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이후 섬유산업의 대응과제와 발전방향

Download Report

Transcript 한미FTA이후 섬유산업의 대응과제와 발전방향

2006. 12. 14
섬유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사 례 : NAFTA
한미 FTA 체결에 따른 파급효과
섬유산업의 발전방향
섬유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1. 섬유산업의 현황
국민경제에서의 위상
섬유산업은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를 통해 외화획득의 중추적 역할 수행
제조업 최대의 고용 창출 산업
국내 섬유산업은 80년대 중반 이후
국민경제에서의 위상이 지속적으로
하락
(%)
25.8
23.4
16.9
15.5
- 제조업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10.5
9.5
15.5%(’85) → 4.8%(’04)
14.9
4.8
- 제조업 고용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
4.9
25.8%(’85) → 10.5%(’04)
- 국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생 산
23.4%(’85) → 4.9%(’05)
고 용
1985
4
수 출
1995
2004
1. 섬유산업의 현황
세계시장에서의 위상
(%)
세계시장점유율
- 6.6%(’90) → 2.7%(’05)
섬유소재
- 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자급도 향상에 따른 수입
대체 및 수출 확대에 따른
우리시장 잠식으로 세계
시장점유율 하락세로 반전
7.3
섬유소재
6.6
5.8
5.1
전 체
2.7
의 류
의
류
- 가격경쟁력 약화, 생산기지
해외이전 확대로 세계시장
점유율이 하락세를 지속
0.9
1990
1993
5
1996
1999
2002
2005
1. 섬유산업의 현황
미국시장에서의 위상
1995
2000
2003
2005
연평균증가율
(2000~’05)
섬유소재
한 국
대 만
멕시코
캐나다
중 국
9.7
7.0
6.3
12.9
4.2
10.5
6.7
9.4
16.5
5.3
10.7
6.5
9.3
16.4
7.2
10.2
5.8
8.8
14.7
12.4
1.5
-0.7
0.7
-0.2
21.0
의 류
한 국
대 만
멕시코
캐나다
중 국
5.4
5.3
7.4
2.1
13.0
5.3
3.3
14.6
2.9
10.5
3.8
2.4
11.3
2.5
13.8
2.2
1.5
8.8
1.8
23.7
-13.0
-11.1
-6.3
-6.0
22.1
섬유 전체
한 국
대 만
멕시코
캐나다
중 국
5.8
5.5
7.5
3.9
12.6
5.5
3.7
13.7
4.8
10.7
4.3
2.8
10.8
4.3
15.0
2.9
1.9
8.6
3.6
24.2
-8.5
-8.6
-4.9
-1.9
22.9
6
2. 문제점
저부가가치 생산구조로 고착화
기술 혁신 및 제품 차별화 미흡 등으로 저부가가치 생산구조로 고착화
- 생산 · 설비규모 면에서 섬유대국으로 진입하였으나, R&D 투자 부진 등에
따른 신소재 · 디자인 개발 미흡으로 신제품 개발 · 제품 차별화 부진
부가가치율 국제 비교
단위 : %
이로 인해 중국 등 후발
개도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제품이 많음.
- 중국 등이 생산설비 확충을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확대를
꾀하면서 우리시장 잠식을
가속화
7
섬유산업
제조업
한
국
21.5
28.9
영
국
40.6
36.3
일
본
43.4
36.8
미
국
35.2
36.6
이탈리아
32.8
30.5
프랑스
31.5
31.2
스페인
33.7
28.4
2. 문제점
설비 노후화
설비투자 부진으로 생산설비 노후화 및 생산 효율성 저하
- 합섬직물 : 10년 이상 노후설비(49.6%), 7∼9년된 직기도(35.3%)
- 의 류 : 10년 이상 노후설비(54.5%), 20년 이상(11.0%)
- 면 방 : 16년 이상 노후(58.5%), 9~15년된 설비(30.1%)
2,000
(10억원, 국내설비투자)
(해외직접투자, 백만달러)
350
해외직접투자
1,600
400
300
250
1,200
200
800
150
100
400
50
국내 설비투자
-
1990
1993
1996
1999
8
2002
2005
2. 문제점
가격 경쟁력 크게 저하
우리나라는 그 동안 생산성을 상회하는 높은 임금상승, 원화절상, 지가
상승 등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크게 저하된 상태
-인건비 : 한국[7.18달러/시간]이 중국[0.90], 인도[0.80] 등의 7~10배 높은 수준
고질적 인력 부족
낮은 임금 수준(여타 산업 대비), 열악한 근무환경 등으로 생산현장의
단순인력 및 기술인력 부족
신규 기술/기능인력 양성 부재로 단순생산 및 기술인력의 고령화(40대
이상이 각각 86.9% 및 57.0%)
9
2. 문제점
세계 트렌드 및 수요변화에 대한 대응력 저하
규모의 경제에 의한 소품종 대량생산체제로 인해 세계 트렌드 및
수요변화에 능동적인 대응능력 부족
종래 OEM 수출에 의존한 나머지 수출시장의 특성, 수요구조
변화에
따른 대처능력 부족
기획.디자인, 마케팅력 부족으로 타깃시장 및 틈새시장 개척능력에
한계
QR 시스템 미비 및 낮은 브랜드 인지도 등도 마케팅력 저하의 원인
10
사례분석 : NAFTA
1. NAFTA 영향
멕시코는 NAFTA에 힘입어 생산기반 마련
섬유생산 : 416억 페소(’93) → 2,003억 페소(’03)로 5배 가까이 증가
대미 섬유수출 : 18억 달러(’93) → 80억 달러(’05)로 4.5배 증가
캐나다는 지속성장 및 산업구조 고도화 실현
섬유생산(캐나다달러) : 109억 (’93) → 164억 (’03)로 60% 정도 증가
대미 섬유 수출 : 12억 달러(’93) → 33억 달러(’05)로 2.6배 증가
노동생산성(캐나다달러) : 2,758(’88)→3,681(’93)→4,570(’00)로 상승
부가가치율(%)
: 38.9(’88) → 41.7(’93) → 42.8(’00)로 상승
12
2. 시사점
앞으로 한미 FTA가 체결될 경우 캐나다와 마찬가지로 우리 섬유산업도
대미 수출확대는 물론 산업구조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캐나다가 미국과의 기술협력, F야 유치, 차별화 제품 위주의 대미
수출확대 전략 등에 힘입어 산업구조 고도화(생산성 향상)가 실현된
것처럼 우리나라도 한미 FTA가 산업구조 고도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대응전략 마련이 중요
13
한미 FTA 체결에 따른 파급효과
1. 관세폐지 효과
관세구조
미국 섬유 관세율(가중평균)은 13.1%로 우리나라(9.3%)보다 3.8%
포인트 높고, 20∼32%의 고관세 품목이 섬유 전체 수입 품목의12.1% 에
달함
-미국시장은 수출국들간의 가격경쟁이 치열한데, 우리 제품
가격하락으로 우리 제품에 대한 미국의 수입수요 확대가 예상
한 · 미간 관세 구조 비교
화섬
원료
섬유사
직물
천연
섬유
화 섬
장섬유
모
면
화섬
장섬유
편직물
의류
섬 유
전 체
한 국
6.9
6.9
8.0
13.0
10.0
8.0
10.0
12.9
9.3
미 국
4.3
9.0
8.5
24.6
7.6
14.5
11.4
17.9
13.1
*주 : 관세율은 가중평균임
15
1. 관세폐지 효과
단기 효과
한.미 FTA 체결(’07년)로 양국간 수입관세가 완전 폐지될 경우
- 대미 수출증대효과(‘08년) : 2억 6,600만 달러(13.6% 증가)
- 대미 수입증대효과(‘08년) : 1,600만 달러(7.0% 증가)
- 대미 무역수지 흑자규모 : 2억 5,000만 달러
국내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단위 : 백만 달러, 억원, 명, %)
관세폐지 효과
수출입추정치
(‘07)
관세율
(가중평균)
수출입증가율
수출입 증대
생산증대
고용증대
대미 수출
1,958
13.1
13.6
266
2,530
2,277
대미 수입
229
9.3
7.0
16
-
-
16
1. 관세폐지 효과
장기 효과[대미 수출]
미국 수입관세 폐지에 따른 대미 수출증대 효과
- 관세 즉시 폐지 : 19.6억 달러(’07) → 38.8억 달러(’15) - 19.2억 달러 순증가
- 50% 관세 즉시 폐지 : 19.6억 달러(’07) → 28.6억 달러(’15) – 9억 달러
순증가
(억 달러)
38.8
1안
28.6
2안
23.3
FTA 미체결시
19.6
2005
2007
2011
2009
2013
*주 : 1안은 관세 즉시 폐지, 2안은 50%만 관세 즉시 폐지
17
18.4
2015
1. 관세폐지 효과
장기 효과(대미 수입)
한국 수입관세 폐지에 따른 대미 수입증대 효과
- 관세 즉시 폐지 : 2.29억 달러(’07) → 4.39억 달러(’15) – 1.54억 달러 순증가
- 50% 관세 즉시 폐지 : 2.29억 달러(’07) → 3.62억 달러(’15) – 0.77억 달러
순증가
(백만 달러)
439
1안
362
2안
285
224
FTA 미체결시
229
2006
2008
2012
2010
*주 : 1안은 관세 즉시 폐지, 2안은 50%만 관세 즉시 폐지
18
2014
2015
2. 수출구조 개선 효과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수출확대
중고가 제품 위주의 수출구조로 전환
- 중고가 제품은 대만, 홍콩 등 경쟁국과의 가격경쟁력 격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한국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 폐지시 수출증대효과가 상대적으로
클 전망
- 반면, 중저가 제품의 경우 중국, 인도 등의 제품과 가격 격차가 커서,
관세폐지에 따른 파급효과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
OEM → ODM 위주의 수출구조로 전환
의류의 경우 합섬 의류가 상대적으로 수출증대효과가 높을 전망
- 합섬 셔츠(32.0%), 합섬 티셔츠/언더셔츠(31.9%), 합섬블라우스(29.8%),
합섬바지(25.3%), 합섬스웨터(31.8%), 남성용 합섬코트(28.0%),
여성용 합섬자켓(27.3%), 수영복(24.7%)
19
3. 산업구조 고도화 효과
생산성 제고 가능
관세 폐지에 따른 수출증대로 얻어진 수익으로 설비 개체,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 등을 통해 혁신역량 강화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비용절감, 미국산 섬유소재 수입가격 인하에 따른
완제품 업체들의 생산비용 인하 등에 힘입은 가격경쟁력 향상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 핵심기술을 보유한 미국 업체와 생산기술을
보유한 국내 생산업체와의 전략적 기술 제휴 등을 통한 제품
고부가가치화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부분의 외자 유입에 따른 제품 고부가가치화
수출증대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중고가(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수출 및 생산구조로의 전환 및 산업용 섬유 생산 비중 제고
20
3. 산업구조 고도화 효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중국시장 공략 가능
앞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생산구조로 전환될 경우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시장으로의 수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중국은 생산능력 확대와 함께 범용품에 대한 자급도 향상으로 중저가 –
범용품 수입을 줄이는 대신, 고부가가치 제품 수입은 지속적으로 확대
한편, 우리나라는 저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수출구조로 인한 대중국
수출 둔화로 중국수입시장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태
21
섬유산업의 발전 방향
1. 생산기반 강화
한·미 FTA를 활용하여 수출확대는 물론 산업구조 고도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기반 강화가 선결되어야 할 것임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적합한 설비 및 첨단 자동화설비로의
개체 등을 통한 효율성 개선
기업 차원
산업용 섬유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전략적 유연
생산시스템(strategic flexible production system) 구축
정부 차원
산업구조조정 촉진
산업기술, 디자인력, 인적자원 등 혁신역량 강화
봉제 집적지 조성
스트림간 연계 강화
지적 재산권 보호 강화
23
1. 생산기반 강화
산업구조조정 촉진
경쟁력 상실기업의 사업전환 촉진
 정부는 업체들이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산업용 섬유와 같이 미래유망산업으로
업종전환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
·산벌법의 사업전환, 중소기업 산업전환촉진법, 무역조정지원
제도 등을 통해 지원
유망 품목 발굴 · 육성
 미래 경쟁력 확보 가능한 수출 유망품목을 발굴하여 수출 주력 상품으로 육성
 미국 관세 폐지시 수출증대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에 대한 마케팅 지원
 기술혁신 중소업체를 매년 10개씩 발굴하여 기술개발, 마케팅 등 지원
 신기술을 보유한 중소 임가공 생산업체들이 자립화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구조개선 사업자금 등을 활용해 지원
 섬유 펀드 확대를 통해 핵심 기술을 보유한 미래유망 업체들의 자금 지원
24
1. 생산기반 강화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생산체제 구축
 섬유업계는 미국의 관세폐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대만, 홍콩,
캐나다 등과의 경쟁관계에 있는 중고가 제품 위주의 생산 및 투자전략 추진
 화섬업계는 고강력사, 복합사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 직물업계는 고강력 합섬직물, 교직물, 다중 복합직물, 고기능성 직물, 텍
스
타일 디자인 직물 위주의 생산체제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
- 에어제트 및 레피어 직기 위주로 생산설비 교체
 염색·가공업계는 다중 복합소재, 고감성·고기능성 소재, 스마트섬유소재
에
대한 염색가공기술 개발 투자
25
1. 생산기반 강화
봉제 집적지 조성
생산기반
인력력
인
여성, 장애인, 탈북자 대상
봉제교육 및 취업알선
생산시설 집적을 위한 협동화 사업장 조성
공동활용시설(CAD/CAM),
시제품센터,
상설전시장 등 지원
봉제업체 구인 DB 구축 및
취업알선
봉제 클러스터
기술지도사업단을 통한 차별화된
의류업계, 유통업계와의
맞춤형 기술지도
매치메이킹
봉제기술개발 지원확대
IT를 활용 실시간 정보 제공
기술
마케팅
26
1. 생산기반 강화
스트림간 협력강화
 원사업체와 직물업체간, 대구·경북 직물 업체와 수도권 봉제의류 업체간
협업체제 구축 및 공동 마케팅
 이업종간 협업관계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이업종간 협의체 구성 및 이업종
간 공동의 연구개발시 연구개발 자금 우선 지원
혁신역량 강화
 섬유산업의 위상에 걸맞은 비중으로 섬유산업의 중기거점기술과
제 건수가
선정될 수 있도록 과제선정방식을 개정
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지원
 원사업체와
직물업체간,
대구·경북
직물 업체와 수도권 봉제의류 업체간
협업체제 구축 및 공동 마케팅
 “인턴쉽제” 도입 등 수요자 중심의 인력양성시스템 구축
 상시 재교육시스템 구축
27
2. 마케팅력 강화
미국의 고관세가 폐지될 경우 미국시장에서 우리 업체들의 가격경쟁력
회복 등 대미 수출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
공격적인 수출 마케팅 강화 필요
기업 차원
정부 차원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판매 네트워크 구축
전시 · 홍보 기능 강화
미국수입시장 모니터링 분석 · 제공사업 추진
전시회 참가, 시장 개척단 파견 등 지원
산업용 섬유 전시회 개최 지원
글로벌 브랜드 발굴 · 지원
28
3. 한미간 산업협력 강화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FDI) 유치
미국업체에 대한 국내 투자장벽 제거를 기회로 삼아 FDI 적극 유치
-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제품의 경우 기술력 부족 등으로
주로 수입에 의존
-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FDI 유치지원위원회(안)”를 설립하여 외자유치
지원
기술협력 강화
미국의 산업용 섬유소재업체들과의 전략적 기술제휴 등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산업용 섬유제품 생산체제 구축
- 향후 10년 이내에 자체 기술개발 가능성이 적은 분야의 경우는 외국인
투자유치 내지는 미국과의 기술협력을 적극 추진
29
3. 한미간 산업협력 강화
마케팅분야 협력 강화
판매 네트워크 구축
미국
- GAP, The Limited 등의
의류전문업체 및 Wal-Mart,
Kmart 등의 유통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
한국
원사, 원면
등 섬유소재,
산업용 섬유
중국 등 아시아시장 개척
완제품
생산력
R&D 센터
중국 등
세계시장
진출
- 제품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중국 등 아시아시장 개척
섬유소재 전시회 개최
- 미국 현지에 Preview in
NewYork 개최
- 산업용 섬유소재 분야 포함
전략적
제휴
30
브랜드,
마케팅력
(미국)
4. 기대효과
목표 : 세계 섬유강국으로 재도약
산업구조 고도화
의류용과 산업용 섬유 병행 발전
- 산업용 섬유 생산비중 25%(현재) -> 40%(’15)
섬유소재 글로벌 공급기지화
- 세계시장점유율 4위(현재) -> 3위 (’15)
패션의류 위주의 의류산업 구조 개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