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드 제목 없음

Download Report

Transcript 슬라이드 제목 없음

제13장 생식 생리
1. 남성 생식기
1) 남성 생식기의 구조
(1) 구성
① 고환 : 정자, 호르몬 생산 ; 1차 생식기관
② 부속기관 :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선, 요도구선, 사정관,
요도, 음낭, 음경
남성생식기
2) 정자 세포의 형성
(1) 정세관 seminiferous tubule 상피세포의 구성
① 지지세포 Sertoli's cell, 정자 발생세포 Spermatogenic cell
(2) 지주세포 Sertoli's cell
① 정세포의 지지작용, 영양공급, 식균작용
② 정세관 속의 원주상의 세포
③ 여성호르몬 estrogen 을 분비한다
(3) 정자 발생세포
① 정자 생성
② 정자 발생과정
정조세포→정모세포→제 1정모세포(제1 감수분열, 2n→n)
→제 2정모세포
(제 2감수분열, n→n)→정자세포(4개의 n, 염색체 22 X,Y)
→정자
정 자
정자의 실물 사진
3) 정자 sperm
(1) 특징 : 길이 50∼60㎛, 이동속도 3.6mm/min
(2) 구성
① 두부 : 유전물질인 23개 염색체로 구성된 염색질 함유
첨체 acrosome에는 난세포를 뚫는데 필요한 효소 함유
② 중간부 : 나선형, 미토콘드리아로 구성
③ 꼬리 : 여러 개의 축세사 존재, ATP풍부, 편모운동
4) 정액 semen
(1) 구성 : 정자(고환)와 분비액(정관, 전립선, 요도구선 유래)
(2) 특징
① pH 7.5의 약알칼리성 물질
② Prostaglandins 함유(여성 생식기 내에서의 운동성 증가 시킴)
③ 사정 정액량 : 2∼5 ml
④ 정자 수 : 약 1억 2천만 개/ml
정자의 형성
5) 발기, 오르가즘, 사정
(1) 발기 erection
① 발기조직 : 동양 혈관망이 발달, 혈관 내강이 좁음
② 음경팽창
성적자극→평활근 이완→부교감신경 흥분(천골)→음경동맥 팽창→음경확대
(2) 오르가즘 orgasm
① 성적 자극의 절정(남성의 경우 방출과 사정을 수반)
② 생리적 즐거움, 정신적 안정이 수반됨
③ 방출 : 정자와 분비물(전립선, 정낭)이 형성되는 현상, 척수교감신경 흥분
→평활근(고환관, 부고환, 정관, 사정관 벽) 수축 및 정낭,
전립선 수축→정액 방출
(3) 사정 ejaculation : 발기조직 압력 증가로 정액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
① 요도구선 분비액→전립선액 분비→정자이동→정액사정
② 몽정 : 사춘기 남성에서의 수면 중 자발적 방출(호르몬 농도의 변화)
6) 남성 생식기의 호르몬 조절
(1)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호르몬
① 시상하부 : 성선자극 유리호르몬(GnRH) 분비
GnRH→뇌하수체 전엽 자극→성선자극 호르몬(LH, FSH)
② LH(간질세포자극호르몬, ICSH) : 고환의 간질세포 발달
→testosterone분비
③ FSH : 정세관의 지주세포의 성숙→정자발생세포 자극
→정자형성
사정의 두 단계
(2) 남성 호르몬
① 특징
a. Androgen : 남성 호르몬의 통칭
고환의 간질세포(대부분)와 부신피질(일부)에서 생성
b. Testosterone : androgen 중에 가장 많이 차지
· 표적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효과를 나타냄
· 태아에서 분비 시작, 13∼15세에 최대로 분비
② Testosterone의 작용
a. 수정 후 8주 경에 태아의 고환에서 생성됨
b. 생식기관 형성 자극 및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가게 함
c. 사춘기에 고환 성숙 및 2차 성징의 발현을 초래 →
체모성장, 변성, 피부 두께 증가, 어깨넓이 , 근육발달, 골격
발달 등
d. 세포 신진대사 촉진, 적혈구 생산 증가(남>여)
③ 호르몬의 분비조절 : 시상하부의 음성되먹이기 기전에 의해
조절
a. 호르몬 감소 과정
혈중 testosterone농도 증가→ 시상하부 억제→ GnHR에
의한 뇌하수체 전엽 자극 감소→ 뇌하수체의 LH 분비감소
→ testosterone 합성 감소
b. 호르몬 생성 과정
혈중 testosterone농도 감소→ 시상하부 활성화→ GnHR에
의한 뇌하수체 전엽자극 증가→ 뇌하수체의 LH 분비 증가
→ testosterone 합성 증가
2. 여성 생식기
1) 여성 생식기의 구조
(1) 구성 : 난자(1차 생식기관), 난소(호르몬 생성),
부속기관(난관, 자궁, 질)
여성 생식기
2) 난자 발생
종상피 → 난원세포 → 제 1난모세포 → 제 2난모세포, 제 1극체
→ 난세포, 극체(3개, 퇴화) → 난자(염색체 22 + XX)
3) 난소주기 : 28일 주기(난포발달 → 난자배출 → 황체형성 과정 반복)
(1) 원시난포
① 성장기간 동안 난소 피질에서 생성, 여기에 난모세포 존재
② 출생 무렵 : 수백만 개 난모세포 중에서 1백만 개 정도 존재
③ 사춘기 : 약 40만개 존재
④ 생식기 : 약 400개의 난포가 배란
(2) 난포의 성숙
①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인 FSH에 의해 성숙
② 원시난포 → 1차 난포 → 2차 난포 → 성숙난포
(3) 배란 ovulation
① 제 2난모세포가 복강내로 배출(월경 14일경)
② FSH 에 의해 난포 발달(estrogen분비) → LH 분비로 난포
파괴 → 배란
난자의 구조
배란에서 착상까지
배발생
4) 발기, 윤활, 오르가즘
(1) 발기 erection
① 발기성 조직 : 음핵과 질 입구에 존재
② 발기 : 성적자극 → 부교감신경 층분(천골) → 발기성 조직
관련 동맥 확장 → 혈액 유입 → 발기성 조직 팽창, 질 팽창
(2) 윤활 : 부교감신경 충동 → 대전정선의 점액이 질 전정으로
분비 → 질 전정 주변 조직에 윤활액이 도포 → 음경 삽입 용이
(3) 오르가즘 orgasm
① 음핵 자극 등의 절정 상태
② 생리적 및 심리적으로 즐거움과 안정감을 수반
③ 반사작용 : 천골과 허리에 출현, 회음근 수축과 자궁 및 난관
근육의 활성화 초래 → 난관 상부로 정자의 이동이 원활해짐
5) 여성 생식기능의 호르몬 조절
(1) 시상하부 : 성선자극 유리호르몬(GnRH) 분비
GnRH → 뇌하수체 전엽 자극 → FSH, LH 분비 → 성세포
성숙, 생리주기 변화를 초래, 2차 성징 발달, 유지
(2) estrogen, progesterone : 난소에 주로 생성, 기타 부신피질,
태반에서 분비
① estrogen : 질, 자궁, 난관, 난소, 외부생식기 성장 촉진,
2차 성징 발현
② progesterone : 임신 유지, 생리기간 중 자궁변화 촉진
③ androgen(부신피질 호르몬) : 사춘기 여성의 치모,
겨드랑이 털 생성에 관여
여성의 생식주기
6) 월경 주기 : 자궁 내막에서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변화
(1) 월경 menstruation : 수정되지 않거나 수정란이 착상되지
못하면 황체는 배란 후 약 10일 경에 progesterone 생산이
감소되어 4∼5일 후에 자궁내막의 일부와 혈액이 자궁에서
배출되는 현상(3∼5일 동안)
(2) 자궁 내막 주기 menstrual cycle : 28일
① 월경기 : 1∼5일, 자궁내막 기능층(치밀층, 해면층)의 탈락
으로 출혈 발생
a. 기초체온 하강 : 월경 직전 - 배란기 까지
② 증식기 : 6∼14일, 기저층에서 자궁내막 증식기
a. 난포발육, FSH, estrogen 분비 증가(LH분비가 억제됨)
③ 분비기(배란기) : 15∼26일, 임신전기에 해당, 가장 긴 시기
a. LH 분비 증가로 난자 배란, 기초체온 상승(0.3∼0.5°)
b. 황체형성 ; progesterone 분비 증가
c. 자궁내막의 분비선 발달, 자궁 선에서 영양물질 분비 촉진
④ 월경전기 : 27∼28일
a. 수정(임신) : 임신황체 형성, 수정란 착상 완료
b. 미 수정 : 자궁내막의 국소적 빈혈 시기, estrogen과
progesterone 분비 감소
(3) 월경 전 증후군 : 배란과 월경시작 사이에 불쾌한 변화를
경험, 감정적 흥분고조, 두통, 흉통, 수족 및 복부 수종 등을
수반
7) 폐경 menopause
(1) 폐경기 : 40∼50대 이후
(2) 원인 : 난소의 퇴화로 원시난포가 뇌하수체의 GnRH에 반응하지 못함
(3) estrogen과 progesterone 감소 : 2차 성징 변화 초래(질, 자궁,
난관의 크기 감소, 골 다공 증 출현 등)
(4) 증상 : 상체(얼굴, 목 등)의 홍조 출현(30초-5분간 지속), 두통, 복통, 피로
8) 임신 pregnancy
수정란의 착상으로 자궁 내에 성장 중인 태아가 있는 상태
(1) 성 세포의 이동
① 정자
a. 이동 : 정자 꼬리의 편모운동과 자궁 및 난관벽의 근수축
(정액의 프로스타 그란딘에 의해 촉진)에 의함
b. 생존기간 : 72시간(여성 생식기 내), 자궁으로의 이동기간
② 난자
a. 이동 : 난관 벽의 섬모운동
b. 생존기간 : 배란 후 12∼24시간
수정에서 착상
(5) 출산 parturition
① 임신기간 : 40주(280일)
② 출산 시작 인자 : progesterone 농도감소, oxytocin분비 증가
③ 분만 : 자궁수축을 통한 태아의 배출과정
a. 분만수축 : 자궁 상부에서 자궁경부 쪽으로 일어남
b. 자궁수축 : 양성 되먹이기기전에 의해 최대효과 발휘
c. oxytocin 분비 : 자궁경부 확장에 의해 분비가 촉진됨
④ 후산 : 태반의 배출과정, 후산에 의한 출혈은 oxytocin에
의해 최소화 됨
⑤ 분만예정일 : 마지막월경 시작일로부터 280일
( 月+ 9, 日 + 7)
정자에 둘러싸인 난자
(2) 수정 fertilization
① 수정장소 : 난관 팽대부
② 수정과정 :정자(첨단체에 트립신 함유) → 난자의 방사 관 통과
→ 투명 층 침투 (첨단 체에서 trypsin분비) → 난 막 통과 →
정자와 난자의 원형질막 융합 → 보호막 형성(다른 정자의 침투방지)
→ 정자와 난자의 핵 교환 → 접합자 형성
(3) 초기 배자의 발생
① 분(난)할에 의해서 발생
수정 난(영양소는 난관 상피세포의 분비물) → 난할구(2개) 형성(수정
30시간 후) → 상실 배(16세포기, 3일 후 ) → 포배 낭(상실 배 형성 3일 후)
→ 자궁내막에 착상 → 배자 형성(내세 포괴와 영양 막으로 구분)
② 태반 : 배자의 외부세포와 모체의 자궁내막 세포들의 결합(혈관발달,
배자의 영양분, 가스, 노폐물 교환장소, 호르몬 분비)
③ 자궁 외 임신
a. 수정난이 난관, 난소, 자궁경부, 복강내의 어떤 기관에 착상되는 경우
b. 난관임신 : 가장 많이 발생, 파열 시 심한 고통과 출혈 수반
(4) 임신 중 호르몬의 변화
① 융모성선 호르몬(HCG)
a. 황체 유지를 통한 estrogen, progesterone의 분비를 유도하여 자연유산
을 방지해 주고 FSH와 LH의 분비를 억제함
b. 배자의 영양 막 세포 층에서 분비
c. 임신 2개월 까지 높은 수준으로 분비, 4개월 이후 감소
d. 소변으로 배설 : 임신 테스트는 수정 후 8-10일 경에 가능
② Estrogen
태반에서 분비, 임산부의 질과 같은 외부 생식기관 발달에 관여
③ Lactogen
태반에서 분비, 유방 발육 및 유즙 분비 촉진에 관여
④ Progesterone, Relaxin
a. 태반에서는 progesterone, 황체에서는 relaxin이 분비되는데 이들은 자궁
평활근의 수축 억제에 관
b. relaxin은 치골결합인대와 천장관절을 연결해주는 인대의 이완을
촉진하여 태아의 출산을 도와 줌
9) 유선 mammary glands
(1) 유방의 발육
① 성장 자극 호르몬 : 태반에서 분비(estrogen, progesterone, lactogen)
② estrogen : 유선관 형성, 지방조직 형성
③ progesterone : 유선 성장촉진(임신 중 2배로 확대), 유즙
생산 억제
④ lactogen : prolactin의 작용 억제하여 유선 성장을 촉진
(유즙 생산과 무관)
(2) 유즙의 생산과 분비
① 유즙 생산
a. prolactine의 작용 : 출산, 후산에 의한 태반호르몬
농도감소로 활성화되면 유선의 유즙분비를 자극,
출생 2-3일까지는 작용하지 않음
b. 초유 : 출산 후 매일 2-3ml씩 분비, 지방이 함유되지 않은
영양소
② 유즙 분비
a. 유방의 기계적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분비
b. 분비 촉진
유방, 유두, 유륜의 자극 →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전엽 자극
→ prolactin과 oxytocin 분비 자극 → 유방의 근 상피세포
수축자극 → 유즙분비
c. 분비 억제
규칙적인 유즙분비 정지 → 1주일 이내에 prolactin 분비
억제 → 능력상실
d. 월경억제 : 수유기 동안만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