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기록문화유산 사업성과와 한계

Download Report

Transcript 호남 기록문화유산 사업성과와 한계

2012년 9월 25일, 광주 YMCA 강당
호남기록문화유산 학술포럼
(재) 지역문화교류재단,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호남기록문화유산 사업의 성과와 한계,
발전방안
발표 : 김대현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책임교수)
1
연구 사업의 필요
1) 21세기 지역학의 발전과 자료 정리 필요
2) 호남문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센터의 구축을
위한 DB화 필요
3) 국가적 단위 조사 사업의 한계, 지역과의 연계가
필요
2
현재 연구 사업 내용
사업명 :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 콘텐츠화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재) 지역문화교류재단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연구진행
목표 :
호남의 기록문화유산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정리, DB화를
완성하여 호남 문화 연구의 기초 자료센터를 만드는 준비를 함.
기간 : 2010년 - 2020년
(총 10년간 예정, 현재 1단계 3년차 진행 중)
3
연구사업 항목내용
대상 분야 :
문집· 지방지·
고서화· 누정현판· 고문서·
일기자료· 한글고문헌·
호남인물검색시스템 등 현재 8개 부문
(향후 기록문화유산 자료 영역을 확대 예정)
 이들 각 항목에 대한, 조사와 발굴 작업을 통하여 목록,
해제, 일부 원문 자료 구축 등 기초 DB화.
 홈페이지 : honamculture.or.kr
 최초로 호남기록문화유산 전반에 대한 디비 구축 진행
4
구체적인 내용 (8개 부문)
사업부문
호남문집
호남지방지
고문서
고서화
누정현판
예상
총 분량
3천여종
2천여종
20여만점
5만여점
1만여점
기초 DB
화 목표 /
현재 진
행 상황
3천종/
600 여종
1천종/
400 여종
1만점/
500 여점
1만점/
1000 여점
1만점/
1000 여점
담당
연구팀
호남한문고
전연구실
전남대 문헌정
보학과 연구진
전남대, 사학
과, 철학과
연구진
전남대 호남
고서화 연구
팀
조선대 한문
학과 임준성
교수팀
5
구체적인 내용 (8개 부문)
사업부문
일기자료
한글고문헌
호남인물검색시스템
예상
총 분량
200여 종 이상
약 1만 여점
약 1만 여명 이상
기초 DB화
목표 / 현재
진행상황
200종/
80종
5천 여점/
100점
1만 여명/
2,000명
담당
연구팀
광주 교육대
김덕진 교수팀
전남대 국문과
손희하 교수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6
호남 고문헌 자료와 정리 설명
• 현재 호남지역에는 약 20여 만 책 이상의 고문헌
(고전적)이 남아있다고 추정.
• 이 가운데 호남 관련 고문헌은 약 5천 여 종, 1만
여 책 내외로 추정
• 이들을 文集, 地方誌, 門中文獻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 목록, 해제, 기초 DB화를 진행하고 있다.
7
최근 연구실의 호남고문헌 조사정리 현황
• 2002년부터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에서는
호남 고문헌 정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함.
1) <20세기 호남지역 근대 문집 조사 연구>
3년간, 한국연구재단 지원, 2002년 ~ 2005년
2) <호남 지역 간행본 문집에 대한 조사 연구>
3년간, 한국연구재단 지원, 2005년 ~ 2008년
3) <해남 윤씨 문중 문헌 조사 정리 출판>
3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원, 2009년 ~ 2011년
8
2005년 <호남 광역 지방지 전시회>
(전남대 박물관,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주관)
• <호남 *** >라는 책 이름이 들어간 약 25 종을
조사, 수집하여 전시회를 개최. 향후 이를 바탕
으로 다양한 자료의 정리로 나아갈 예정.
• <광주권, 전남권> 광역 지방지들을 집성하여 나
갈 예정.
9
본 호남기록문화유산 사업의 전반적인 문제점
1) 연구자 및 일반인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2) 필요한 내용들을 효과적으로 채우는 문제를 다
각도로 검토하여야 한다.
3) 본격적인 디비화 (이미지화, 텍스트 파일 입력화
등)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
여야 한다.
10
각 분야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각 분야마다 개선점 보충할 점을 계속하여
검토 중에 있다.
• 문집 분야의 예 :
1) 연구자 및 민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
집 번역 항목을 독립적으로 구축하여야 함. 연구
자 및 일반인들이 번역된 문집을 자유롭게 활용
하도록 만들어 나간다.
11
2) 문집의 주제별 집성 작업을 도모
• 현재 추진 중인 내용들을 디비화 예정.
<무등산 관련 문학 작품>
<김삿갓 관련 작품>
<호남 한말 의병 문집 집성>
<해남윤씨 문중문헌 집성>
<매천시파 문헌 집성> 등
• 이들에 대한 자료의 조사, 정리와 번역을 준비 하
는 중, 이러한 주제별 항목을 설정하는 일도 필요
할 듯함.
12
地方誌 분야 문제점과 개선방향
1) 지역별, 주제별 분류를 통하여 활용도 제고.
2) 각 지역 향토사가들의 참여를 권장
• 호남권 漢文 線裝本 읍지류 중심 디비화
(현재 약 300 여종 내외)
호남권 광역 지방지 : 30 여종 내외
광주, 전남지역 읍지 : 150 여종
전북권 읍지 : 120 여종
제주권 읍지 : 10 여종
13
門中文獻 분야
• <門中文庫> <門中文獻> 등 문중 단위의
고문헌 정리와 활용 방안 모색
호남 지역의 약 100 여 門中에 대한 문헌을
조사, 정리하여 나갈 예정.
• 주로 族譜, 誌狀錄, 文獻錄 類 문헌 등을 조사,
정리하여 나갈 예정
14
고문헌 정리의 단계별 진행
• 1단계 작업
조사, 목록화 - 간명 해제 –
작품 목록 입력, 기초 DB화
• 2단계 작업
본격적 DB화 –
이미지 디비, 원문 텍스트 입력 디비
• 3단계 작업
• 필요한 문집의 번역 – 콘텐츠화 등 구체적 활용과정
15
준비중인 두 가지 특별 시스템
• <호남인물 검색 시스템>
현재 구축 중으로, 인명 및 자호 등으로 검
색하도록 준비 중임. 약 1만명 이상의 호남
인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검색하도록
DB화, 약 5년에 걸쳐 1단계 완성 예정
• <호남문화 연표 시스템>
16
향후 확대 검토중인 기록문화유산
•
•
•
•
•
비문 등, 금석문 자료
20세기 호남 한글 문학 작품
시조, 가사 등 한글 고문헌 문학작품
사진자료
호남 지도류, 지명 자료
17
향후 호남 기록문화유산의 조사와
정리를 위한 몇 가지 문제
1) 기록문화유산의 조사와 정리 같은 일은 단기간에 이루
어지는 일이 아니니,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계획과 추진
이 필요하다.
2) 구체적으로 자료를 조사, 정리하여 종합적인 자료 센터
를 만든다는 전반적인 구도 속에서 일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상호협력 체계의 형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18
3) 아시아문화전당의 실질적인 내용, 콘텐츠 사업 등과 긴밀하
게 연결시켜 나가 그 필요성을 확장시켜야 한다.
4) 최소 수십 여명 이상 상근, 비상근 연구진이 조사, 정리, 연
구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5) 이를 위하여 공식적인 호남 기록문화유산 연구센터, 자료센
터가 큰 규모로 만들어져야 한다.
19
학술심포지움 원고
2012년 9월 25일
호남기록문화유산 사업의
성과와 한계, 발전방안 (끝)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062-530-5022
연구책임자 김대현 [email protected]
010-8703-542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