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치수치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소아의 치수치료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



울거나 소란을 피우며 치과치료를 거부하
고 가정구강 관리 교육에도 어려움이 있음
이른 아침에 치료
처음 몇 번의 약속은 짧게 하여 병원 환경
에 익숙해지도록 유도
환자의 공포가 격렬하여 치료를 받을 수
없을 경우에 진정제 투여가 고려( 기존의
투약 병력에 주의, 주치의와 상담)
자폐증(Autism)


출생 후 늦어도 30개월 이전에 나타나는 증후군
대인관계와 사회성의 결핍



언어와 의사소통 장애



타인에게는 거의 관심이 없거나 이해하려 하지 않으며, 불러도 대답이 없고, 눈
을 마주치지 않으려 함
정신지체 어린이와는 달리 영리하고 깨끗한 모습을 보이므로 비장애인인 것처
럼 보일 수 있으나, 의사소통의 확립을 기대하기 어려움
자기 의사를 타인에게 전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타인의 의사를 말로 이해하는
것도 불가능
남이 한 말을 그대로 따라 하기 때문에 이를 모르면 못된 장난으로 오해하기 쉬
움
동일성의 유지와 고집




언제나 정해진 양식대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
같은 기구나 장소에 구애받아 융통성이 없음
치과에서도 처음 앉았떤 진료대를 기억해 그 진료대가 아니면 진료를 거부
칫솔도 처음 사용한 것과 같은 형태와 색깔이어야 하고 칫솔질 방법도 동일
자폐증(Autism)

발달의 균형과 통합



주의력의 결여와 과잉행동


일부 자폐증 환자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는 경우가 있음
숫자나 모양의 조립에 흥미가 크며 수의 기억이나 한자 기억에
탁월한 능력
침착성이 없고 언제나 주위를 빙빙 돌며 가만히 있지 않고 과대
하게 움직임
공황과 자상행위




스트레스를 받거나 행동이 구속되었을 때 감정이 매우 불안해
져 나타나는 흥분상태
공포상태로 되면 괴성을 내면서 심하게 뛰고 몸을 움직이고 양
손으로 귀를 막고, 방안을 우왕좌왕 돌아다님
양손으로 머리를 두드리거나 팔을 무는 등 자해행위를 보이고
벽이나 책상에 머리를 부딪히고 손톱으로 치은에 상처를 냄
모든 제약을 없애고 안전한 곳에서 가라앉을 때까지 방치
자폐증(Autism)

외상
 자해행위나 교통사고, 추락으로 인한 하악골
골절, 전치의 탈구, 파절, 함입, 입술이나 점
막의 손상이 많음
 치은에 대한 자해행위는 치아의 통증이나 충
전물의 불편감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음
 기성 금속관을 장착한 후 불편감으로 이것을
떼어내려 할 때 치은을 다치기도 함
 국소마취 후 입술을 깨무는 자해행위를 제지
할 수 없어 구순궤양이 되는 경우도 있음
뇌성마비(Cerebral palsy)


출생 전, 출생 시 또는 출생 후의 뇌의 선
천적 기형이나 손상 또는 중추 신경계 질
환에 의해 영구적이며 비진행성인 운동신
경장애와 정신장애가 나타나는 경우
근무력증, 경직, 마비 등이 보이며 몸의 균
형유지 상실, 비정상적인 걸음걸이나 자세
이상, 불수의적운동 등의 운동장애 이외에
학습곤란, 정신적 문제, 감각장애, 경련성
발작이 병발할 때도 있음
뇌성마비(Cerebral palsy)

운동장애 부위에 의한 분류
 단마비(monoplegia) : 사지 중 한쪽 팔이나




다리에 마비가 오는 경우로 대개 하지의 경직
이 나타남
편마비, 반신불수(hemiplegia) : 신체의 좌,
우측 중 한쪽만 포함
대마비(paraplegia) : 양 다리가 포함
양측마비(diplegia) : 경직성 사지마비 중 상
지보다 하지에 장애가 심할 때를 말함
사지마비(quadriplegia) : 사지를 모두 포함
뇌성마비(Cerebral palsy)

일반적 증상
 경련: 뇌성마비 어린이에서 20~30%, 성인에서





25~35%의 빈도를 보임
정신지체: 30~50%의 빈도
시각장애: 35% 정도의 빈도
청각장애: 8~40%
언어장애: 50% 이상에서 실어증, 발성장애, 비정상
적인 리듬, 말더듬이 같은 증상을 보임
정서장애: 언어장애에 의한 자신의 열등감과 보호자
의 과보호로 인격형성은 미숙하고 자기중심적이 되
어 공격적이며 정서불안을 나타냄
뇌성마비(Cerebral palsy)

구강 내 소견

치아우식증



치주질환





법랑질저형성증의 발생빈도는 30% 이상
기형치, 과잉치, 맹출지연 등의 치아발육 이상이 보임
이갈이


비장애인보다 2배 정도 더 발생
혀와 구강주위 근육과의 불균형에서 기인
주로 Ⅱ급 부정교합
치아의 발육이상


비장애인보다 3배정도 발생률이 높음
부정교합


비장애인에 비해 우식이환율이 높고 연령에 따라 더욱 증가
근육운동의 장애로 인해 구강 내 음식물 잔사가 많아지고 구강청결이 힘들어지기 때
문
비장애인보다 2배 이상 많음
외상

운동기능의 미숙으로 평형자세 유지가 어려워 넘어지기 쉽고 상악 전치부의 돌출 등
이 외상의 빈도를 높임
경련성 질환(convulsive disorder)


경련은 뇌신경 세포의 기능장애에 의해 나
타나며 어느 연령층에서나 일어날 수 있으
나 생후 2년 동안에 가장 빈발
출생 시부터 6세 이전까지 발생되는 경련
은 출생 시 외상이나 저산소증, 급격한 체
온상승이 주원인
경련성 질환(convulsive disorder)

급성경련
 비반복성이며 주원인은 열성질환
 올라가는 체온을 내려주고 안정제를 투여하여 치료
 대개 15분 이내에 그치며 경련 후 특이한 이상소견은
없으나, 15분 이상 경련이 지속되거나 하루에 1회 이
상 발작하는 경우에는 예후가 좋지 않음

만성경련
 간질과 같은 의미
 무의식이나 부분의식 상태에서의 반복성 발작이 특
징
 반복되는 발작으로 인해 중추신경계의 운동손상인
뇌성마비와 정신지체장애를 일으키기도 함
경련성 질환(convulsive disorder)

소발작





3세 이전에는 드물고 5~10세 연령층에서 보이며 사춘기 이전에는 사
라짐
전조없이 의식이 잠깐 소실되는 것이 특징
손, 발을 약간 떨고 머리를 떨어뜨리며 눈을 크게 뜨거나, 눈꺼풀을 깜
빡이거나 입맛을 다심
2~10초에 끝나며 정상적인 활동을 계속
대발작





환자는 의식을 잃고 넘어지는데, 발생 시 근육수축이 일어나고 이어
사지의 간헐적인 굴곡을 일으키는 간대기가 연속
강직기에는 일시적인 호흡정지로 얼굴이 창백해지고 청색증을 보임
악골근육의 빠른 수축으로 혀를 깨물수도 있고 대개 30초 정도 지속된
후 간대기로 이행
간대기에는 침을 많이 흘리고 심호흡을 하므로 입에서 거품을 냄
발작은 3~5분간 계속되며 발작 후 깊은 잠에 빠짐
경련성 질환(convulsive disorder)

구강 내 소견
 발작 중 돌발적 사고로 치아파절이나 정출이
일어날 수 있음
 발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복용으로 치은의
과증식이 나타남
 간대성 발작 시 혀, 볼, 입술을 깨물어 외상을
입을 수 있음
경련성 질환(convulsive disorder)

치과적 관리







발작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신체의 외상을 예방하기 위해 신체속
박장치를 이용
목제 설압자를 거즈로 싸서 혀를 씹지 않도록 손상의 예방에 이
용하고 흡입을 막기 위해 러버댐 clamp를 치실로 묶어 사용
수면부족, 과도한 정신긴장, 과로, 발열, 갑작스런 진료대의 움
직임이나 light를 눈에 비치는 등의 물리자극이 발작을 일으키
는 원인이 되므로 미리 행해질 일들을 알려주어 마음의 준비를
하도록 함
발작이 일어났을 때에는 구토물에 의한 질식을 예방하기 위해
얼굴을 돌려주고 옷이나 벨트를 느슨하게 해줌
발작 중에는 손발을 억제하는 등의 자극을 주지 않고 발작 후에
도 특별한 후유증은 없으므로 자연경과를 기다림
발작시간이 길어지면 diazepam을 정맥주사
치료 중의 발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용 중인 항경련제를 치료
전에 복용하도록 함
청각장애(Hearing loss)



상대방이 쉽게 인지할 수 없는 장애로서
주의가 산만하고 얼굴표정은 경직되어 있
고 대화에 반응이 느리거나 한가지 행동만
계속함
말의 고저가 비정상적이며 거의 대부분이
언어장애를 가짐
치과적 특이성은 없지만 조산이나 풍진등
과 연관된 경우 법랑질 저형성증이 나타남
청각장애(Hearing loss)

치과적 관리
 먼저 보호자를 통하여 병력, 언어 및, 발음능력과 장




애정도를 파악
환자가 직접 의사의 입의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하
고 과장된 안면표정을 짓지 말고 보통 음성으로 자연
스럽게 말함
TSD
환자의 손을 잡거나 어깨 위에 손을 놓는 등 육체적
접촉으로 환자를 안심시키고 미소로 불안을 덜어줌
치료를 잘받는 다른 어린이를 보여주는 것도 행동조
절에 많은 도움을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