
경쟁력 강화
14
방송영상산업
구조 선진화
디지털
문화복지 증진
Chap.
3
5대 정책목표와 20개 중점과제
▶정책목표 1 : 디지털 융합형 방송영상콘텐츠
인프라 구축
▶ 정책목표 2 : 디지털 신경제를 위한
제작 ∙ 유통지원
5대 정책목표
20개 중점과제
▶ 정책목표 3 : 국가 브랜드 콘텐츠,
드라마산업 경쟁력 강화
▶ 정책목표 4 :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선진화
▶ 정책목표 5 : 디지털 문화복지 증진
15
Chap.
3
정책목표 1. 디지털 융합형 방송영상콘텐츠 인프라구축
디지털 방송
콤플렉스
 HD 제작을 위한 디지털방송 콤플렉스 조성
- HD 드라마 세트장 4개 시설 구축 및 관광자원화
 복합 방송미디어 연수센터 조성
- 4개 트랙(창의력, 드라마, 창작, 비즈니스) 및 인증센터
 방송진흥원의 시설을 기반으로 시스템 구축
디지털 방송영상콘텐츠
종합정보 시스템
디지털 방송영상
온라인
C-마켓 플레이스
 일반인 및 학술 연구자 대상 열람시설 운영
 방송 디지털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전문가 포럼 운영
 메타데이터 DB화 및 온라인 거래 시스템 구축
 중장기 정보화전략계획(ISP) 및 표준체계 수립
 BCWW 등 유통지원 사업과 연계 운영
 포맷개발 지원과 예비 창작자 육성
방송 창의력 개발
센터 · 고용지원 랩
http://www.mcst.go.kr
 방송창의력 개발 R&D 센터 운영
고용지원센터 운영: 청년실업 개선
16
Chap.
3
정책목표 2. 디지털 신경제 성장을 위한 제작 ∙
유통지원
멀티/킬러 콘텐츠
제작체계 구축
독립제작사의 제작
및 사업기반 강화
디지털시대,
포스트 한류 정착
 신규 및 대형 킬러 콘텐츠의 제작비 지원 글로벌 경쟁력 지원
 제작사/지상파/PP공동제작 통해 윈윈(win-win)기반 마련
 창의적/실험적 공공콘텐츠 제작지원통해 시청자복지확대
 독립제작사 제작 및 사업 전문 인력 양성 집중 지원
‘납품계약서’조건 제작비 융자지원
 멘토PD제도 및 비즈니스 상담센터 운영
 융합형 방송 콘텐츠 제작사 사업 인큐베이팅 지원
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견본시지원, 신규 시장 개척 지원
 비즈니스형 해외 공동제작 지원, 글로벌 공동사업 개발, 지원
 중국시장의 안정적 진입 위한 한중유통공사 설립 및 운영
방송 한류 글로벌
교류 네트워크 구축
다언어 방송한류 웹사이트 운영으로 해외수용자 교류 네트워크 구축
글로벌 방송영상 CEO포럼 개최로 비즈니스 교류 강화
아시안 드라마 어워드 등의 창설 통해 제작자 네트워크확대
국제홍보방송 강화로
국가 브랜드파워제고
 아리랑TV 채널마케팅 강화 통한 해외현지 홍보기반 확대
 국가 홍보 채널로 아리랑 방송 특성화
 한국적 콘텐츠 제작과 보급 지원 통해 한국 브랜드 홍보 강화
 다언어 서비스 확대를 통해 외국인 시청저변 확대
http://www.mcst.go.kr
17
Chap.
3
정책목표 3. 국가 브랜드 콘텐츠, 드라마산업 경쟁력
강화
금융지원센터
구축 운영
특수촬영 및
부가 비즈니스 사업지원
TV 드라마 학과
신설
글로벌 방송영상콘텐츠
진흥협의회 구성 ·운영
http://www.mcst.go.kr
글로벌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장기펀드 조성: 2000억원
(정부 1000억원, 민간 1000억원)
 전문투자조합, 사모펀드(PEF), SPC(특수목적회사) 기능
도입으로 복합금융지원시스템 구축
제작 재원확보, 제작비 회계 투명화 유도, 투자활성화 기대
 특수촬영 취약부분 지원: 장비, 전문인력양성, 기술개발 랩
 드라마 활용 비즈니스 창업(Dra-biz) 지원: 시장확대
- 주몽복분자, 황진이 화장품
 드라마,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쟁력 확보 지원
 한국예술종합학교에 TV 드라마학과 신설: 드라마를 국가 브랜드
콘텐츠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인력 지속 양성(연간 35명)
- 드라마 극작, 연출 전공자 양성: 창의력 개발, 실습중심 교육
구성: 방송사, 독립제작사, 유료방송, 진흥기구, 학계 전문가
기능: 제작시스템개선(대형프로덕션 육성), 유통개선 (한류,저작권)
제작재원 확보, 인력양성, 제작비 합리화, 제도개선 등 현안
18
Chap.
3
정책목표 4.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구조 선진화
“방송영상산업진흥법”
제정
 방송영상콘텐츠, 융합형 콘텐츠 및 뉴미디어 콘텐츠 산업
진흥을 위한 독립 진흥법 제정
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기반 조성 및 국제경쟁력 강화, 융합시대
방송영상 콘텐츠 진흥체계 정비
제도 개선 :
방통위와 지속 협의
 방송영상산업 구조 선진화를 위한 제도 개선: 시장경쟁 촉진,
국제경쟁력 강화, 방송콘텐츠 제작 및 유통 선순환 구조 확립
 시장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광고제도 개선 및 방송광고요금
현실화, 수신료 정상화
글로벌 복합 미디어
그룹 육성 지원
대형 미디어 그룹의 비중이 증대하는 변화에 맞추어 대형
미디어 그룹 육성: 제도개선, 세제 지원, 시장확대
대형화의 장점을 극대화(경제회복 동력)하는 동시에, 부정적
기능 최소화(독점방지, 문화다원성, 공익콘텐츠 지원)
http://www.mcst.go.kr
19
Chap.
3
정책목표 5. 디지털 문화복지 증진
공공콘텐츠
제작 유통 지원
디지털 스토리텔링
지원
디지털 방송영상 리터러시
교육 및 소외계층 지원
지역 문화발전 위한
지원체계 및 네트워크 구축
http://www.mcst.go.kr
공공콘텐츠(유료시장에서 제공되기 힘든 공익적 콘텐츠) 제작
·지원으로 문화다원성실현과 이용자 미디어 복지 향상
인터넷 기반, 공공 기능의 통합적 플랫폼 구축으로 공익성 강화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 제작 지원, 유통 시스템 운영 지원
 스토리텔링으로 탄생한 <해리포터> 작년 총 매출액이 국내 반도체
총 매출보다 많음
 참여 문화 확대, 문화 국민창의력 증대로 콘텐츠 강국의 토대 마련
주요시에 단계적으로 스토리텔링지원센터 설립: 교육, 켐페인지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디지털 문화복지 지원:대다수 국민이 디지털
영상제작, 소비능력 갖추도록 지원
미디어 유료화 시대, 소외계층의 최소한 미디어 콘텐츠 향유 지원
청소년 미디어 미래교육(농어촌)
지역 방송영상 산업 진흥 협의체 지원: 중복방지,지역별 특성화
지역 축제 전문 웹캐스팅 지원: IPTV활용, 지역 문화 산업 발전 기여
지역 방송영상산업 인프라 공동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지원
20
Chap.
4
주요 5대 정책과제
디지털 방송 콤플렉스 조성
디지털 시대, 포스트 한류 정착
글로벌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센터 설립 운영
방통융합시대, “방송영상산업진흥법” 제정
공공콘텐츠 제작 유통 지원
http://www.mcst.go.kr
21
Chap.
4
1
주요 5대 정책 과제
디지털 방송 콤플렉스 조성
사업 목표
 수요가 급증하는 HD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지원 : 시장에서 투자가 어려운 인프라 지원
 제작시설, 오픈 세트장, 미디어연수원을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 창출: 제작단지, 관광단지화
사업 내용
 디지털방송 콤플렉스 건립
- 원스톱 디지털제작 시스템 구축
 시대별 HD 드라마 세트장(고려, 조선, 근대, 현대) 및 특수촬영장 구축(관광자원화)
 복합 방송미디어 연수센터 조성
- 숙박, 회의공간, 연수공간, 제작시설이 연계된 복합 연수제작단지
- 방송 미디어연수원 트랙(창의스쿨, 드라마 스쿨, 핵심창작 스쿨, 미디어 글로벌
비즈니스 스쿨) 및 인증센터 운영
http://www.mcst.go.kr
22
Chap.
4
주요 5대 정책 과제
2 디지털 시대, 포스트 한류 정착
사업배경 및 목적
 해외 후속시장의 유통기회를 최대화하고 현지화, 공동제작 및 부가비즈니스를 적극 전개
함으로써 포스트 한류시장 확대 및 다양한 수익원 확보`
사업내용
- 해외 후속시장을 개척해 유통기회를 최대화하고 공동제작 및
 국내외부가비즈니스를
각종 프로그램 견본시
참가 지원 한류시장 확대 및 다양한 수익원 확보`
적극 전개함으로써
 미진출 신규시장 개척 지원
 수출용 콘텐츠 재제작지원
 투자 개념의 국제공동제작 지원
※ 사업성 높은 글로벌 공동제작 프로젝트에 투자
 글로벌 비즈니스 지원
※ 수익성 높은 글로벌 비즈니스 프로젝트에 투자
 한중합작 방송콘텐츠 유통공사 설립
http://www.mcst.go.kr
23
Chap.
4
주요 5대 정책 과제
3 글로벌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센터 설립 운영
사업배경 및 목적
 하이 리스크 특성상 제작비 확보가 어려운 콘텐츠 제작시장에 새로운 제작비 확보 모델 도입
 제작비 회계 투명화를 유도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제작비 투자 활성화 풍토 마련
주요사업내용
 기존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융자 지원사업을 종합하여 금융지원 체계 마련
- 4년간 2000억원 펀드 조성 운영(정부 1000억원, 민간 1000억원)
 콘텐츠 가치평가제 도입으로 창의력 있는 제작자가 제작비를 지원받는 환경 마련
 PEF(사모펀드), SPC(특수목적회사) 도입으로 민간 투자 유도, 불건전한 제작비 회계 처리근절
 디지털시대,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금융지원체계 정비: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 제작시스템 마련
http://www.mcst.go.kr
24
Chap.
4
주요 5대 정책 과제
4 방통융합시대, “방송영상산업진흥법” 제정
사업배경 및 목적
 규제법인 방송법만으로는 체계적 진흥정책 추진이 어려우므로 영화, 출판, 게임 산업에서 처
럼
별도의 진흥법 제정 통해 융합시대 적합한 방송영상산업, 뉴미디어 산업 진흥정책 추진 필요
방송미디어 진흥법 제정
 디지털 시대, 방송영상콘텐츠, 융합형 콘텐츠 등 미디어 콘텐츠 지원 체계 정비
 방송영상콘텐츠 산업 기반 조성 및 국제경쟁력 강화 [제작 유통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 등]
 제작 유통 시장의 투명성 확보 및 공정거래 질서 확립 [SPC 지원 통한 회계 투명성 확대]
 불법복제, 유통 방지 기술적 보호장치 부착 등 콘텐츠의 디지털 전환 준비
 국민들의 디지털 문화 복지 향수 지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지원, 공공 콘텐츠 지원]
 독립제작사, PP, 콘텐츠 프로바이더, 콘텐츠 유통관련 업체 등 의견을 수렴, 법제화 반영
http://www.mcst.go.kr
25
Chap.
4
주요 5대 정책 과제
5 공공콘텐츠 제작 유통 지원
사업배경 및 목적
 미디어의 상업성이 강화되는 디지털 융합환경에서 공공콘텐츠(유료시장에서 제공되기 힘든
공익적 콘텐츠) 지원을 통해 문화다원성 실현과 이용자 미디어 복지 향상에 기여
- 영국은 PSP( Public Service Publisher, 공공 콘텐츠 출판사형 미래 방송국) 로 디지털
시대 공익성, 문화다양성을 준비하고 있음
주요 사업내용
 인터넷 기반, 공공 기능의 통합적 플랫폼 구축
 이용자 참여형 공공콘텐츠 제작 지원 및 유통 시스템 운영 지원
- 지원대상 콘텐츠 선정기준 마련: 작품성, 다양성, 실험성, 소수문화 보호 등 기준마련
 디지털 시대에 걸 맞는 공공 콘텐츠 제작 유통 모델 정착
http://www.mcst.go.kr
26
Chap.
5
기대 효과
27
5
Chap.
기대효과
기대효과: 2012년-3차 5개년 계획의 완성 (재원 6,546 억 원)




국내 방송시장 확대 : 200억 달러( 세계 시장 4% 점유)
방송 콘텐츠 수출: 4억 9천만 달러(200% 신장)
고 용: 5만 5천명( 1만 3천명 증가, 31% 신장)
콘텐츠 제작사의 자생기반 조성, 산업구조의 선진화
디지털전환, 융합, 한류 그리고 방송영상산업의 미래
 디지털전환, 방송통신 융합을 방송산업 선진화 기회로 활용
- 우리 방송영상산업이 한 단계 성숙하여 국가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하는 기회 활용
- 디지털 전환과 융합이 기존 방송사업자, 독립제작사, 새로운 융합형 서비스 사업자 그리고
국민 모두에게 고른 혜택을 주는 미래
 5천년 역사를 바탕으로 방송 한류를 문화 중흥의 기회로 활용
- 방송 콘텐츠산업의 발전을 우리 문화가 꽃피고, 우리가 문화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계기로
최대한 활용
http://www.mcst.go.kr
28
나라를 키우는
방송영상산업 진흥을 통해
디지털 방송영상 강국으로
도약해 나가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http://www.mcst.go.kr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