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발표문 호남기록문화유산 사업의 현황과 과제 김대현 책임연구원

Download Report

Transcript 현황발표문 호남기록문화유산 사업의 현황과 과제 김대현 책임연구원

1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콘텐츠화
사업현황
김대현(전남대 국문과)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http://www.honamculture.or.kr
2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콘텐츠화 개요
1. 사 업 명 :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콘텐츠화
2. 사업목적
호남권역 기록문화유산의 원천자료를 발굴․수집하여 집대성하
며, 집대성한 원천자료를 바탕으로 호남지역 국학진흥에 이바지
하고, 나아가 민족문화 진흥에 기여함
3. 사업필요성
・ 호남지역 멸실․훼손․밀반출 위기의 기록문화유산 보존‧육성
・ 호남기록문화유산의 집대성 및 대중적 활용기반 구축
・ 호남지역의 국학발전에 기여 및 민족문화 발달 도모
・ 호남기록문화유산의 콘텐츠화 및 민족문화 창달
3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콘텐츠화 개요
4. 주요 사업내용
• 사업기간 :
* 1단계 : 2010년 3월 2일 ~ 2012년 12월 31일(30개월)
* 2단계 : 2013년 3월 30일 ~ 2014년 1월 29일(10개월)
• 사업장소 : (재)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전남대학교 호남한문고전연구
실, 전남대학교 호남서화연구팀
• 참여인원 :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교수), 연구원, 자문위원 10인,
평가위원 10인
• 사업분야 : 호남의 기록문화유산인 문집·지방지·고서화·누정현판/금석
문·고문서·일기자료·한글고문헌·호남인물검색시스템 등 8개 부문
4
호남기록문화유산 발굴∙집대성∙콘텐츠화 개요
5. 사업분야 공동참여 교수
・ 문집 : 호남한문고전연구실(전남대 국문과 김대현교수)
・ 지방지 : 전남대 사학과 윤선자교수
・ 누정현판 : 조선대 한문학과 한예원교수
・ 일기 : 광주교육대 김덕진교수
・ 한글고문헌 : 전남대 국문과 손희하교수
・ 호남인물검색시스템 : 호남한문고전연구실
5
호남기록문화유산 전체규모와 1·2단계(3년)사업 규모
분야
전체규모
(추정치)
전체 기초 DB화 목표
1단계(3년)
사업규모
2단계(3년)
사업규모
문집
약 3천 종
3천여 종
630종
800종
지방지
약 2천종
(한문. 한글본)
2천여 종
430종
300종
고서화
약 5만여 점
5천여 점
1,200점
700점
누정현판/
금석문
약 5천 점
3천여 점
1,400점
600점
고문서
약 10만 점
5천여 점
(간찰중심)
406점
300점
일기
약 200종
200여 종
80종
90종
한글고문헌
약 1만 점
2천여 점
100점
300점
호남인물
검색시스템
수 만명
2만여 명
2,000여 명
6,000여 명
2단계(3년)
연차별 규모
1년차 200종
2년차 300종
3년차 300종
1년차 100종
2년차 100종
3년차 100종
1년차 100점
2년차 300점
3년차 300점
1년차 200여 점
2년차 200여 점
3년차 200여 점
1년차 100점
2년차 100점
3년차 100점
1년차 30종
2년차 30종
3년차 30종
1년차 100점
2년차 100점
3년차 100점
1년차 2,000여 명
2년차 2,000여 명
3년차 2,000여 명
6
사업규모 그래프
7
2010년 사업부문 및 결과물(1단계)
사업부문(5개 부문)
호남문집
호남지방지
호남서화
호남누정현판
호남고문서
결과물
∙ 문집 130종 콘텐츠화
∙ 호남지방지 전체목록 작성
∙ 호남광역지방지 30종 콘텐츠화
∙ 호남서화가 전체목록 작성
∙ 조선서화가 주요작품 200점 콘텐츠화
∙ 호남누정 전체목록 작성
∙ 무등산권 누정 50개소 현판 600점 콘텐츠화
∙ 이신의 종가 고문서 106점 콘텐츠화
8
2011년 사업부문 및 결과물(1단계)
사업부문(6개 부문)
호남문집
호남지방지
호남서화
호남누정현판
결과물
∙ 문집 200종 콘텐츠화
∙ 호남지방지 전체목록 보완
∙ 광주∙전남 시군지 200종 콘텐츠화
∙ 호남서화가 전체목록 보완
∙ 호남근대화가 주요작품 500점 콘텐츠화
∙ 호남누정 전체목록 보완
∙ 무등산권 대표 누정현판 200점 콘텐츠화
호남고문서
∙ 호남 고문서 100점 콘텐츠화
호남한시집(신설)
∙ 호남 한시집 100종 콘텐츠화
9
2012년 사업부문 및 결과물(1단계)
사업부문(8개 부문)
호남문집
호남지방지
호남서화
호남누정현판
호남고문서
호남일기자료(신설)
호남한글고문헌(신설)
호남인물검색시스템(신설)
결과물
∙ 호남문집 300종 콘텐츠화
∙ 호남지방지 전체목록 보완
∙ 광주∙전남 지방지 및 지방사자료 200종 콘텐츠화
∙ 호남서화가 전체목록 보완
∙ 호남 서예 및 서화작품 300점 콘텐츠화
∙ 호남누정 전체목록 보완
∙ 광주 서원사찰 7개소 및 곡성누정 16개소 현판 400점 콘텐츠화
∙ 이신의 종가, 울산김씨, 장흥호계리 고문서 200점 콘텐츠화
∙ 호남일기목록 작성(80종)
∙ 호남일기자료 80종 콘텐츠화
∙ 호남한글고문헌 100종 콘텐츠화
∙ 호남인물 2,000명 인물사전 콘텐츠화
10
2013년 사업부문 및 결과물(2단계)
사업부문(8개 부문)
호남문집
호남지방지
호남서화
호남누정현판/금석문
호남고문서
호남일기자료
호남한글고문헌
호남인물검색 시스템
결과물
∙ 호남문집 200종 콘텐츠
∙ 〈호남문집 기초목록〉 자료집 출판
∙ 광주‧전남 선장본 지방지 100종 콘텐츠
∙ 〈호남지방지 기초목록〉 자료집 출판
∙ 호남근대서화 100점 콘텐츠
∙ 고흥, 순천, 장성 시판, 현판 200점/금석문 100점 콘텐츠
∙ 호남고문서 100점 콘텐츠
∙ 호남일기 30종 콘텐츠, 2종 번역
∙ 호남한글고문헌 100점 콘텐츠
∙ 호남인물 2,000여 명 인물사전 콘텐츠
11
문집 작업 예시
• 소포유고(素圃遺稿)
저자 : 오경리(吳慶履, 1813~1893)
2권 2책, 목활자본, 1936년 간행.
• 해제 예시
- 오경리(吳慶履)의 자는 중화(仲和), 호는 소포(素圃),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순조13년(1813)
9월 28일,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靈巖君 鶴山面 隱谷里)에서 재익(在翼)과 함양 박씨(咸陽 朴
氏)의 아들로 출생했다. 그의 연보에 의하면 그는 천자가 영오하고 거인의 기상이 있었으며,
14세 때 이미 사서오경으로부터 정주의 성리학에 이르기까지 박람했다 한다. 37세 때(1849)
전시문과에 급제하여 40세 때 성균관 전적을 시작으로 벼슬길에 나아가 70세에 이르기까지
줄곧 사헌부 감찰ㆍ지평ㆍ장령ㆍ집의 사간원 헌납, 이조ㆍ병조 정랑과 봉화현감, 돈녕부 도
정 등을 역임하였고, 그 대부분의 기간을 양사에서 봉직했다. 70세에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
영암으로 돌아와 초가와 약간의 전토를 마련하고 조용히 만년을 보내다가 81세로 세상을 떠
났다.
-이하생략
12
지방지 작업 예시
• 창평현지
서명/저자사항 창평현지/편자미상
형태사항 필사본
발행사항 간행지미상, 정조조
본서는 정조조에 작성된 필사본 창평현의 읍지이다. 해남읍지와 함께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표지는 없고 바로 본문으로 시작된다. 서원조에 송강서원, 학구당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누정조에는 육일정, 식영정, 소쇄원, 송강정, 명옥헌 등을 수록하였다. 인물에 관한 항목으로
는 인물, 열부, 충신, 문과, 무과, 음사 등이 다른 항목들과 섞여 있어 다소 무질서한 편집을
보여준다.
-이하생략-
13
누정현판 작업예시
•
곡성남양정 현판
위치 : 전남 곡성군 곡성읍 동산리.
雙亭屹立一江陽
勝日登臨望眼長
門柳得眠元亮夢
山縈流在李仙觴
雲歸烟散明沙野
犬吠鐘聲兩地鄕
借問臥龍何世事
見今欄檻■副芳
큰 강 남쪽에 높이 솟은 두 누정을
좋은 날에 올라앉아 바라보니 눈 아득하다
문앞 버들개지 우는 모습은 원량의 꿈이요
산경치 흐르는 모습은 이태백의 술잔이네
구름과 연기 밝은 모래에 흩어지니
양쪽 마을에서 개 짓고 종소리 울리네
묻자하니 와룡선생은 어느 세상일까
난간에서 꽃다운 향기 이제 보네
梧岡 鄭淵徹(오강 정연철) 謹稿
14
고서화 작업 예시

경운조월(耕雲釣月)
안규동
1980년대, 종이에 먹
31.2×124.5cm
이 작품은 “송곡체” “천마산인체”로 유명한 한국 현대 서예가인 안규동(松谷 安圭東, 19071987)의 글씨이다. 안규동은 윤두서(尹斗緖), 윤순(尹淳), 이광사(李匡師), 이삼만(李三晩), 기
정진(奇正鎭), 모수명(牟受明), 송운회(宋運會)로 이어지는 동국진체(東國眞體)의 호남 서맥
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행초에 일가를 이루었다. 그의 글씨는 전통서법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도 동시에 작가 특유의 개성과 독창성을 가미했는데 질박하면서도 고아한 서체미가 특징이
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작품은 전서 특유의 원필을 구사하며 개성적인 면모를 보인다.
15
일기자료 작업 예시

평장서재일기(平場書齋日記)
형태사항: 4권2책, 석인본.
현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지은이 : 염석진(廉錫珍, 1879-1955년)은 자는 자익(子翊), 호는 남곡(南谷), 본관은 파주(坡州)이고, 출신지는 탑동리(塔洞里)
이다.(인물정보 참조)
이 일기는 1910년 2월10일부터 4월29일까지 평장서재(平場書齋)에서 생활한 일기이다.
학동들과 부시(賦詩)를 짓는 일, 음식이 맞지 않아 아픈 일, 한식날의 풍류, 보성(寶城)의 오산(鰲山)에 있는 족손(族孫)에게서
온 간찰(簡札), 경수(敬秀)형의 간찰 등을 기록하였다.
번역예시- 1910년 2월 11일
김윤집(金允執)과 서숙(書塾)에 갔는데 학동들 숫자는 겨우 몇 사람일 따름이다. 마당을 둘러보니 깨끗하고 채마밭은 기름지
다. 그 주변은 대 숲이 우거지고 그 밖은 맑은 냇물이 부딪혀 흐른다. 난간에 기대어 내려다보고 울타리에 기대어 엎드려보니
사람소리가 가깝다. 그래도 들에 숨어사는 기미가 있으니 숨은 듯이 수죽(脩竹)과 청류(淸流)의 사이를 드러내고 있다.
16
한글고문헌 작업 예시

임일유가 딸에게 보낸 편지
이 편지는 배오개에 사는 딸의 편지를 받고 그에 대한 답장으로 쓴 것이다. 이 편지를 쓰기에 앞서 임일유가 상을 당하
였고 그 당시 찬 곳에 있어서 병이 난 것을 걱정하고, 버선을 지어 보낸 것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간지가 없어 쓰인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임일유의 몰년(1684) 이전에 쓰인 것은 확실하다.
<현대어역>
배고개 집에 답하는 편지
기별을 모르고 있어서 답답하였는데 편지를 받아 보니 기쁘지만 병이 지금 낫지 못한가 생각이 되니 어찌 그러한가.
여기에 있을 때 잠깐 사이 찬 곳에 앉았으니 심한 증상은 있지 않을 것이지만 지금 병이 나아지지 않은가 싶어 걱정이
된다.
우리는 반혼이 들어오니 새삼 서러운데 어떻게 그것을 다 적겠느냐.
버선을 보냈으니 받기야 한다마는 다음부터는 그렇게 하지 마라. 안심이 되지 않는구나.
4월 25일 총암
17
결과보고서 출판
18
결과보고서 예시
19
감사합니다.
(재)지역문화교류재단 062-234-2727
전남대 호남한문고전연구실 062-530-5022
연구책임자 김대현 010-8703-5420