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비평)

Download Report

Transcript (장르비평)

드라마 비평론 : 드라마에 대한
장르 이론적 접근
임종수
신데렐라나 콩쥐팥쥐식 스토리 같은 ‘영원한 18번’도 있지만, TV드라마는 수
시로 유행을 갈아 탄다. 한동안은 별별 희귀병을 동원해 주인공을 애절하게
죽이더니, 최근 불어온 사극열풍은 주인공들에 한복만 입혀 트렌디 드라마처
럼 만든 ‘홍국영’같은 사극도 탄생시키기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요즘 드라마 패션의 키워드는? ‘여자’와 ‘출생의 비밀’이 단연 두드
러진다. 이 두 가지 요소를 빼면 맥없이 무너질 판이다. 드라마는 현실을 반발
짝 앞서 간다는데, 갈수록 커지는 여성파워는 그렇다 치자. 하지만 고아며 이
복형제가 휘젓는 건 가족 해체라는 시류의 반영일까, 그도 저도 아니면 시청
률을 올리려는 독한 양념소스일까.
“TV드라마 요즘 키워드는”, 서울신문, 2001년 4월 7일, 문화 15면.
차
례
1. 드라마와 장르 결합의 어색함
2. 장르연구의 필요성
3. 장르란 무엇인가?
4. 장르 형성의 메커니즘
5. 드라마에 대한 장르 비평의 교훈
◈ 장르연구에서의‘정상문화’(normal culture)
1. 드라마와 장르 결합의 어색함
드라마와 장르간의 거리
♠ 저급문화인 텔레비전 드라마를 장르
와 결합하는 것은 낯설음
텔레비전 비평의 전통
♠ 사회윤리적 잣대에서 접근
- 드라마 내용에 대한 사회규범적 평가
- 문학, 영화에서의 장르연구와 대조
-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types)이
나
범주(categories)로 명명
♠ 매체 차별적 인식
(텔레비전은 저급문화다)
♠ 드라마 분석의 한계
- 드라마 자체의 불완전성
- 1회적 소비성
2. 장르연구의 필요성(1)
1) 드라마의 질적 제고와 사회적 이슈화
애인
(1996)
저질 드라마
시비와 아름
다운 사랑이
야기 논쟁
용의 눈물
(1998)
현실정치와
의 연계성
아줌마
(1999)
지식인 집단
의 허구 고발
허준
(1999)
사극의 트렌
디화와 상업
적 성공
여인천하
(2002)
역사에 대한
여성 중심적
시선
노란 손수건
(2003)
호주제 폐지
논란 반영
그리고,,, 2007-08년
<하얀거탑>, <태왕사신기>, <엄마가 뿔났다>, <바람의 화원>, <에덴의 동쪽>
텔레비전 내용과 형식의 장르성 제고:
텔레비전 ‘일상성’의 힘에 대한 비평 관심
2. 장르연구의 필요성(2)
2) 텍스트와 사회와의 절합(articulation)에 대한 관심
장르는 특정 시대의
정치,사회,문화적 변화와
대중문화간의 접합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 대중문화 생산물이 사회에 어떤 의미를 (Berger, 1992)
가지는가?
- 어떤 텍스트들이 서로 닮아 있는가?
- 텍스트는 어떻게 창조되는가?
- 텍스트는 수용자들에게 어떤 함의를 주는가?
3. 장르란 무엇인가? : 장르에 대한 정의
Kellner
공식과 관습들의 코드화된 집합
(1987)
Fiske
새로운 형식의 도입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잠정적
(1987)
인 특징들의 집합
Feuer
예술적 표현을 가능케 하는 관습체계
산업과 수용자간의 문화 교환
(1987)
자본주의 체계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수단
대중문화 생산자와 소비자가 공동으로 만들어
내는 문화적 실천(a cultural practice)
장르는 '산업-텍스트-주체
'(수용자) 사이를 순환하는
지향성, 기대, 관습의 체계
(Neale, 1980)
3. 장르란 무엇인가? : 장르 주체의 상호관계(1)
1) 장르형성의 구조적 측면
- 표피적 현상을 가능케 하는 ‘심층구조’는 무엇인가?
- 심층구조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지배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2) 텍스트를 둘러싼 정황(산업과 수용자)을 텍스트 비평에 포함
텍스트(T)
비평은 한 프로그램
의 구조를 파악하고
그것을 시대적 맥락
에 비추어 해석해
내는 작업
(정준영, 2002)
- 문법
- 내용
산업(S)
- 제작자 (관객,시청자)
- 매 체 (시청률)
- 광고주 (광고효과)
수용자(R)
- 충족
- 의미화
3. 장르란 무엇인가? : 장르 주체의 상호관계(2)
산업적 요구
(흥행과 성공)
경험재
사치재
가치의 급소멸성과 비반복성
텍스트는 산업적
요구와 수용자의
요구가 만나는 곳
수용자 요구
(충족과 의미화)
대중문화 질에 대한
불확실성
텍스트
선택에 대한 정보의
부족
욕구의 불명확성
◈ 비판 : 텍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적 성격도 중요하지만 텍스트의
변화과정을 봄으로써 사회의 가치와 의미가 변해가는 과정을
파악하는 것이 더 중요
☞ 변화 발전하는 역사적인 개념으로서의 장르
4. 장르 형성의 메커니즘 (1): 언어체계와 영화의 사례
<랑그 vs. 빠롤 / GENRE vs. genre>
랑그, GENRE
빠롤, genre
사회적으로 동의된 일반적 언어체계
(집합적 언어체계)
- 사회성, 불가역성
사회적으로 동의되지 않은 개인적 언어
(개인적인 말)
- 자의적, 가역성
언어체계
- 빠롤은 랑그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랑그를 변화시킨다
- 그러한 변화가 사회적으로 합의되면 새로운 랑그가 형성된다
이미 구축된 ‘영화장르’
꾸준히 지속되어 온 보편적인 관습, 서
사구조
특정 개인의 ‘장르영화’
기존의 장르 관습 및 이야기 구조를 바탕
으로 만들어진 개인적인 영화
영 화
- ‘장르영화’는 ‘영화장르’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영화장르’를 변화시킨다
- ‘장르영화’의 변형이 ‘GENRE 관습’이나 구조를 탈피하여 하나의 대표장르로 정착
하면 새로운 ‘영화장르’가 탄생된다
4. 장르 형성의 메커니즘 (2): GENRE와 genre의 관계
♠
공시적으로 볼 때
- 산업적으로 GENRE가 우위
- 수용자 역시 GENRE에 익숙함
♠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담은
보편적인 서사구조의 재생산
- 이미 GENRE를 통해 수용습관을 기른 수용자들에게
genre는 ‘수용의 부담’(work loading)을 줌
ex) 청춘의 덫(1978 vs. 1999)
※ 문화산업은 GENRE 내 변형만 주로 시도하는데, 대체
로 ‘스타의 이미지 변신’에 주목
♠ GENRE는 통시적으로 변화해 왔다.
- 변화는 늘 ‘새로운 시도’로부터 도출
- genre는 새로운 가치, 새로운 형식을 담은
‘새로운 시도’
♠ 새로운 시도로서 genre는 기존의
동의체계인‘장르관습’에 긴장상태를 야기
☞ 동의 체계의 상호충돌: 헤게모니적 관계
→ 헤게모니: 보편적으로 동의되고 있는 지적,
도덕적 리더쉽
4. 장르 형성의 메커니즘(3) : 장르관습 변화의 역동성
장르관습 변화의 역동성: 헤게모니 갈등관계
♠ GENRE 관습 vs. genre 관습: 헤게모니를 가진 GENRE의 관습은
genre의 반헤게모니적 관습과 갈등함으로써 변화
ex) 히치콕의 영화, 김기덕의 영화, 드라마 아줌마
☞ “관습과 창조 사이의 긴장”
(Turner & Sprague, 1991)
♠ 개별적인 genre는 그것이 속해 있는 집합적 유목인 GENRE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언제든지 도전할 수 있고, 실제로 그러하고, 상당부분 성공하여 집합적 유목을 변형
ex) 헐리우드 영화에서의 흑인 주인공의 등장
♠ 변화된 GENRE는 한동안 이와 유사한 장르관습을 재생산
ex) ‘아씨’(1970)와 ‘여로’(1972) 이후의 일일극: 가부장주의와 희생적 여인상
‘허준’(1999) 이후의 트렌디 사극: 여인천하, 다모, 대장금
‘아줌마’(1996) 이후의 여성파워: 소문난 여자, 엄마야 누나야, 여인천하, 그 여자네 집, 여자만세, 매화연가, 천생연분
‘가을동화’(2000) 이후 출생의 비밀 소재주의: 여인천하, 엄마야 누나야, 맛있는 청춘, 아름다운 날들, 온달왕자들, 좋은
사람
♠ GENRE의 변화는 현실사회에서의 가치관, 이데올로기, 문화적 심성, 취향 등의 변화를 함의
- 이야기 전개방식의 변화
- 텍스트의 사회성, 역사성
- 텍스트의 어떤 소재, 어떤 내용이 더 가치가 있다는 말은 무의미
5. 드라마에 대한 장르 비평의 교훈
특정 드라마가 담고 있는 ‘사회적 감수성’ 파악
수용미학
분석
- 그 시대의 보편적인 정서, 가치관이 무엇인지,
그러한 정서와 가치관이 어떻게 갈등하고 변화하는지를
파악
텍스트와 현실사회와의 관계 설명
문화연구의
접합 개념
획득
장르개발과
산업발전
현실 영역
텍스트 영역
텍스트
텍스트
텍스트
...
해독
수용자
장르연구를 통한 하위장르 개발로 장르 및 문화산업
발전 도모
- 문화적 흐름을 파악함으로서 드라마 텍스트 생산을
위한 산업적 활용
◈ 장르연구에서의‘정상문화’(normal culture)
1. 당대의 문화 생산장에서 정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문화
- GENRE와 genre간의 투쟁에서 보편적으로 인정되어진 문화
2. 정상문화는 무엇이 정상적인 것이고 무엇이 비정상적인 것인지를
보여줌
- 1978년 ‘청춘의 덫’은 비정상적이었다면 1999년의 ‘청춘의 덫’은 정상적이었다.
3. 정상문화는 지배적 문화(dominant culture)와 다름
- 1999년 ‘청춘의 덫’ 시대에도 지배적 문화는 가부장주의의 문화였다.
4. 정상문화는 정상과 비정상간의 헤게모니 투쟁관계의 산물
- 정상문화는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그 시대의 보편문화를 의미한다.
5. 정상문화는 새로이 등장하는 대안의 문화와
갈등함으로써 또 다른 정상문화로 자리이동
참고문헌
◈ Berger, Arthur A.(1992), Popular Culture Genre: Theory and Texts(Newbury Park,
CA: Sage).
◈ Neale, S.(1980), Genre(London: BFI).
◈ Feuer, J.(1987), "Genre Study and Television," in Robert C. Allen ed.(1987),
Channels of Discourse(Chapel Hill & Lond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 Fiske, J.(1987), Television Culture(London: Routledge).
◈ Kellner, D. "TV, Ideology, and Emancipatory Popular Culture," in Horace
Newcomb ed.(1987), Television: The Critical View(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Turner, Kathleen J. & Ramond Sprague, "Musical and Visual Intention in Miami
Vice: Old Genre, New Form," in Leah R. Vande Berg & Lawrence A. Wenner
)
eds.(1991), Television Criticism: Approaches and Applications(New York: Longman
◈ 정준영(2002), 《텔레비전 보기: 시청에서 비평으로》 책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