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Download Report

Transcript 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정신건강간호 역사
1. 서양의 정신건강간호
2. 한국의 정신건강간호
1. 서양의 정신건강간호
1) 원시시대
• 원시
-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을 구분하지 않아, 비정상적 행동은
초자연적 힘에 의한 것이 라고 믿음
- 정신질환은 자신의 영혼에서 분리되었기 때문에 발생
- 정신질환은 사악한 영혼이나 신의 벌, 악마 혹은 귀신 때
문에 생긴다고 하여 질병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혹행위,
부적, 주문, 기도 등의 방법을 사용함.
• 고대 : 성직자와 의사, 심리학자, 마술사 등이 귀신학 이
론에 관심을 갖고 귀신을 쫓는 의식, 주문을 외는 것, 살
풀이 , 교회의 신비한 행위들이 이루어졌으며, 물은 죄를
씻어 맑게 하는 상징적 역할로 사용됨. 또한 정신 질환자
를 마녀로 취급하여 종교재판에 회부하거나 화형을 함.
고대 정신간호
Museum DR. Guislain
1)원시시대
• 이집트의 파피루스(B.C. 1550년) - 정신장애는 사악한 영
혼에 의해 발생한다고 기록, 노인성 퇴행, 알코올중독, 울
증, 히스테리에 대해 기술됨
• 인도의 바라문교 경전 Atharva veda(B.C. 10세) - 치료자
를 귀신과 같은 마술적 인물로 기록
• 초기 히브리인의 구약성경 - 이스라엘 사울왕이 울증과
조증의 재발로 고생하다 자살했다고 기록
• 피타고라스 – 지적 활동의 중심이 ‘뇌’ 이며, 이 기관에 생
긴 질병이 정신질환이라고 함. 치료법으로 냉수목욕, 오락,
독서 등 식이요법, 음악치료를 찬성하였고 작업과 도덕생
활 권장함.
2)그리스, 로마 시대
•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 정신질환에 대한 초자연적 믿음 버리고 과학적으로 접근.
– 정신질환의 원인으로 네 가지 체액(혈액, 흑담즙, 황담즙,
점액)의 불균형을 제시
– 정신질환을 광증(phrenitis), 조증(mania), 울증
(malancholia)로 분류하였고, 간질, 히스테리, 산후 정신병
등을 기술함
– 정신질환이 병이므로 의사가 치료, 환자 상태에 따른 치료
법 실시
– 치료: 목욕, 식이요법, 약초, 사혈, 독서 등
• 플라톤(Platon) - 몸과 마음은 분리될 수 없으며 건강이란 정
신과 육체의 조화에서 이루어진다. 정신질환은 신체와 도덕의
장애에서 기인된다. 정신건강 개념의 선구적 역할을 함.
• 갈렌(Galen) - 신경해부학의 권위자, 뇌의 구조를 지능, 감정,
기억의 중심부로 설명, 사람의 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과 습
의 평형이 깨어지면 정신장애 발생, 가족의 중요성 강조함.
3) 중세, 르네상스 시대
• 정신질환자의 수난시대.
• 정신질환-초자연적 힘과 악마가 소유하는 현상으로 인식.
성직자와 의사, 심리학자, 마술사 등이 귀신학 이론에 관심
• 정신질환자- 마녀로 취급. 잔인한 처벌(종교재판에 회부하거
나 화형). 귀신을 쫓는 의식, 주문을 외는 것, 살풀이 , 교회의
신비한 행위들이 이루어짐.
• 중동-정신질환을 실제 질병으로 생각. 최초 정신요양소 설립
• 영국-1247년 베들렘 성 마리 구빈원 설립(정신질환자 수용
만)
• 15세기-모순의 시기.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으로 인도주의적
인 치료 시도
• Paracelsus-인간과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논의 시작
• J.Weyer-마녀로 취급 받는 사람들이 정신병 환자임을 명백
히 밝힘. 최초의 정신과 의사라고 불림. 귀신학 반박
베들렘 구빈원
Museum DR. Guislain
3) 17, 18세기(1)
• 18세기- 일반적으로 정신질환자 여전히 감금
• 유럽(17세기 중반에 수용소를 설립)- 가난한 자, 부랑자,
거지 등을 수용. 대부분 창녀, 정신병자, 동성애자, 불구
자, 노인, 범법자 등이었으며, 정신질환자에게 쇠사슬을
사용
• Franz Anton Mesmer : 최면술을 이용
• Benjamin Rush
-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 , 미국 최초 종합병원 내 정신
과 병동 만들어 입원치료(1752년)
- 진정시키는 의자(Tranquilizer Chair)고안, 환자의 맥박을
감소시켜 활동을 저하시킴
- 물리적 치료법으로 출혈, 하제, 토제 사용.
Museum DR. Guislain
Museum DR. Guislain
3) 17, 18세기(2)
• 18세기 말-정신질환자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입
원 환자들의 환경에 관심
• William Tuke : 정신질환자 죽음 당하고 비인간적 치료
에 반감. York 수용소 설립(1792년). 공공기관에서 정신
병자에 대한 인간적 처우 기준 설정. 과학적인 치료를
함
• Phillippe pinel : 도덕적 치료의 선구자, 인도주의적 치
료를 도입(1793년 Bicetre 병원 정신질환자 족쇄 제거,
처벌 금지, 친절과 이해, 신선한 공기, 깨끗한 환경, 작업
기회제공, 직원 환자간 대화 등)
4) 19-20세기
• Jean Esquirol: 필리피넬의 제자로 진행마비와 순환성 정
신병을 밝히고 환각(hallucination)과 착각(illusion)에 대하
여 연구 등
• Emil Kraeplin : 독일 정신의학의 학문적 기초와 광범위한
영향을 줌, 정신질환을 원인, 임상증상, 경과 및 예후별로
기술하여 정신의학의 체계와 질서를 가져옴(1898).
– 오늘날의 정신분열병에 대해 조울병과 조발성 치매
(dementia praecox)로 분류.
– 정신질환의 원인을 기질적인 것으로 생각
– 기술적 정신의학(descriptive psychiatry) 눈에 보이는
현상을 기술함으로써 병의 형태와 특성을 체계화
• Eugen Bleuler: 조발성 치매를 정신분열병으로 명명
(1911). 원발성 증상과 부수적 증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정신분열병에 있어서 분열은 인격의 부조화, 즉 내적 통
일성의 붕괴를 초래한다고 함.
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 Jean Martin Charcot : 프랑스의 신경학자로 Freud의 스
승, 히스테리 환자 치료에 최면술을 이용.
• Sigmund Freud
-처음에는 최면술을 치료방법으로 썼지만 오히려 마음속 깊
이 있는 욕망, 생각, 감정, 충동 등을 살피는데 방해됨을 깨
닫고 자유 연상법(free association)과 꿈의해석으로 치료
-정신분석은 현대 정신치료에 토대가 됨, 무의식의 존재와
기능 등에 대해 설명
 프로이드 이론의 공헌
– 신체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정신질환에도 원인이 있고 개인의
생활과 성장과정에 대해 충분히 알게 되면 이해하기 쉽다
– 인간의 정신활동의 많은 부분이 자신이 알고 있는 세계 외에
서 일어난다는 것, 프로이드의 개념에선 이것을 무의식의 정
신과정이라 했다.
– 성격 발달과 후에 일어나는 정신질환의 경우에 인생의 초기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 Adolf Meyer : 정신생물학(psychobiology)의 창시, 대
상자를 이해하는 데는 삶의 모든 상황을 포함한 종합적
연구가 중요하고, 정신병리 현상을 심층적으로 해석하고
심리적․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해하고자 함.
• Alfred Adler : 개인 심리학(individual psychology) 창
시, 권력의지를 중심으로 한 목적론적인 학설, 아동이 열
등감을 극복하고 자기 주장을 하려는 욕구가 인격발달과
형성에 영향을 준다고 함.
• Otto Rank : 출생 시 외상이 인간의 기본적 불안으로 무
의식에 내재되어 불안의 근원이 되며 이후 이별을 겪을
때 마다 분리불안을 경험하게 된다고 함
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 Karen Horney :
-신프로이드학파. 여성 심리의 발달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높임.
우울증 연구에 기여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문화 및 사회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행동의
가장 큰 동기를 이루는 요인은 안전에 대한 요구에 대해 부모의
적개적인 태도 및 몰이해 등을 보여 나타나는 무력감을 근본적
인 불안으로 설명함.
• Carl Gustav Jung :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 창시,
-중립적인 정신적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생각
- 무의식은 억압된 충동뿐 아니라 목적 지향적인 창조성을 지님
-개인적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과 시간․공간과 인종을 초
월한 전인류에 보편적이면서 근원적인 집단무의식(colloective
unconsious)으로 구분함.
4)19-20세기(역동정신의학)
• H. S. Sullivan : 대인관계이론학파 창설
– 정신질환이 초기 아동기나 영아기에 시작되는 대인관계
장애로 인해 발생하며 대인관계의 성장발달과 효율적
의사소통을 강조함.
• Melanie Klein
-놀이요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신치료
4)19-20세기(새로운 치료법)
• Manfred Sakel: 인슐린 충격요법 개발로 불안치료와 식욕
부진 환자의 식욕을 증진시킴
• Ladislas J. Von Meduna : 메트라졸 경련요법 (인위적 간
질 발작 유도)을 정신질환 치료에 처음 사용함
• Egas Moniz: 전두엽절제술(labotomy) 시행
• Ugo Cerletti & Lucio Bini: 전기경련치료(electroconvulsive
therapy)을 정신질환 치료에 처음 사용 (1938년)
• John Cade: 조증 환자 Lithium 사용
• Henri-Marie Labroit등: 클로르프로마진 발견
4)19-20세기(새로운 치료법)
• 1953년 정온제 등을 개발되어 환자치료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옴
• 20 세기 후반: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정신병의 신경화학적 기전이 부분적으로나마 밝혀지고
있고, 뇌파,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 촬영술, 단광자방
출 전산화 단층촬영술, 양자방출 단층촬영술 등 뇌영상 촬
영술의 발달로 뇌의 구조적 변화와 대사기능 변화를 관찰
할 수 있게 됨.
•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으로 입원기간이 줄어들고 폐쇄병
동이 개방되었고 환자 면담과 집단정신요법이 활성화 됨.
• 심리학 분야-행동주의 또는 학습이론 발전이 정신의학에
공헌(Pavlov, Skinner 등)
4)19-20세기(새로운 치료법)
• Clifford Beers
-’A Mind that Found Itself’(정신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하여
환자로서 받았던 혹독한 대우에 관한 자서전)
-정신장애 예방운동.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제거 및 미국정신위생위원회 설립 공
헌
•
Maxwell Jones(1952년): 신경증 환자 대인관계 장애 치
료에 치료공동체 적용. 개방병동정책 제시. 환경치료. 지
역사회 정신건강운동 전개
• 1960년대-지역사회정신보건 발달 및 탈원화 시도
고대 원시시대
1. 관점
-정신질환의 원리를 초자연적인 힘으로 생각
-귀신이나 악령이 몸 속에 들어 있는 것으로 간주
2. 치료
–악령을 빠져나가도록 함(exocism)
-불태우거나 두개골에 구멍 뚫음
-무당, 마술사, 사제자
-비인간적인 치료방법
그리스 로마 시대
1. 관점
-사체액설, 뇌를 인간 영혼과 감정의 중심으로 간
주
-정신질환을 뇌신경계와 심신 관계의 과학적 설명
히포크라테스: 정신질환을 체액불균형
갈렌: 지능, 감정, 기억의 중심부인 뇌의 해부생리 연구
2. 치료
–목욕, 식이, 하제, 사혈, 약초 등
중세 르네상스 시대
1. 관점
-신학이 모든 문화의 중심, 마술, 종교성행
-정신의학의 쇠퇴기
-정신질환을 신의 저주에 의한 마귀로 간주
2. 치료
–감금, 사회적 제거, 추방,화형 등 비인간적인 징벌
적 치료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으로 인도주의적 치료 시도
17-18세기시대(도덕적 치료시작) : 정신의학의제1
혁명
1. 관점
-환자를 아픈 사람으로 봄
-정신의학이 독립된 학문으로 탄생
-Philippe Pinel, William Tuke, Benjamin Rush
-Vincenjo Chiarugi
-Dorothea LyndeDix
2. 치료
–인도주의적 치료
-신선한 공기, 깨끗한 환경, 친절과 이해
19, 20세기시대(Freud 정신분석이론) : 정신의학의
제2 혁명
1. 배경
-정신병원 환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전문인이 의사역할
-도덕적 치료 쇠퇴하여 억제, 감금
2. 치료
-Emil Kraepelin: 정신질환의원인, 결과, 예후 등에 대한 서술
-Sigmund Freud : 무의식, 자유연상,꿈 분석 통한 정신역동
의학
-Eugen Bleuler: ‘정신분열병’용어처음사용
-H.S. Sullivan : 대인관계이론주장
19-20세기: 약물치료-정온제(정신의학의제3
혁명)
1. 배경
–제2차 세계대전 후 기초과학 및 의학의 발달로 신체치료
및 약물치료등장
2. 치료
-신체치료는 증상 감소시켰으나 정신질환 치유시키지 못함
:수면치료, 인슐린충격요법, 전기충격요법
-약물치료는 중증환자 증상완화, 질병기간단축, 망상환각
제거
: 1953년 Chlorpromazine
현대:탈원화정책, 지역사회정신보건운동(정신
의학의 제4혁명)
1. 배경
-1960년대 장기 수용 정신질환자들에게 인간적인 환경 제공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의료 경비 절감 차원
-지역사회에서 치료를 하기 위해 탈수용화, 탈원화정책
2. 치료
–단기입원치료, 외래, 부분입원, 재활 등의 서비스 제공
5) 현대 정신건강간호
• Linda Richards-미국 최초 정신간호사, 정신간호사 훈련
위한 학교 최초 개설(1882)
• 1913년-존홉킨스 병원의 간호학교에 정신간호교육과정
이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
• 1930년-정신간호사 역할 정의하려고 노력
• 2차 세계대전 이후-정신간호 주요 변화 및 성장기
5) 현대 정신건강간호
• 1950년대 정신과 간호사들의 역할에 영향 미친 동향
-Maxwell Jones[치료적 공동체: 정신과의 새로운 치료 방법] 발
간
-항정신병 약물 사용: 클로르프로마진 등 약물 개발로 환자 증상
완화 및 기간 단축,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가능하게 되면서
회복에 대한 가능성 제시
• Hildegard Peplau: [간호에서 대인관계(1952)] 에서 간호
“중요하고 치료적인 과정” 으로 정의, 정신간호사의 기술, 활
동, 역할 기술로 정신간호의 체계적이고 이론적 기틀 제시
• Ida Jean Orland, Joyce Travelbee, Gerald K.Lewis등
• 1960년대- 지역사회 정신보건 출현
• 1963년- 정신간호에서 정신건강간호로 불림
• 1970년대-정신간호사가 전문간호실무의주도자
IOM모형
치료중재
사례발견
조기치료
치료
징후적
예방중재
장기치료
선택적
예방중재
일반적 예방중재
재활 및 추후관리
정신건강 증진
현대 정신간호
ANA(1967)의 정신건강 간호실무에 대한 선언
정신건강간호를 과학적이고 예술적인 영역의 전문화된 임상 분야로
묘사함
정신건강간호의 과학적인 측면
인간행동에 대해 새롭고 복합적인 이론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학적, 영적,
문화적인 차원을 고려하는 것]
예술적 측면
대상자와의 만남의 관계에서 목적 지향적으로 자신을 사용함
2. 한국의 정신건강간호
삼국~조선중기
1) 삼국사기
• 신라 현덕왕 때 대신이었던 ‘녹진’
• 우울장애는 알맞은 말로 고치는 것이 유효하다.
• 신체적인 부조화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이 중요
한 변수이다.
2) 고려시대 “향약구급방”
• 간질과 광기에 대한 기록
3) 조선중기 “동의보감”
• 정신과 기, 신의 힘이 인간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조선후기~일제강점기
4) 1885년 왕립 병원 “광혜원”
5) 1899년 “관립 경성 의학교” - 동서양 의학이 동시에 교
육
6) 1910년 “조선총독부 병원” - 최초 정신장애에 관한 교
육 (서양선교사 및 일본 의사에 의해)
7) 1913년 “조선총독부 병원에 정신과 병동 신설” –환자
안전 및 보호위주의 간호 시행, 폐쇄병동 운영, 격리 및
억제대 사용
8) 일제 하 “전기충격요법” - 신체적인 치료
해방 이후 ~현재
9) 해방 후 “의과대학에 신경정신과 강의, 병실”
10) 1950년 이후 오랫동안 “역동정신의학”이 주류
11) 1970년 “정신생물학, 정신생화학” 관심 고조
해방 이후 ~현재
• 1971년 “정신간호학회” 분리되어 학회 활동
-정신간호학 분야에서 정신보건법 제정에 적극적
참여, 대상자의 권리옹호
• 1972년 정규간호과정에 “정신간호학" 포함
• 1990년 “정신간호 훈련과정 개설”
- 용인정신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에 정신간
호사 과정(간호사 면허 소지자에게 200시간의
이론, 1000시간의 임상실습)
•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후 입원위주에서 지역
사회 정신보건 개념으로 변화,
• 정신보건센터 시범사업 시작
• 1995년 “정신보건전문간호사회” 창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