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치수치료

Download Report

Transcript 소아의 치수치료

손가락 빨기의
전문가적 치료

습관 중단장치
 Tongue crib or rake
손가락 빨기의
전문가적 치료

만 6세 이하의 어린이



부정교합이 없는 정상 유치열의 경우 습관중단장치를 고려하기에 앞서, 어린이
의 협조도를 평가해보고 앞에서 언급한 ‘가정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동기유발
및 행동조절방법’을 시도할 것을 추천
유치열기의 심한 손가락 빨기는 전방개교증과 Ⅱ급 부정교합을 유발시키는 경
향이 있는데, 전방개교증은 습관을 중단 시 새로이 영구치가 나면서 자연개선
되는 경향을 볼 수 있음 그러나 Ⅱ급 부정교합은 습관을 멈춘다 해도 저절로 개
선되기 어려우므로 별도로 성장을 이용한 Ⅱ급 부정교합 치료가 필요 만약 유
전치부에 이미 총생이 있어 장차 영구치열의 총생이 예견된다면 일단은 손가락
빨기의 조기중단을 유도하고, 혼합치열기 말기까지 기다렸다가 발치를 포함한
포괄적 교정치료의 필요성을 설명해 줄 필요가 있음
Ⅲ급 부정교합의 어린이에서는 손가락빨기가 상악 전치부의 반대교합을 개선
시키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손가락 빨기의 치료시기를 연기할 수도 있음 저절
로 개선되지 않는다면 손가락 빨기의 중단을 위한 치료와 함께 Ⅲ급 부정교합
의 치료를 동시에 진행
손가락 빨기의
전문가적 치료

만 7세 이상의 어린이
 Ⅰ급부정교합




Ⅱ급 부정교합



전치부에 개방교합과 치간 공간만 관찰될 경우에는 Hawley형 가철성 장치를 이용하
여 상악 전치부를 후하방으로 끌어당김 이 장치의 순측 호선은 상악 전치를 구개측으
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강선 조절과 함께 구개부의 아크릴릭 레진을 삭제해
주어야 함
총생은 없으나 구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Ⅰ급 부정교합의 경우 고정성이나 가철성
의 구개확대장치를 습관인식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심한 총생이 동반된 손가락 빨기인 경우에는 혼합치열기 후기 이후에 발치를 포함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할 수도 있음
손가락 빨기를 치료하더라도 Ⅱ급 부정교합은 자연개선되지 않으므로 습관중단장치
와 함께 부정교합의 치료장치도 고려해야 함
성장을 이용한 치료가 어렵다면 발치를 포함한 포괄적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Ⅲ급 부정교합


손가락 빨기의 치료와 함께 Ⅲ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함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이거나 치료시기가 늦어 성장을 이용할 수 없다면 일단은 습관
중단장치만 시행한 후 악교정수술을 하는 방법도 있음을 보호자에게 설명해 줌
인공젖꼭지 빨기






아기 때 인공젖꼬지를 의도적으로 물린 것이 습관화되
었을 수도 있고 손가락 빨기를 치료하기 위해 대체물로
제공한 것이 습관화 된 것일 수도 있음
인공젖꼭지를 심하게 빠는 어린이에서 전치부 개방교합
과 상악궁 협착을 볼 수 있음
치열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납작한 형태의 젖꼭지
인공젖꼭지를 버리면 아이의 의지와 상관 없이 쉽게 중
단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 빨기보다는 치료가 수월함
일부 어린이에서 인공젖꼭지를 버린 후 손가락 빨기가
재발
심리적 스트레스의 분석과 동기유발
턱내밀기





우유병을 늦게까지 빨았거나 이유식 이후에도 모유수유
를 수년 이상 연장해서 한 경우(만 3~4세까지 연장한
경우)
만 4~5세경의 어린이 중 배변훈련과 같은 갈등을 겪으
면서 부모와 사이가 나빠져서 일부러 미운 표정을 짖는
습관이 든 경우
또래집단이나 가족 중에 턱이 나온 사람이 있을 경우 강
한 인상을 받아 어린이가 이것을 모방하여 습관적으로
따라하는 경우
치과의사가 직접 어린이의 머리를 무릎 위에 올려놓고
턱을 안으로 강하게 밀어 넣어보고 정상교합으로 유도
할 수 있다면, 어린이에게 턱을 내밀어 다무는 것보다
안으로 다무는 것이 좋고 예쁘다고 설명
반복적으로 유도하며 훈련
혀내밀기


손가락 빠는 습관과 연관된 경우가 많음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 혀가 비정상적
으로 커져 혀내밀기가 생길 수도 있음
 내분비내과 의뢰

Palatal crib or rake
 6~12개월
구호흡

폐쇄성


습관성


비정상 기도 폐쇄 요인이 제거되어도 습관적으로 구호흡을 계속
해부학적 구호흡


코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 입으로 호흡
상순이 짧아 의도적 노력 없이는 입을 다물 수 없음
Adenoid faces




만성 각화성 변연 치은염
좁은 비강
짧고 처진 상순
장안모의 골격형태
구호흡


소아과나 이비인후과에 의뢰하여 비인후 기도의 크기와
adenoid, 비중격 등에 대해 평가하여 수술여부를 결정
하고 이후 악습관 제거장치의 필요성을 결정
비강의 폭경이 좁은 아데노이드성 얼굴의 환자일 경우,
이비인후과에서 비강폭경의 개선을 위해서 치과로 의뢰
할 수도 있음



RPE
습관성 구호흡: Oral screen or activator
해부학적 구호흡: 근기능요법
이갈이






교합과 정서적 긴장이 원인으로 생각됨
이갈이는 어른보다 어린이가 더 많으나 성장기에 일시적으로 잠깐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며, 이는 성장하며 나이에 따라 요구되는 사
회생활의 적응에 성공하여 원인이 되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해소되
면 자연개선되는 것으로 보고 있음
교합간섭이 관찰될 경우 premature contact의 제거가 효과적
치수를 노출시킬 정도의 심한 교모가 있다면 치수치료 후 기성금관
으로 수복
Splint( 전방교합 거상판 혹은 연성 교합보호장치)
신경과민이나 불안이 의심되면 약물치료와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
이 추천
이악물기




역도선수나 야구선수같이 큰힘을 자주 써야 하
는 성인에서 흔하게 발견됨
어린이의 이악물기는 드묾
항문소양증이나 요충이 있는 어린이에서 심한
가려움증으로 인해 야기될 수도 있음
아침 잠에서 깨면 구치부의뻐근한 통증이 있고
지속될 경우 원인을 알 수 없는 참기 어려운 심
한 통증이 유발될 수도 있음
손톱 깨물기

Oral screen
장애인의 치과치료
장애의 분류(WHO)

신체장애



정신지체





심혈관계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 만성 신질환, 내분비기관 기능이상 등
경련성 질환
소아 자폐증
감각 기능장애


구순열 및 구개열 등 구강안면결손, 하악 안면 이골증, 두개안면 이골증, 쇄골
두개이형성증 등
대사 및 전신질환


염색체이상 증후군, 외배엽형성이상 등
선천적 결손


근골격계 질환: 관절염, 척추측만증, 골형성 부전증
신경근육계 질환: 뇌성마비, 뇌졸중, 파킨슨씨병, 근이영양증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혈우병
종양

백혈병, 림프종, 충실성 종양(solid tumor)
치과적 관리문제

치과치료 행위에 의해 전신상태와 장애증상이 악화될 수 있음




장애에 의해 치과치료의 예후가 악화될 수 있음





뇌성마비 환자는 오랜 시술시간이나 심한 긴장상태를 견디기 어렵고
치과치료 시 특히 더욱 긴장
경련성 질환을 가진 환자는 치료 중 발작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
로 인해 뇌의 장애나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항경련제를
투여하거나 치과치료 시 자극을 최소화
선천성 심장질환의 경우 치성 감염에 의한 균혈증과 세균성 심내막염
이 일어나지 않도록 술 전 항생제 투여가 피수적
불수의 운동으로 인한 이악물기로 수복물이 깨지거나 탈락할 수 있음
류마티스성 관절염으로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근
관치료의 예후가 나쁘며 법랑질 표층의 탈회로 수복물 주변에서 2차우
식이 쉽게 발생
치과치료에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
장애인의 구강 내에 특별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예방수단, 관리의 실천에 문제가 있음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
치주질환
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구강위생 불량으로 치은염과
치주염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간혹 심한 치조골 소실
도 보임

부정교합
 치아의 조기상실과 이갈이, 혀내밀기, 이악물기 등의
구강습관에 의한 부정교합이 대부분이며 다운증후군
과 관련된 경우에는 상악골의 열성장으로 Ⅲ급 부정
교합의 발생빈도가 높음

치아우식
 구강위생의 불량으로 발생률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